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Simplified slab design approach for parking garages with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 Kwak, Hyo-Gyoung;Song, Jong-Youn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9권3호
    • /
    • pp.305-321
    • /
    • 2000
  • This paper develops a simplified, but effective, algorithm in obtaining critical slab design moments for parking garages. Maintaining the uniformly distributed load concept generally adopted in the design of building structures, this paper also introduces the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which can simulate the vehicle load effects without taking additional sophisticated numerical analyses. After choosing a standard design vehicle of 2.4 ton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mall to medium vehicles made in Korea, finite element analyses for concentrated wheel loads were conducted by referring to the influence surfaces. Based on the obtained member forces, we determined the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for slabs, which represent the ratios for forces under vehicle loads to these under uniformly distributed load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and sectional dimensions were also established by regression, and then used to obtain the proper design moments by vehicle loads. The member forces calculated by the proposed method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four different approaches mentioned in current design codes, with the objective to establish the relative efficiencies of the proposed method.

주차장 구조물의 보와 거더의 등가차량 하중계수에 관한 연구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for Girder and Beam of Parking Garage Structure)

  • 곽효경;송종영
    • 전산구조공학
    • /
    • 제10권3호
    • /
    • pp.203-21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실무에서 이동 집중하중에 대한 별도의 복잡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지 않고도 등분포하중에 대한 부재력으로부터 손쉽게 차량하중의 영향을 고려한 거더와 보 부재의 설계 부재력을 구할 수 있도록 등가차량하중계수를 제안하였다. 먼저 국내에서 생산되는 중,소형 차량의 조사와 외국의 주차장 관련 설계규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주차장 구조물의 한계 활하중인 총중량 2.4ton의 설계기준차량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설계 활하중인 등분포하중(500kg/m/sup 2/)과 집중하중(P=2.4ton)에 대한 구조부재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상호 관계식을 부재 길이의 함수로 구성하였다. 나아가 제안된 등가차량하중계수를 대표적인 보와 거더 부재에 적용시켜 그 효율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 PDF

주차장 구조물 슬래브의 차량하중영향에 관한 연구 (Vehicle Load Effects on Slab of Parking Garage Structure)

  • 곽효경;송종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7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1-138
    • /
    • 1997
  • The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which can consider the concentrated wheel load effect in slab design of parking garage structure are proposed. Based on the standard vehicle with total weight of 2.4 ton which is desig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mall to medium vehicle produced in Korea and the review of numerous foreign design codes for parking garage structure, the effects of moving vehicle loads on slab are analyz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Besid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quivalent load factors and the sectional dimensions are established by regression analysis. The calculation of design forces can be easily accomplished without taking sophisticated numerical analysis for the moving vehicle load as the results obtained to the distributed load are multiplied by the proposed load factors in practice.

  • PDF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플랫 슬래브 주차장 구조물의 등가차량하증계수 (Determination of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for Flat Slab Parking Structur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곽효경;송종영;이기장;이정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3-240
    • /
    • 2002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vehicle loads on flat slab system a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for beam-girder parking structural system. The influence surfaces of flat slab for typical design section a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maximum member forces under vehicle loads. In addition, the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for flat slab parking structures are suggeste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network response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by numerical analyse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Levenberg-Marquardt algorithm adopted as training method in this paper. Many parameter studies fur the flat slab structural system show dominant vehicle load effects at the center positive moments in both column and middle strips, like the beam-girder parking structural system.

  • PDF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플랫 슬래브 주차장 구조물의 등가차량하중계수 (Determination of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for Flat Slab Parking Structur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곽효경;송종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15-124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보-거더 구조계 주차장 구조물에 대한 차량하중영향 연구를 토대로, 플랫 슬래브 구조계에서 차량하중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최대부재력을 일으키는 차량하중의 적용을 위해 플랫 슬래브의 주요 설계지점에 대한 영향면을 구성하였으며, 플랫 슬래브의 등가차량하중계수를 인공 신경망기법을 이용하여, 슬래브 두께, 지판 두께, 지판 크기, 슬래브의 단변, 장변 길이 등 주요구조변수로 제시하였다. 사용된 신경망의 훈련은 많은 패턴수를 갖는 비선형 회귀분석에 적합한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해석결과와 인공 신경망의 출력의 비교를 통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플랫 슬래브 구조계의 등가차량하중계수를 살펴보면, 보-거더 구조계의 경우와 유사하게 주열대와 중간대의 정모멘트 부재력에서 차량하중에 매우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플랫 슬래브 주차장 구조물의 차량 하중 영향 연구 (Vehicle Load Effects of Flat Slab Parking Structures)

  • 곽효경;이기장;이정원;송종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3-150
    • /
    • 2001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vehicle loads on flat slab system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beam-girder parking structural system. The influence surfaces of flat slab for typical design section are determin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member forces under vehicle loads. In addition, the equivalent vehicle load factors for flat slab parking structures are suggested using neural network. It has been found that vehicle load effects of flat slab system are dominant for the center positive moment in both column and middle strip, as like beam-girder parking structural system.

  • PDF

탄성받침을 사용한 도로교의 충격하중특성 분석 (Vehicular Impact Loading on with Laminated Rubber Bearing)

  • 김상효;허진영;신용준;이용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30-23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ynamic behavior of highway bridge due to moving vehicle load, considering the effect of laminated rubber bearing. Dynamic behaviors of bridge considering the effect of bearings are studied with 3-dimensional bridge and vehicle models. To analyze the effect of bearings on the dynamic behaviors of superstructures of bridges, laminated rubber bearing is modeled as 3-dimensional frame element with equivalent stiffness and damping, and the models are included in the bridge analysis model. The results from the analytical models with laminated rubber bearing show a significant effects on dynamic responses and more complex vibration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e bridge with pot bearings. Generally, larger dynamic amplification factors are obtained in the case of laminated rubber bearing, which is mainly due to the smaller torsional stiffness of the bridge with laminated rubber bearing. It can be recommended that were careful consideration on the vibration of bridges and dynamic load allowance in design are needed when adopting laminated rubber bearing.

  • PDF

차량 이동하중 해석에 의한 강합성 사장교 케이블의 충격계수 평가 (Evaluation of Cable Impact Factor by Moving Vehicle Load Analysis in Steel Composite Cable-Stayed Bridges)

  • 박용명;박재봉;김동현;최병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99-210
    • /
    • 2011
  • 사장교의 케이블은 타 부재에 비해 단면적이 매우 작고 고응력 상태이므로 진동에 매우 민감한 부재이다. 따라서 사장교 케이블의 충격계수는 실제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동적 효과를 반영하여 평가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 중량, 케이블 모델, 노면조도, 차량속도 및 차량간격의 설계변수를 고려하여 중앙경간 230m 및 540m의 강합성 사장교를 대상으로 차량 이동하중 해석을 수행하여 케이블의 충격계수를 평가하고, 현재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향선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노면조도는 ISO 8608 규정에 근거하여 랜덤 생성하였으며, 생성 회수에 따른 케이블 충격계수의 수렴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차량모델은 9-자유도를 갖는 트랙터-트레일러 형식의 트럭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차량의 운동방정식은 Lagrange운동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하였다. 해석 대상 교량은 3차원 유한요소모델로 구축하였으며 보강형과 주탑은 보요소, 케이블은 등가탄성계수를 갖는 트러스요소를 사용하였다. 이동하중으로 인한 교량-차량 상호작용 해석에는 직접적분법을 사용하였으며, 교량의 변위 오차율이 허용 범위 내에 수렴될 때까지 반복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제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동적 효과를 고려하지 못하는 영향선 기법은 차량 이동하중 해석에 비해 측경간 단부 케이블의 충격계수를 과소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AN ACCELERATED LIFE TEST PROCEDURE FOR COOLING FAN MOTORS

  • Shin, W.G.;Lee, S.H.;Song, Y.S.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7권6호
    • /
    • pp.757-762
    • /
    • 2006
  • Reliability of automotive parts has been one of the most interesting fields in the automotive industry. Especially, a small DC motor was issued because of the increasing adoption for passengers' safety and convenience. For several years, small DC motors have been studied and some problems of a life test method were found out. The field condition was not considered enough in the old life test method. It also needed a lot of test time. For precise life estimation and accelerated life test, new life test procedure was developed based on measured field condition. The vibration condition on vehicle and latent force on fan motor shaft were measured and correlated with each other. We converted the acceleration data into the load data and calculated the equivalent load from integrated value. We found the relationship which can be used for accelerated life test without changing the severity by using different loading factors.

신뢰도 기반 활하중모델에 의한 강합성 사장교의 충격계수 평가 (Evaluation of Impact Factor in Composite Cable-Stayed Bridges under Reliability-based Live Load Model)

  • 박재봉;박용명;김동현;이종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35-346
    • /
    • 2013
  • AASHTO LRFD 및 도로교한계상태설계기준에서는 신뢰도 기반 활하중 모델로부터 결정된 트럭하중과 차로하중을 동시에 재하하도록 하고 있으며, 트럭하중은 충격계수를 고려하되 차로하중은 충격계수를 적용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경간 230m, 400m 및 540m의 멀티케이블 강합성 사장교를 대상으로 트럭하중과 차로하중이 동시에 주행하는 경우에 대해 차량-교량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하고 케이블과 보강거더의 충격계수를 평가하였다. 트럭하중은 6-자유도의 차량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차로하중은 일련의 1축 차량이 연행해서 주행하는 것으로 모사하였다. 교량의 감쇠비가 충격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인 노면조도와 주행속도를 해석변수로 고려하였다. 노면조도는 ISO 8608 규정에 근거하여 랜덤 생성하였으며, 차량-교량 상호작용해석 시 노면조도는 트럭하중에만 적용하였다. 한편, 사장교의 충격계수 평가를 위해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향선 기법에 의한 충격계수를 동적 상호작용 해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