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gothionein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on Levels of Bioactive Compounds in Shiitake Mushrooms (Lentinula edodes)

  • Yonghyun Kim;Uk Lee;Hyun Ji Eo
    • Mycobiology
    • /
    • 제51권6호
    • /
    • pp.445-451
    • /
    • 2023
  •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hold high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 as they contain an abundance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However, the effect of long-term postharvest storage on the variation in the levels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s, eritadenine, and ergothioneine in shiitake mushrooms stor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 3, and 5 ℃) for 4 weeks. Compared to mushrooms stored at lower temperatures, those stored at 5 ℃ exhibited a higher level of total phenolics in their pileus after 2 weeks of storage; however, storage at 5 ℃ also increased the deterioration of the fruiting body of these mushrooms. In mushrooms stored at all temperatures, the eritadenine content in the pilei tended to increase up to 2 weeks of storage. In contrast, the ergothioneine content in the pileus decreased during storage, with a significantly lower level detected in mushrooms stored at 5 ℃ for 4 weeks.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ccumulation of phenolics and eritadenine may be related to mushroom deterioration during storage.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levels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in shiitake mushrooms are influenced by storage temperature, suggesting the potential to control adjustments of specific bioactive compounds by regulating storage conditions.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한 적정 LED혼합광 및 광량 (The suitable mixed LED and light intensity for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 장명준;이윤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8-262
    • /
    • 2014
  • LED혼합광에 따른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직경은 녹색광+적색광을 제외한 모든 처리구가 형광등 처리구와 대등하였으며, 갓직경/대길이는 청색광+백색광에서 가장 컸다. 대의 길이는 무광과 녹색광+적색광에서 가장 길었고, 수량은 녹색광+적색광을 제외한 혼합광에서 대조구와 대등하였으며, 상품수량은 청색광+백색광에서 가장 많았다. 또한 버섯류의 대표적인 항산화물질인 ergothioneine은 청색광+백색광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광량에 따른 생육특성 중 갓직경은 광량이 작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이었고, 대길이는 $1{\mu}mol/m^2/s$에서 가장 길었으며, 갓직경/대길이는 $1{\mu}mol/m^2/s$에서 0.34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작았다. 수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등하였으나 광량이 작을수록 유효경수와 상품수량이 많았다.

Effects of ergothioneine-enriched mushroom extract on oxidative stability,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

  • Tao, Ye;Xiao, Shan;Cai, Jiaming;Wang, Jihui;Li, Li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0호
    • /
    • pp.1695-1704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assess the effect of ergothioneine (ESH)-enriched mushroom extract on oxidative stability,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 Methods: The ESH content was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lammulina velutipes (F. velutipes) extract was determined throug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1,1 diphenyl-2-picryl-hydrazyl,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hydroxyl radicals. Four different groups of emulsified sausage were manufactured: control, no antioxidants; BHA, 0.01% butylated hydroxyanisole; EEME, 0.8% ESH-enriched mushroom (F. velutipes) extract; AE, 0.012% authentic ESH, after storage for 14 days (at 4℃), the quality of sausage including oxidative stability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protein carbonyls content),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quality were studied.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adding ESH-enriched F. velutipes extract to sausage could effectively prevent lipid and protein oxidation, and its efficacy was equivalent with 0.01% BHA. During meat processing, the ESH mainly contributed to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F. velutipes extract. The flavor and sensory attributes of emulsified sausage were improved through adding ESH-enriched F. velutipes extract. Conclusion: Accordingly, the extract of F. velutipes contained high-level of ESH and could be a good antioxidant candidate for processed meat production.

발효 천마의 기능성 물질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 김미현;김중규;최재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84-691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by Phellinus linteus repeated thrice ($3^{rd}$ FGP) showed mor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 non-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NFGP), and onc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500 and 1,000 ppm.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rd}$ FGP was similar to that of BHA at a dose of 1,000 ppm. Moreove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3^{rd}$ FGP increased compared to NFGP and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31.25 ppm.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Ergothioneine content was increased more than 8 times in the $1^{st}$ FGP, 3 times in the $3^{rd}$ FGP, respectively than NFGP.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 contents of G. elata Blume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fermentation number.

Antioxidant effect of ergothioneine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 Ji-Young Jeong;Lian Cai;Mirae Kim;Hyerin Choi;Dongjin, Oh;Ali Jawad;Sohee Kim;Haomiao Zheng;Eunsong Lee;Joohyeong Lee;Sang-Hwan, Hyu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4.1-24.13
    • /
    • 2023
  • Background: Ergothioneine (EGT) is a natural amino acid derivative in various animal organs and is a bioactive compound recognized as a food and medicine.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GT supplementation during the in vitro maturation (IVM) period on porcine oocyte maturation and subsequent embryonic development competence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IVF). Methods: Each EGT concentration (0, 10, 50, and 100 μM) was supplemented in the maturation medium during IVM. After IVM, nuclear maturation, intracellular glutathione (GSH),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of oocyt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genes related to cumulus function and antioxidant pathways in oocytes or cumulus cells were investigated. Fin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EGT could affect embryonic development after IVF. Results: After IVM, the EGT supplemen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racellular GSH levels and significantly lower intracellular ROS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expression levels of hyaluronan synthase 2 and Connexin 4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0 μM EG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levels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d NAD(P)H quinone dehydrogenase 1 (NQO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ocytes of the 10 μM EG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assessment of subsequent embryonic development after IVF, the 10 μM EGT treatment group improved the cleavage and blastocyst rate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Supplementation of EGT improved oocyte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in IVM oocytes.

표고 유산균 발효물의 성분 및 간기능 보호 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Lentinula edode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임승빈;김경제;진성우;고영우;하늘이;정희경;이재근;윤경원;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1-1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부작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표고를 추출 및 농축하여 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3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표고의 농도를 달리하여 유산균을 배양하였을 때 면역관련 물질인 ergothioneine 및 β-gluca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ergothioneine함량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plantarum이 첨가되어 배양된 발효물이 40.48 mg/100 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β-Glucan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brevis가 첨가된 발효물이 13.94%로 가장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두 면역관련 물질 모두 표고추출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D rat을 간을 적출하여 일차 간세포로 분리해 발효물의 간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표고추출농축액과 유산균 발효물을 10, 50, 100, 500 ㎍/mL을 일차 간세포에 처리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10 mM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리하여 독성을 유발한 일차 간세포에 시료를 처리하여 AST, ALT, LDH를 측정한 결과, 효소의 농도가 감소하여 간보호 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L. brevis를 첨가하여 배양한 발효물 처리구에서 효소의 농도가 가장 감소한 것을 보았고, 가장 간보호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표고추출농축액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기존의 표고보다 면역관련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고, 간기능 보호에 더욱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표고 유산균 발효물이 건강기능 소재로서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 것으로 생각된다.

더덕,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Beneficial constitu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s by Lentinula edodes mycelium)

  • 고영우;윤경원;김경제;진성우;임승빈;하늘이;정희경;김승주;김복선;최유진;송다혜;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0-309
    • /
    • 2021
  • 한약재로 사용되는 더덕과 도라지에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더덕표고균사발효물(FCLM)과 더덕도라지균사발효물(FPLM)을 제조하였다. 두 가지 발효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𝛽-glucan, ergothioneine, ergosterol, vitamin D2 함량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FCLM에서 조섬유와 조지방함량이 FP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FPLM은 조단백질과 가용성무질소물의 함량이 FC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FCLM과 FPLM 모두 arabinose, glucose, sucrose 3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당 함량은 FPLM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발효 후 FCLM과 FPLM에서 낮게 나타났다. 𝛽-Glucan 함량은 FCLM과 FPLM 두 발효물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ergothioneine의 함량은 FCLM이 FPLM보다 높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들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D2는 발효물들에서만 검출되었으며, FPLM (0.58±0.01 mg%)가 FCLM (0.47±0.01 m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더덕과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인 FCLM과 FPLM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하여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FCLM과 FPLM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으로 억제하여,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증숙 횟수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피부 생리 활성 평가 (Evaluation of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the Gastrodiae Rhizoma Extract by Steaming Times)

  • 이아름;김건형;권오준;김수현;김경조;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7-35
    • /
    • 2018
  • Objectives : Gastrodiae Rhizoma extract (GE) is possess the various bioactive compounds such as gastrodin, vanilyl alcool and p-hydroxybenzyl alcohol. Various processing methods such as steaming have been widely applied to ease ingestion and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s of plant materials including GE in East-Asia a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GE. Methods : First,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gastrodin and ergothionein contents of GE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steamed GE compared with not-steamed GE, tyrosinase,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ere tested. Furthermo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 assessed based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Results : In results,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when 9 times steamed compared to not-steamed GE. Also, GE increased gastrodin content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eaming times and ergothioneine content was abolished in the steaming stat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 increased by steaming, but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not related to the steaming process. In addi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number of steaming times of GE increased. Collagenase was most inhibited by 4 times steamed GE, and elastase was inhibited by 8 times steamed GE.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eamed GE extract has the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which possess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than not steamed GE.

원목표고 수확시기별 기능성성분 함량 비교

  • 임승빈;김경제;진성우;고영우;하늘이;정희경;윤경원;최유진;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7-117
    • /
    • 2022
  • 표고(Lentinula edodes (Berk.))는 담자균강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봄에서 가을에 걸쳐 주로 재배하며, 예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의 동남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미국, 캐나다 및 네덜란드 등의 서구 나라에서도 관심이 높으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용 버섯으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표고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 항당뇨, 혈압조절, 면역증강, 간 보호 및 비만 억제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져 있어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수요가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버섯의 생육은 크게 균사의 생장과 자실체의 생육으로 구분되는데, 표고 균사의 배양 기간이 86~123일 정도 소요되며, 자실체의 생육 기간은 10~20일 정도로, 균사의 배양 기간이 훨씬 긴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의 생육 단계에서 영양, 생식, 생장은 모두 수분으로부터 비롯되며, 생육 조건, 조도, 환기 정도 등에 따라 버섯의 품질은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봄에 수확한 표고는 대가 짧고 단단하며 감칠맛이 풍부하며, 가을에 수확한 표고는 대가 길고 육질이 부드럽고 비교적 강수량이 높아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표고의 수확 시기에 따라 기후, 온도, 강수량 등의 차이가 이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봄과 가을에 각각 표고를 수확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성분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가을에 수확한 표고가 봄에 수확한 표고에 비해 수분, β-glucan, ergosterol 그리고 ergothioneine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소재 개발 시에 경제적 경쟁력을 고려했을 때 가을에 수확한 표고 활용이 유리할 것으로 고려된다.

  • PDF

재배방식과 피복재료가 천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ield and Quality for Cultivation Type and Mulching Materials on Gastrodia elata Blume)

  • 김창수;유인영;김동원;김종엽;김정만;이왕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8-87
    • /
    • 2017
  • 천마의 수량과 품질 향상을 위하여 비가림시설재배와 노지재배, 비가림시설내 여러 피복재료를 활용하여 천마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천마의 수량은 비가림 시설이 노지재배에 비해 49% 증수되었다. 또한, 비가림시설재배내에서 피복재료 처리에 따른 천마의 수량성은 무피복에 비해 볏짚피복 44%, 낙엽피복 26%, 차광망피복에서 각각22% 증수되었다. 천마의 증숙 전 후 색도는 비가림시설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해 색도 변화가 적었다. 또한, 천마의 경도는 비가림시설재배가 노지재배보다 더 높았고, 비가림시설재배의 증숙 후는 증숙 이전에 비해 17.1%, 노지재배는 29.2% 각각 감소하였다. 증숙 후 무게 감소율의 경우 비가림시설재배는 10.3%, 노지재배는 9.1% 감소하였다. 가스트로딘, 바닐린 알콜은 노지재배 보다 비가림시설재배에서 함량이 증가하였고, 에르고티오닌은 재배시설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비가림시설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해 천마의 수량과 품질이 좋았으며, 피복재료에 따른 품질은 토양수분함량이 낮을수록 표면이 단단해져 경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