• 제목/요약/키워드: ethephon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3초

포도(葡萄) 'Campbell Early'(Vitis labruscana B.)에 있어서 칼슘염(鹽)이 Ethephon에 의(依)한 탈립(脫粒)의 방지(防止)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alcium Salts on the Inhibition of Berry Abscission Induced by Ethephon in 'Camp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B.))

  • 서정학;권오원;이재창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04-113
    • /
    • 1991
  • 포도(葡萄) 'Campbell Early'에 있어서 ethephon처리시(處理時) 유기(誘起)되는 탈립현상(脫粒現像)에 대한 칼슘의 작용기작(作用機作)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초산(醋酸)칼슘, 수산화(水酸化)칼슘 및 염화(鹽化)칼슘을 칼슘급원(給源)으로하여 ethephon 1,000 ppm에 가용(加用)하여 처리(處理)한 후(後) 탈립(脫粒), ethylene발생량(發生量) 및 과실품질(果實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하고 또한 과실내(果實內) Ca, Mg 및 K의 축적양상(蓄積樣相)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칼슘의 탈립방지효과(脫粒防止效果)는 급원(給源)에 따라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 초산(醋酸)칼슘 $4.4g/{\ell}$ 이상, 수산화(水酸化)칼슘 $2.2g/{\ell}$ 이상(以上) 가용(加用)한 처리(處理)에서 ethephon처리(處理)에 의한 탈립방지효과(脫粒防止效果)가 우수(優秀)하였으나 염화(鹽化)칼슘의 효과(效果)는 현저(顯著)히 낮았다. 2. Ethylene발생(發生) 양상(樣相)은 ethephon단용처리(單用處理)의 경우(境遇)는 처리(處理) 후(後) 1일(日)에 최대치(最大値)를 보였고 칼슘가용(加用) ethephon처리(處理)는 ethephon 단용액(單用液) 보다 발생량(發生量)이 현저(顯著)히 많았을 뿐만아니라 처리(處理) 3시간(時間) 후(後)에 최대치(最大値)를 보였으며 그 후(後) 급감(急減)하여 3일후(日後)에는 비교적(比較的) 낮은 수준(水準)으로 유지(維持)되었다. 3. 칼슘을 가용(加用)하지 않은 ethephon액(液)은 조제(調劑) 3일후(日後)까지 ethylene 발생량(發生量)에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탈립(脫粒)에 대한 효과(效果)는 조제후(調劑後) 일수(日數)가 지남에 따라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칼슘가용(加用) ethephon 처리(處理)는 시간(時間)이 경과(經過) 됨에 따라 최대(最大)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이 감소(減少)하였으며 탈립방지효과(脫粒防止效果)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4. Ethephon 500 ppm 처리(處理)는 과실내(果實內) Ca, Mg 및 K 함량(含量)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으며 초산(醋酸)칼슘, 염화(鹽化)칼슘 및 수산화(水酸化)칼슘을 칼슘 함량(含量)으로 $1.59g/{\ell}$ 처리(處理)도 과립경(果粒梗), 과피(果皮) 및 과육(果肉)의 칼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키지 않았다. 5. Ethephon처리(處理)는 이층조직(離層組織)의 발달(發達)을 촉진(促進)하였으나 칼슘가용처리(加用處理) ethephon에 의한 이층조직(離層組織) 발달(發達)을 억제(抑制)시켰다.

  • PDF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c acid)을 이용한 담배 건조법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etterment of flue-curing of tobacco by using Ethephon)

  • 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145-153
    • /
    • 1974
  • Ethephon을 이용하여 현행 잎담배 건조법을 개선해 보고저 우리나라 담배 제조용 주요품종인 Yellow Special A와 Coker를 논에 재배하고 성숙기에 4수준의 Ethephon액을 살포함으로서 Ethephon의 건조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처리잎은 무처리잎에 비하여 성숙중에 현저한 엽록소의 분해를 일으켰다. 따라서 황변(성숙)이 촉진되었으나 처리수준 사이에는 큰 차가 없었다. 2. 성숙과정에서 처리잎은 무처리잎에 비하여 탈수율이 높았던 관계로 수확시 이미 수분함량이 약 10% 적었다. 그러나 처리수준 사이에는 탈수율에 큰 차가 없었다. 같은 조건하에서 건조할 때는 처리잎의 건조가 하루(1일) 앞당겨졌다. 3. 건조과정에서는 처리잎에서보다 무처리잎에서 엽록소의 분해가 더 크게 일어났다. 따라서 건조완료된 잎담배의 황색도는 처리잎이나 무처리잎이나 비슷했다. 4. 건조과정에서 처리잎은 무처리잎에 비하여 전 Alkaloid함량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당전분 및 전질소함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Ethephon처리로 인하여 잎담배 품질이 저하된다고 보이지 않았다. 5. 처리잎은 이미 성숙기에 황변이 촉진되었을 뿐 아니라 탈수도 많이 되었던 관계로 증효기 및 신장기를 생략한 황변기, 색택고정기 및 중골건조기의 3단계로서 건조를 끝낼 수 있었다. 6. 처리된 잎담배의 수량이 2% 감소된 셈이다. 처리잎은 관행건조소요시간(100시간)의 40%를 단축하여 건조할 수 있었음으로 연료비가 50%가량 절약되었다. 7. Ethephon처리로 말미암아 담배 성숙 및 건조 시간이 단축되었기 때문에 수확 및 건조에 요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뿐 아니라 금후 담배의 기계수확 및 집단건조도 가능하게 될 전망이 보였다. 따라서 Ethephon을 담배 농사에 이용하면 담배 생산농가의 노력 및 시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소득을 증대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고 믿게 되었다.

  • PDF

수도의 불임 유기를 위한 몇가지 화학제의 효과 (Effect of Chemicals on Inducing Grain Sterility of Rice)

  • Song, Moon-Tae;Kim, Jeung-Kyo;Choe, Zhin-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9-314
    • /
    • 1990
  • 본 시험은 ethephon, maleic hydrazide(MH) 및 gibberellic acid(GA3)의 처리 및 처리시기가 수도의 불임 및 다른 농업형질들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인도형 품종인 삼강벼와 일본형 품종인 추청벼에 MH(6000ppm), ethephon(6000ppm) 및 GA3(10ppm)을 절간신장초기, 절간신장후기, 수잉초기, 수잉후기 및 출수기의 다섯단계에 걸쳐 처리하여 종실불임율, 주당수수, 간장, 수장 및 종실수량을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H는 완전불임을 나타내었으나 출수지연, 잎마름, 줄기 및 이삭의 마름등과 같은 식물체에 대한 해작용이 심하였다. Ethephon은 50-60%에 가까운 불임율을 나타내었으나 식물체에 대한 해작용은 MH보다 그 정도가 낮았다. 2. GA3는 수도의 불임을 유기하지 않았고 간장을 약간 증가시켰다. 3. MH와 ethephon은 모두 수도의 간장 및 종실수량을 감소시켰으며 MH는 주당수수를 감소시켰다. 4. 화학제의 처리시기가 이를수록 더 높은 불임율이 유기되었고 그에 따른 해작용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도형 품종과 일본형 품종간에 불임율차이를 보였다.

  • PDF

에스렐과 탄산칼슘에 의한 하우스 밀감의 착색 촉진 (Ethephon Mixed with Calcium Carbonate Accelerate Coloration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in the Plastic House)

  • 김용호;문영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0-138
    • /
    • 1998
  • 하우스 밀감의 착색을 촉진시키고자 궁천조생 8년생을 공시하고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c acid) 100+ca1cium carbonate(clef-non) 10000mg.L$^{-1}$을 착색시부터 15일 간격으로 1회, 2회, 3회 살포하여 착색조사를 하였다. Ethephon +clef-non의 살포에 의한 과괴의 착색도 a는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a/b도 이와 유사한 경향으로 ethephon+clef-non 살포에 의해 착색이 촉진되었다 포도당과 과당은 처리간에 차이를 볼 수 없었고, 자당 및 전당은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당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12。Bx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는데 3회 살포구(13。Bx)를 제외하고는 살포회수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Angel's Trumpe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enching Treatment of Growth Retardants on Growth in Datura suaveolens 'Orange Star')

  • 김주형;김시동;이희두;김태중;윤태;민경범;백기엽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1-236
    • /
    • 2009
  • 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Angel's Trumpet'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pacloblltrazol, ethephon, uniconazole 및 daminozide를 처리한 결과, ethephon을 제외하고는 생장억제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초장이 단축되었다. 특히 생장억제제 중 uniconazole 처리시 초장과 초폭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엽폭과 엽장이 작아졌고 꽃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꽃크기 역시 단축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개회소요일수가 단축되었으며 개회횟수가 크게 증가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ethephon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으며, 초장과 초폭이 커졌으며 개화일수의 증가로 개회횟수가 적어짐을 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생장억제제 관주처리에 의한 'Angel's Trumpet' 왜화의 정도는 uniconazole > daminozide > paclobutrazol순으로 나타났다.

Ethephon과 Gibberellin 처리(處理)가 오이의 성발현(性發現)과 이에 따른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Peroxidase 활성(活性) 및 Isoperoxidase Pattern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Ethephon and Gibberellin on Sex Expression, and Subsequent Changes in Protein Contents, Peroxidase Activities, and Isoperoxidase Isoperoxidase Patterns of Cucumis sativus L.)

  • 구우서;김영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6
    • /
    • 1985
  • 오이의 성발현(性發現) 기구(機構)에 관(關)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고저 비절성(飛節成) 품종(品種)인 사엽(四葉), 절성(節成) 품종(品種)인 신록다다기, 그 중간형(中間型)인 성호원(聖護院)을 공시(供試)하여 종자(種子)와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의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와 2엽기(葉期)와 4엽기(葉期)의 ethephon(250 ppm)과 gibberellin(100ppm) 처리(處理)에 의한 성발현(性發現) 양상(樣相)과 식물체내(植物體內)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peroxidase 활성(活性) 및 disc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電氣泳動)에 의한 단백질(蛋白質) banding pattern과 peroxidase isozyme banding pattern의 소장관계(消長關係)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Ethephon 처리(處理)는 자화(雌花)의 착생(着生)을 약간 증가(增加)시키고, 웅화(雄花)의 착생(着生)을 현저(顯著)히 감소(減少)시켰으며 gibberellin 처리(處理)는 절성종(節成種)인 신록다다기와 성호원(聖護院)의 웅화수(雄花數)를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으나 비절성(飛節成)일 사엽(四葉)의 웅화수(雄花數)는 증가(增加)시키지 못하였다. 2. 종자(種子)와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단백질(蛋白質) 및 peroxidase의 banding pattern은 품종간(品種間)에는 약간의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절성(節成)과 비절성간(飛節成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3. 2 엽기(葉期)와 4 엽기(葉期)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잎과 생장점(生長點)에서 모두 처리후(處理後) 일수(日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2엽기(葉期)에는 증가(增加)하으나 4엽기(葉期)에는 오히려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그리고 4 엽기(葉期) 생장점(生長點)에 있어서 비절성(飛節成)인 사엽(四葉)은 ethephon 처리(處理)에 의해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높아졌으나 신록다다기와 성호원(聖護院)은 오히려 낮아졌다. 4. Peroxidase 활성(活性)은 2 엽기(葉期)에는 잎이나 생장점(生長點)에서 모두 일수(日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으나 4엽기(葉期)에는 오히려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특(特)히 ethephon 처리구(處理區)는 4엽기(葉期) 생장점(生長點)에서 그 활성(活性)이 현저(顯著)히 높아져 5일(日)째에는 타처리구(他處理區)에 비(比)해 월등(越等)히 높았다. 5. 단백질(蛋白質)의 banding pattern은 2엽기(葉期)에는 잎과 생장점(生長點) 공(共)히 처리후(處理後) 일수(日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3품종(品種)모두 band 수(數)가 감소(減少)되었으나 4엽기(葉期)에는 오히려 band수(數)가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4엽기(葉期) 생장점(生長點)의 단백질(蛋白質) pattern은 비절성(飛節成)인 사엽(四葉)의 ethephon 처리구(處理區)가 절성(節成)인 신록다다기의 무처리구(無處理區)와 같은 양상(樣相)으로 변화(變化)되어 갔다. 6. Peroxidase isozyme banding pattern은 2엽기(葉期) 잎에서 비절성(飛節成)인 사엽(四葉)의 ethephon 처리구(處理區) pattern이 성호원(性護院) 및 신록다닥기의 ethephon 처리ㅜ(處理區) pattern으로 닮아 감을 볼 수 있었고 4엽기(葉期) 생장점(生長點)에서는 처리후(處理後) 일수(日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사엽(四葉) ethephon 처리구(處理區)의 pattern이 성호원(聖護院) 및 신록다다기의 무처리구(無處理區) pattern으로 닮아 감을 볼 수 있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볼 때 비절성종(飛節成種)은 ethephon에 의해 식물체내(植物體內)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peroxidase 활성(活性) 및 단백질(蛋白質)과 peroxidase isozyme의 pattern이 절성종(節成種)에 가깝게 변화(變化)되어 절성화(節成化)되며, 따라서 이들의 변화(變化)가 오이의 성발현(性發現)에 깊이 관여(關與)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단감 '부유'의 과실 비대 및 착색에 대한 에테폰의 영향 (Effect of Ethephon on Fruit Enlargement and Coloring of 'Fuyu' Persimmon)

  • 김호철;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57-761
    • /
    • 2010
  • 본 연구는 단감 '부유'를 대상으로 에테폰 처리 농도에 따른 과실의 비대 및 착색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에테폰 처리 7주 후 수확한 과실에서 과중, 과경은 80과 $100mg{\cdot}L^{-1}$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무겁고 길었다. 그리고 과피 경도는 그 농도에서 유의하게 낮았는데, 과피 경도의 감소 폭은 처리 후 초기에는 $40mg{\cdot}L^{-1}$ 이상 처리구에서, 이후에는 $60mg{\cdot}L^{-1}$ 이상 처리구에서 컸다. 과피의 Hunter a값 및 Chroma 값은 무처리구에 비해 $20mg{\cdot}L^{-1}$ 이상의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그 농도 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hroma 값의 증가폭은 처리 후 초기에는 $60mg{\cdot}L^{-1}$ 이상 처리에서 뚜렷하게 컸으나, 이후부터는 20이나 $40mg{\cdot}L^{-1}$ 처리에서 컸다. 과실의 베타카로틴 및 라이코펜 함량은 $40mg{\cdot}L^{-1}$이상의 처리구에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처리 7주 후 무처리구에서 수확한 과실과 비교하여 20이나 $40mg{\cdot}L^{-1}$ 처리는 과실 비대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40mg{\cdot}L^{-1}$ 처리는 착색 정도를 2주 정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In Vitro Flower Abscission Induction in North American Ginseng

  • Campeau Cindy;Proctor John T. 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71-79
    • /
    • 2005
  • In vitro studies using detached inflorescences with peduncl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flower abscission agents in Nor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Of the nine compounds studied only three, ammonium thiosulphate (ATS), abscisic acid (ABA) and ethephon induced abscission. Anilazine, benzyladenine, carbaryl, gibberellic acid, napthaleneacetic acid and thidiazuron did not induce abscission. ATS dip treatments did not induce abscission but the spray treatments induced $60.5\%$ abscission at $1500\;mg{\cdot}L^{-1}$ and $33.1\%$ at $3000\;mg{\cdot}L^{-1}$. Severe chlorophyll loss occurred on all inflorescences treated with ATS. Both ABA dip treatments and a $250\;{\mu}mol{\cdot}L^{-1}$ spray treatment caused abscission $(40\%)$ without adverse effects, and timing of ABA application was important. Because ABA was only significant in the dip treatments, ABA may not be a practical option for field use on ginseng. Ethephon sprays induced more abscission as the season progressed an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s the dip concentrations of ethephon increased, the abscission rate decreased and the health of the inflorescences declined. The $1500\;mg{\cdot}L^{-1}$ spray of ethephon gave consistent abscission results over the glowing season with little phytotoxicity. Treatment with the competitive ethylene inhibitor 1-methylcy-clopropene (1-MCP) suggested that flower abscission was due to the liberation of ethylene from the breakdown of ethephon.

Phytohormone Effects with Elicitation on Cell Growth and Alkaloid Production in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 Ju, Young-Woon;Kim, Chul;Byun, Sang-Y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4호
    • /
    • pp.238-243
    • /
    • 1993
  •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phytohormone effects showed that alkaloid production was increased by IAA treatment without kinetin in both volumetric and specific way. Kinetin, however, suppressed alkaloid accumulation. Addition of ethephon inhibited cell growth. However, it enhanced the alkaloid production significantly in both volumetric and specific way. IAA promoted alkaloid production during elicitation. The highest alkaloid accumulation was observed at 5 $\mu$ M of IAA. Ethephon also enhanced alkaloid production during elicitation. The highest alkaloid formation was observed at 460 mg/l of ethephon with elicitation. Elicitation with ethephon, however, altered cell growth and the pattern of benzophenanthridine alkaloids production.

  • PDF

Ethephon 및 Aminoethoxyvinylglycine 처리가 '원황' 배 모의수출 환경에서의 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ephon and aminoethoxyvinylglycine on fruit quality and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environment in 'Wonhwang' pears)

  • 최진호;이욱용;안영직;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2호
    • /
    • pp.79-86
    • /
    • 2013
  •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harvest spray of aminoethoxyvinylglycine (AVG), an inhibitor of ACC synthase activity, on fruit quality of 'Wonhwang' pear (Pyrus pyrifolia Nakai). And the effects were compared with ethephon which releasing ethylene to elucidate treatment efficacy of ethylene biosynthesis inhibitor on Asian pears. Chemicals were sprayed on 30 days before harvest with AVG (75 and 150 mg/L) and ethephon (100 mg/L), respectively. Highest flesh firmness during 21 days of shelf-life at $25^{\circ}C$ after 30 days of cold storage was attained in the fruit treated with 150 mg/L AVG (26.5N)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16.7N), while the fruits treated with 100 mg/L ethephon completely lost their marketability within 14 days of shelf-life by mass drop of firmness down to 11.6N. Low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including pithiness and core browning were attained at the fruits treated with 150 mg/L AVG when we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No occurrence of mealiness found in the fruits treated with AVG but ethephon treated fruits showed 36.4% during 14 days of shelf-life. Consequently, AVG spray at the concentration of 150mg/L on Asian pear 'Wonhwang' fruit regarded as useful preharvest management approach for keeping quality during marketing period after simulated expo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