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al sphincte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8초

식도 Achalasia 에 대한 재수 (Reoperation after esophagomyotomy for achalasia of the esophagus: report of 3 cases)

  • 유회성;남충희;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792-795
    • /
    • 1984
  • The modified Hellers myotomy for esophageal achalasia is known as the best procedure. A properly performed transthoracic esophagomyotomy is essential to prevent complications. But it has some problems such as persistent achalasia due to inadequate myotomy, recurrence due to the healing of myotomy and reflux esophagitis due to destruction of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 The methods of the reoperation after esophagomyotomy for achalasia of the esophagus consist of 1 ] for persistent achalasia due to inadequate myotomy, additional myotomy feasible. 2] for esophageal reflux, a long-limb jejunal gastric drainage after vagotomy and hemigastrectomy, jejunal after conservative resection for stricture. We experienced 3 cases of reoperation after esophagomyotomy for achalasia of the esophagus. The 1st and 3rd case belongs to 30 cases which were undertaken the primary operation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1961 to 1984. The 2nd case was undertaken the primary operation at other hospital. The 1st and 3rd case were reoperated because of persistent achalasia due to inadequate myotomy and 2rid case was caused by stricture due to reflux esophagitis. The methods of the reoperation were additional myotomy in 1st case, esophagogastrectomy and lower thoracic esophagogastrostomy in 2nd case, and esophagogastrectomy and mid-thoracic esophagogastrostomy in 3rd case. All three cases were complicated with postoperative reflux esophagitis.

  • PDF

식도-위 절제술 후 횡격막 crura의 역할 (Role of Crural Diaphragm after Esophagogastrectomy)

  • 조성래;하현철;이봉근;조봉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0호
    • /
    • pp.763-768
    • /
    • 2001
  • 배경: 식도-위 접합부에 존재하는 고압력대는 위-식도 역류를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주로 하부 식도 괄약근이 관여한다. 그러나 하부 식도괄약근이 제거된 환자에서 횡격막 crura가 고압력대로 나타나 괄약양의 역할을 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식도 내압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식도-위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22명과 대조군으로 정상 성인 3명을 대상으로 식도 내압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조군은 3명 전원에서, 환자는 22명중 12명에서 고압력대가 나타났는데 Ivor-Lewis법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보다는 좌측 개흉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많이 나타났다. 고압력대의 위치는 환자군에서 비강으로부터 42.5$\pm$0.9cm로 대조군과 비슷한 위치에서 나타났으나, 길이는 2.13$\pm$0.6cm로 대조군 보다 짧았다. 고압력대의 압력은 station pull-through technique(SPT), rapid pull-through technique(RH)에 의해 측정한 결과 각각 13.78$\pm$1.63mmHg, 28.58$\pm$6.06 mmHg로 대조군 보다낮았으며, 부분적으로 연하에 의해 이완되고(84.4%), 복압증가에 의해 수축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제거된 경우에도 횡격막 crura에 의해 흉복부 접합부에 고압력대가 나타나며, 이 횡격막 crura가 괄약양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식도-위 절제술후 손상된 횡격막 crura의 복구를 시행함으로써 위-식도 역류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도염(食道炎)에 대(對)한 동서의학적(東西醫學的) 고찰(考察) (The study o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of esophagitis)

  • 최창우;손창규;조종관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96
    • /
    • 2002
  • We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after we have studied esophagitis through the literatures of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1. The western medical causes of acute esophagitis are corrosiveness chemical material, esophageal or gastric disease, trauma, blister stomatitis, filamentous fungus infection and uremia of chronic patient etc, and the oriental medical causes are qi and blood stagnation, blood stasis and stagnation, stagnant phlegm by coldness, heating, dyspepsia and food poisoning etc. 2. The western medical causes of chronic esophagitis are malfunction of lower esophageal sphincter, esophageal tom chink and hernia, increase of gastric pressure by overeating, fatness, pregnancy and ascites etc, and the oriental medical causes are asthenic cardiac qi, hepatic qi attacking stomach by seven kinds of depression, cold-damp stagnation and insufficiency of gastric qi by overeating, excessive drinking and sexual indulgence etc. 3. The main symptoms of acute esophagitis are severe chest pain, instantly vomiting, swallowing pain etc, and chronic esophagitis are occasionally light chest pain, heart bum, anorexia, dysphagia, dizziness, general body weakness etc. These symptoms are come under thoracic obstruction, acid regurgitation, vomiting and chest pain of oriental medicine. 4. The western medical diagnoses of acute and chronic esophagitis have used radiation test, esophageal endoscopy, esophageal pressure test and biopsy etc, and the oriental medical diagnoses have used syndrome differentiation by four examination of inspection, listening and smelling examination, inquiring, pulse-taking and palpitation. 5. The western medical treatments of acute esophagitis have regarded preservation stability of esophagus as a principle, and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s mainly have used expelling pathogen of expelling cold and regulating qi, cooling and removing stasis, promoting blood circulation to remove blood stasis, eliminating phlegm and regulating qi. 6. The western medical treatments of chronic esophagitis have regarded decrease flowing backward of gastric juice as a purpose, and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s mainly have used strengthening body resistance of replenishing and strengthening cardioqi, dispersing stagnated hepatoqi, expelling cold and dehygrosis, invigorating stomach and nourishing qi.

  • PDF

식도 이완 불능증과 간질성 폐렴을 동반한 전신성 홍반성 낭창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ssociated with Interstitial Pneumonia and Achalasia)

  • 권혜리;홍경욱;임승진;박소영;배영덕;김경호;최정희;모은경;박용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4호
    • /
    • pp.323-327
    • /
    • 2008
  • 전신성 홍반성 낭창은 자가 면역 질환으로 폐와 흉막을 침범하며, 드물게 다양한 형태의 간질성 폐질환을 일으킨다. 식도 이완 불능증은 식도 운동 질환으로 전신성 홍반성 낭창과 동반한 예는 아주 드물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에 속발한 식도 이완 불능증의 기전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에서 간질성 폐렴과 식도 이완 불능증을 동반한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자발성 점막하 식도 박리의 치료 - 1례 보고 - (Spontaneous Submucosal Dissection of the Esophagus -Report of 1 Case-)

  • 이재영;김명천;김수철;박주철;최수철;이정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329-335
    • /
    • 1998
  • 55세 남자환자가 흉부 불편감, 연하장애와 연하통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식도내압검사상 하부식도 괄약근의 이완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식도 조영술상 "double-barrelled 식도" 또는 점막 선조(mucosal stripe) 소견을 보였다. 내시경 검사상 상부 식도에 기관-식도누공의 형태를 보는 듯한 개구부가 있었다. 또한, 하부 식도에는 두군데의 점막 열창이 보였다. 이후 환자는 금식과 비경구적인 영양공급을 하면서 수주간 치료하였나, 증상의 호전을 볼수 없었다. 그래서 전신 마취하에 상부식도에 있던 가성내강의 개구부를 일차봉합하였다. 수술후 환자는 경한 연하곤란을 제외하고는 증상이 좋아졌다. 환자는 조심스런 경구섭취를 하고 퇴원하였다. 환자는 외래에서 추적검사상 발열이나 연하장애가 없었으며, 식도 조영술상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저자들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했던 자발성 점막하 식도 박리의 특이한 경우를 치험하였다. 이에 관련된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위식도역류의 병태 (Pathophysiology of th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최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28
    • /
    • 1996
  • 이상에서 고찰한 위식도역류의 병태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위액에는 염산, 펩신, 담즙산과 췌효소등을 포함하고 있어 역류된 위액은 상부 기관식도관에 자극을 주거나 손상을 줄 수 있으며 개개인의 점막 상피의 저항도와 적절한 타액의 분비는 위액에 의한 손상의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위식도역류로 인한 많은 증상이나 소견은 두가지의 기전으로 나타나서 첫째, 역류된 위액이 직접 조직에 영향을 주거나 둘째, 간접적으로 식도 하부에 분포된 미주신경에 의한 연관자극에 의해 일어나는데 위식도역류의 증상 중 두부, 경부, 심장 및 폐장의 증상은 이들 장기에 미주신경의 일부가 같이 분포하여 일어나는 간접적인 기전이다. 하부식도괄약근(lower esophageal sphincter)의 기능은 역류를 막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어 간헐적으로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이 떨어지면 역류가 일어나게 된다. 정상적인 식도의 연동운동은 식도에 역류된 위내용물을 위로 제거되는데 중요하며 위식도역류 환자에서 흔히 연동운동이 저하되거나 비정상적인 연동운동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위내용물이 소장으로 비워지는 시간이 연장되어 위내용물이 위내에 축적되는 것도 위식도역류의 원인의 하나로 생각된다. 이러한 위식도역류의 병태를 연구하는 것은 이 질환의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chalasia 의 1례 (A case of achalasia)

  • 조중환;유태현;박현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9.3-9
    • /
    • 1977
  • Achalasia는 식도의 확장을 동반하는 탐도분문부의 비기질적폐색을 이르키는 질환으로 그 원인은 불명하나 식도하부괄약근의 이완장애와 식도체부에서의 정상연동운동의 결여로 나타나는데 원래 근육신경계의 기능장애의 하나로 중추신경계통의 병변으로 신경 신경절 및 근육의 변성을 이르켜 생긴다는 설이 유력시되고 있다. 주요증상은 연하장애 음식물토출 및 심와부 동통등이다. 저자들은 43세 여자에서의 achalasia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적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Gastropexy Using MIC-KEY Tube in a Dog with Esophageal-Gastric Leiomyoma

  • Kim, Yoon Hee;Shin, Kyong-in;Hong, Yeon-Jung;Choi, Ulso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290-294
    • /
    • 2021
  • An 8-year-old neutralized male Dachshund was presented with severe vomiting, anorexia, and weight loss for two weeks. The patient had to feed in a standing position due to problem of vomiting immediately after meal. Serum chemistry and CBC results were all within reference limits. CT imaging revealed a mass distributed widely in the caudal part of the esophagus including the sphincter and the gastric cardia. Complete surgical removal was difficult because of adhesion to the caudal vena cava. A partial surgical excision and gastropexy with MIC-key feeding tube were performed under the owner's permission. Histologically, the mass was interpreted as leiomyoma. This patient is doing well at present time, six years after the tube installation in 2015.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역류성식도염 환자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Using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 천능수
    • 셀메드
    • /
    • 제13권4호
    • /
    • pp.15.1-15.6
    • /
    • 2023
  • Objective: A case report on improving the symptoms of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by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Methods: A 61-year-old Korean male who has been taking proton-pump inhibitors in the hospital for a long time due to the symptoms of reflux esophagitis. Results: The practice of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restored the patient's mucosal cells of the esophageal sphincter, which led to the judgment that he was cured of reflux esophagitis. Conclusion: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can be effective in relieving the symptoms of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만성 역류성 식도염 모델에서 빈랑(檳榔)와 황련(黃連) 복합물의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Arecae Semen and Coptidis Rhizoma in a Chronic Reflux Esophagitis Rat Model)

  • 이세희;이진아;신미래;이지혜;노성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24
    • /
    • 2021
  • Objective: Chronic reflux esophagitis (CRE), characterized by esophageal mucosa ulcer, is caused by continuous backflow of gastric acid and consequent inflammation due to unstable gastroesophageal sphinct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an Arecae Semen and Coptidis Rhizoma mixture (AC-mix) on CRE. Methods: CRE was surgically induced in SD rats with three experimental groups used: normal; CRE control; and CRE treatment (200 mg/kg AC-mix). Blood and esophageal tissue were collected after two weeks of drug administra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C-mix was measured by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protein levels evaluated using western blotting. Results: CRE damage to the esophageal mucosa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C-mix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s, and administration of the AC-mix was seen to inhibit NF-κBp65 activity. Consequently, the inactivation of NF-κBp65 significantly inhibited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COX-2 and iNOS. Moreover, the anti-oxidant enzyme HO-1 significantly increased through activation of the Nrf2-Keap1 pathway.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which can break down collagen from the basement membrane and extracellular matrix, was decreased following AC-mix treatment, and elevated levels of MMP-2 were regulated by its tissue inhibitor.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C-mix can alleviate esophageal mucosa ulcer though inhibition of the NF-κBp65 inflammatory pathway and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Nrf2-Keap1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