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adiol(E$_{2}$)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8초

난소제거된 염소에서 Progesterone 농도의 영향에 의한 LH surge 분비에 미치는 영향 (Emergences of LH Surge Affected by Different Progesterone Levels in Ovariectomized Goats)

  • 김승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LH surge 형태의 분비가 선행적으로 투여되는 각각 다른 Progesterone (P) 농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한 탐구이다. 선행된 연구에서 LH surge는 난포기(follicular phase)에서 보이는 P 농도에서만 발현되었고 황체기(luteal phase)와 아황체기(subluteal phase) P 농도에서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가설은 아황체기 P농도(스트레스, 황체형성부전)와 황체기 P 농도를 선행 처치 후 외인성 estradiol에 의한 LH surge 발현은 동시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난소가 제거된 Shiba 염소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난포기(non-P), 아황체기(low-P), 기능성황체기(high-P)의 P 농도 및 Estradiol (E) 농도를 유도하였다 (Day 0: P와 E 이식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매일 혈액을 채혈하였으며, Day 7에 각 그룹의 P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packet를 제거하고 E 처치용 capsule은 그대로 유지시켰다. 또한 Day 7에 P와 E의 농도변화를 세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12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채혈 후 검사하였다. LH surge 분비패턴은 P packet 제거 후 13시간부터 E를 3 ${\mu}g/h$ 농도로 36시간 동안 주입하고, 52시간 동안(E 주입 4시간 전부터 주입 후 48시간) 2시간 간격으로 채혈을 실시했다. 그 결과, 모든 3그룹의 염소는 LH surge가 발현되었지만 그 발현시간은 각 그룹마다 유의성있는 발현시간 차를 나타내었다. 즉, 각각의 선행된 P 농도 (non-P, low-P, high-p) 그룹은 외인성 Estradiol에 의한 LH surge 발현시간에 농도의존성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17{\beta}$-estradiol에 의한 신섬유화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 ($17{\beta}$-estradiol Attenuates Renal Fibrosis in Mice with Obstructive Uropathy)

  • 조민현;장희성;정경진;박권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2호
    • /
    • pp.125-137
    • /
    • 2011
  • 목적: 일반적으로 남자는 여자에 비해 만성 신장병의 발병이 많고 말기 신부전으로의 진행이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생쥐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성별과 성호르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일측성 완전 요관 폐쇄 7일째 암컷과 수컷 생쥐의 신장에서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의 발현을 측정한 후, 암컷 생쥐에서 난소를 제거하거나 제거 후 다시 $17{\beta}$-estradiol을 보충하여 나타나는 신섬유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alpha}$-SMA의 발현이 수컷 신장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난소 제거와 $17{\beta}$-estradiol의 보충은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안지오텐신 II 1형 수용체의 발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의 발현은 정상 암컷과 난소 제거 후 $17{\beta}$-estradiol를 보충한 암컷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역시 유사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여성은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17{\beta}$-estradiol에 의한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와 iNOS의 발현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teractions between Estradiol-17 ${\beta}-BSA$ and Calcitropic Hormones in $Ca^{2+}$ Uptake in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Han, Ho-Jae;Lee, Yeun-Hee;Seo, Eun-J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6권5호
    • /
    • pp.261-267
    • /
    • 2002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estradiol-17{\beta}-bovine$ serum albumin $(E_2-BSA)$ and calcitropic hormones, such as parathyroid hormone, calcitonin, and vitamin D, in regulation of $Ca^{2+}$ uptake in primary cultured renal proximal tubule cell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a^{2+}$ uptake was found from 2 hours after $(E_2-BSA)\;(10^{-9}\;M)$ treatment, while $estradiol-17{\beta}\;(10^{-9}\;M)$ did not affect. Treatment of the cells with $(E_2-BSA)\;(10^{-9}\;M)$ together with parathyroid hormone (PTH) $(10^{-8}\;M),$ vitamin D $(10^{-8}\;M),$ or calcitonin $(10^{-8}\;M)$ significantly stimulated $Ca^{2+}$ uptake by 32.50%, 29.30%, or 27.75%,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calcitropic hormones did not exhibit any synergistic effect on the E2-BSA-induced stimulation. $E_2-BSA$ significantly increased cAMP generation and PKC activity. The stimulatory effect of cotreatment of $E_2-BSA$ and PTH or vitamin D was blocked by SQ22536 (an adenylate cyclase inhibitor) and staurosporine (a PKC inhibitor), but the effect of cotreatment of $E_2-BSA$ and calcitonin was not blocked. Furthermore, 8-Br-cAMP and TPA (an artificial PKC promoter) increased $Ca^{2+}$ uptake by 25.51% and 16.47%,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nclusion, $E_2-BSA$ combined with calcitropic hormones regulated $Ca^{2+}$ uptake partially via cAMP and PKC-dependent mechanisms in renal proximal tubule cells.

Selective Fluidization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by 17β-Estradiol

  • Lee, Sae A;Park, Yong Jin;Jang, Il Ho;Kang, Jung Soo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4
    • /
    • 2017
  • Estrogens are effective neuroprotectants in vivo and in vitro. To obtain a better insight into the molecular mechanisms of action of neuroprotection by $17{\beta}-estradiol$ (E2), we examin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2 on the fluidity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 isolated from rat cerebral cortex. Intramolecular excimerization of 1,3-di(1-pyrenyl)-propane (Py-3-P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2 on the bulk and annular lateral diffusion of the SPMV.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E2 on the rotational diffusion of individual leaflet of SPMV exploiting selective quenching of outer monolayer 1,6-diphenyl-1,3,5-hexatriene (DPH) fluorescence by trinitrophenyl groups. The $F{\ddot{o}}rster$ distance $R_0$ value for the tryptophan-Py-3-Py donor-acceptor pair was $26.9{\AA}$. E2 increased the lateral mobility of both bulk and annular lipids in SPMV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a larger effect on bulk lipids was observed. Although E2 decreased the anisotropy of DPH in SPMV, E2 had a greater fluidizing effect on the outer leaflet compared to the inner leafl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2 selectively fluidizes the more fluid regions within SPMV. It is highly probable that E2 mostly fluidizes the bulk lipids, away from either annular lipids or lipid rafts, in the outer leaflet of SPMV. This selective fluidization may be one of the nongenomic mechanisms of neuroprotection by E2.

Effects of 17b-Estradiol on th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macrophages

  • Kim, Ji-Young;Cho, Young-Rhan;Jeong, Hye-Gw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71.1-171.1
    • /
    • 2003
  • In some tissues 17b-estradiol (E2) is known to increase endothelial NOS expressio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E2 on estrogen receptors (ERa and b)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and analyzed the mechanisms in rat peritoneal macrophages. (omitted)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초대 배양 간세포의 난황 전구물질 합성에 미치는 estradiol-$17{\beta}$와 2,4-D의 영향 (Effects of Estradiol-$17{\beta}$ and 2,4-D on Vitellogenin Synthesis in the Hepatocytes Primary Culture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여인규;최미경;이영돈;임윤규;허문수;이제희;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79
    • /
    • 2000
  • Estradiol-$17{\beta}(E_2)$와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 4- D)가 난황 전구물질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간세포의 초대 배양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배양간세포의 생존율은 배양온도 $27^{\circ}C$에 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circ}C$에서는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약 5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E_2$에 의한 VTG 의 합성은 $10^{-6}M$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2, 4-D $10^{-7}\sim10^{-5}M$의 첨가에 의해 VTG의 합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저농도인 $10^{-8}M$에서는 VTG의 합성이 증가하였다. $E_2$ 및 2, 4-D에 의해 합성된 VTG는 $10^{-6}M$ tamoxifen의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P<0.01). 본 연구 결과에서 $E_2$와 2, 4-D의 동시 첨가는 VTG의 합성을 억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2, 4-D의 작용이 $E_2$와 유사한 작용을 가지지만, VTG의 합성에 있어서 $E_2$ 수용체에의 작용 양식은 서로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흰쥐의 뇌와 부신에서 카테콜아민 생합성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Estrogen의 효과

  • 유경신;이성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114-114
    • /
    • 2002
  • 포유동물에서 뇌와 부신에서 합성.분비되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CA)계 신경전달물질인 dopamine(DA), norepinephrine(NE), epinephrine(E)은 체내 각종 생리현상의 조절에 필수적이며, 생식과 관련지어서는 시상하부-뇌하수체 간 GnRH-gonadotropin 호르몬 축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 외에도 번식과 관련된 여러 행동양식을 조절함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A 생합성 효소들인 tyrosine hydroxylase(TH), dopamine beta-hydroxylase(DBH), phenylethanolamine-N-methyltransferase(PNMT)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sex steroid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암컷 횐쥐(SD strain)의 난소를 제거하고 1주 경과 후 vehicle(sesame oil; OVX+Oil 실험군) 또는 estradiol 17$\beta$(235ug/m1; OVX+E$_2$실험군)이 든 silastic capsule(길이 14mm; 내경 1.55mm; 외경 3.125mm)을 48 시간 동안 처리한 뒤 희생시켰다. 적출된 조직으로부터 RNA를 추출한 후 semi-quantitative RT-PCR을 시행하였다. (i) TH의 발현 정도는 OVX+Oil 군에서는 시상하부) substantia nigra(SNc)) 부신 순으로, OVX+E$_2$군에서는 SN글 부신) 시상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TH 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과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인데 비해 시상하부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관찰하였다. (ii) DBH 발현 정도는 OVX+Oil군에서는 SNc> 부신> 시상 하부 순으로, OVX+E$_2$군에서는 부신> SNc> 시상하부 순이었다. DBH 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에서는 유의한 감소,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 그리고 시상하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ii) PNMT의 발현의 경우 SNc와 시상하부에서는 기보고된 바와 같이 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110bp 차이의 크고 작은 두 형태의 cDNA(PNMTI & PNMTs)가 증폭되었으나 부신에서는 작은 cDNA 만이 관찰되었다. PNMTs의 발현 정도는 OVX+Oil군과 OVX+E$_2$군에서 공히 부신> 시상하부> SNc 순이었고, PNMTI의 발현은 SNc가 시상하부 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PNMTs 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에서는 유의한 감소,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 그리고 시상하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CA 생합성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미치는 estrogen 의 영향이 세포 기원이 neural crest cell인 부신 수질은 물론 뇌의 상이한 지역간에서도 조직특이적임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 조직에서의 estrogen 수용체 유형의 차이 혹은 작용 모드와 각 효소 유전자 발현 사이에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Oxytocin 투여가 임신 Rat의 Steroid Hormones 및 Oxytocin Receptors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ogenous Oxytocin on Steroid Hormones and Oxytocin Receptor Concentrations in Pregnant Rats)

  • 박용수;조현수;변명대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3-192
    • /
    • 2002
  • 본 연구는 임신 및 분만후 rat에 oxytocin을 투여후 혈장, 자궁 및 태반 조직에서 estradiol-17$\beta$, progesterone, prostaglandin F$_2$$_{\alpha}$ 및 prostaglandin E$_2$그리고 자궁 조직의 oxytocin 수용체의 함량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임신 rat에 oxytocin 투여 후 혈장 estradiol-17$\beta$의 농도는 임신 말기에 서서히 증가하여 임신 22일에 최고를 기록하였고 분만 후 1일에는 임신 16일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18일부터 분만 후 1일에 유의성 있는(p<0.05) 감소를 보였다. Prostaglandin F$_2$$_{\alpha}$ 및 Prostaglandin E$_2$농도는 임신 14일에서 임신 22일에 공히 상승하여 임신 22일에 최고를 기록하였고 분만 후 1일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Estradiol-17$\beta$의 농도는 자궁 조직에서 임신 14일에서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임신 22일에 급격한 증가를 기록하였고 분만 후 1일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임신 14일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16일에 상승을 보인 후 임신 20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고 분만 후 1일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Prostaglandin F$_2$$_{\alpha}$ 및 prostaglandin E$_2$농도는 자궁조직에서 임신 말기 전기간에 상승하여 임신 22일에 최고를 기록한 후 분만 후 1일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임신 14일과 비교하여 70% 수준을 기록하였다. Prostaglandin F$_2$$_{\alpha}$ 농도는 태반 조직에서 임신 14일에서 임신 22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분만 후 1일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prostaglandin E$_2$의 농도는 임신 14일에서 20일에 증가한 후 분만 후 1일까지 감소하였다. Oxytocin 수용체의 농도는 자궁 조직에서 임신 20일에서 임신 22일 사이에 급격히 증가한 후 분만 후 1일까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상에서와 oxytocin투여에 의한 임신 rat에 있어서 progesterone 농도의 감소에 이은 estradiol-17 $\beta$, prostaglandin F$_2$$_{\alpha}$, prostaglandin E$_2$및 oxytocin 수용체 농도의 증가는 조기에 시작되었다.

난소를 제거한 생쥐 자궁조직에서 ADAM-8, -9, -10, -12, -15, -17, -TS1의 발현

  • 김지영;배인희;이승재;최영민;김해권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59-59
    • /
    • 2003
  • ADAM은 metalloprotease/disintegrin domain을 가진 transmembrane glycoprotein으로서 지금까지 30종류 이상의 ADAM 및 10종류 이상의 ADAM-TS 단백질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기능은 포유동물의 수정 시 sperm-egg binding과 fusion, myoblast fusion, integrin과의 결합 등에 직접 관여하거나, TNF-alpha 등의 생체신호전달물질이 세포로부터 분비될 때에 이들의 구조를 변화시켜 활성화시키는 효소로서의 작용, 그리고 dendritic cell differentiation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가 제거된 생쥐를 이용하여 자궁조직의 ADAM-8, -9, -10, -12, -15, -17 그리고 -TS1의 gene의 발현이 $17 \beta $-estradiol에 의하여 조절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생후 6 - 8주 된 암컷 생쥐의 난소를 제거하고, 2 주 후에 $17 \beta $-estradiol ($E_2$), progesterone ($P_4$) 혹은 이 둘 혼합액 ($E_2 + P_4$)을 sesame oil에 녹여 근육주사하였다. 2, 6, 12 시간 후 각각 자궁 조직을 얻고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로부터 total RNA을 추출하여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RT-PCR)을 실시하였다. Densitometry를 이용, rpL7에 대한 ADAMS의 mRNA 발현 양을 상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ADAM-8과 -15는 6시간째에서, ADAM-10과 -TS1은 2시간째에서 sesame oil을 주사하거나 $P_4$만을 주사한 군보다 E$_2$를 주사한 군에서 mRNA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ADAM-12는 2시간째에서 ADAM-17은 12시간째에서 sesame oil을 주사하거나 $P_$만을 주사한 군보다 E$_2$를 주사한 군에서 mRNA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ADAM-8, -10, -15 그리고 TS1은 progesterone에 의하여, ADAM-12와 17은 $17 \beta $-estradiol에 의하여 유전자의 발현이 upregulation 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뇌졸중후 뇌위축에 대한 조경론적 접근 (Role of $17{\beta}$- Estradiol on Brain Atrophy Following Cerebral Infarction)

  • 윤상협;이종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15
    • /
    • 2000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uroprotection effect of estrogen on brain atrophy following cerebral infarction. Method : All animals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ovariectomy group (OVXgroup), cerebral infarction group (INF group), combination ovariectomy and cerebral infarction group (OVX + INF group), and naturally intact group for control data (NOR group). Cerebral infarction was made by Chen's method with some modification. Ovariectomy was performed by Wayforth's method. Experimental data for each group was collected at 15 days, month, 3 months, and 6 months after starting observation. Serum $17{\beta}-estradiol(E2)$ was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Brain volume was measured and calculated with image analysis. Each brain was sliced at intervals of 2mm in chamber after 30 min of freezing in refregerater. Cerebral volume was obtained by sum of volume of each slice level, which was mean $area{\;}{\times}{\;}2mm$. Results : Cerebral ischemia was found to decrease the serum concentration of $17{\beta}-{\;}estradiol(E2)$ and to inhibit the physiologically conpensatary function of the ovariectomized rats. Also we found that deprivation of estrogen have resulted in more severe cerebral atrophy followed by cerebral infarction.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estrogen has a neuroprotection effect on cerebral atrophy following cerebral infar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