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ty for medical car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성, 연령, 지역에 따른 의료이용 형평성의 집단 간 비교 (Comparisons of the Equity of Medical Care Utilization by Sex, Age Groups, and Region)

  • 김진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2호
    • /
    • pp.319-344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의료이용 형평성지수인 집중지수와 Hiwv지수를 성별, 연령, 지역의 하위집단에 따라 집단 간 차이(Between)에 의한 부분과 집단 내부의 불평등(Within)에 의한 부분, 그리고 잔여 부분(R)으로 분해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이용 횟수에서 남녀의 집단 간 차이가 Hiwv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0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래비용에서는 Hiwv지수 .1035 중 여성들의 집단 내부불평등이 .0441을 설명하고 있어 빈곤여성들의 의료서비스 저이용이 의료이용 형평성에서 중요한 문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래이용 횟수 형평성에 연령집단의 차이는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미세한 양이지만 Hiwv지수 -.0107에서 대부분인 -.0085을 설명하고 있다. 셋째, 외래비용의 Hiwv지수에는 집단 내부의 불평등 특히, 노년층의 내부 불평등이 .0253을 설명하여 설명력이 크게 나타났다. 넷째, 외래비용의 Hiwv지수에 지역의 내부 격차(Within)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쳐서 Hiwv지수 .1035 중 .0569를 설명하였으며, 이 중 대부분인 .0535를 도시지역의 불평등이 설명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분석된 집단범주 중 외래이용 횟수의 형평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집단은 연령집단이었으며, 외래비용에서는 집단 간 격차보다 집단 내부의 불평등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여성일수록, 빈곤노인일수록, 도시빈민일수록 기대비용에 못 미치는 외래진료비를 지출하고 있음을 나타냈는데, 이들에 대한 의료비지원 정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의료이용의 형평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교 의료보험 피부양자를 대상으로- (Equity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n the Republic of Korea)

  • 명지영;문옥륜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72
    • /
    • 1995
  •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quity in the delivery of heatlh care under the Korean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yst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effects of income on the health care utiliztion and measure the income-related inequity in the distribution of health ca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fact that the health insurance program has been organized to achieve the equity objective, "equal treatment for equal needs". Of 41, 828 insured persons who had been diagnosed in the 1993 Health Screening Test and utilifzation data from 1, January 1993 through 31, December 1993 were derived from the Benefit Managment File. Inequity was measured by means of I) share approach, ii) standardization concentration curve approach, iii) inequity index, iv) test for inequit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expenditure shares of the top two quintile groups exceeded their morbidity shares,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of the bottom three quintile groups, Which showed a positive HI$_{LG}$ inequity index, suggesting the presence of some inequity favoring the rich group. 2. Compared with other residential areas, the rural area showed the highest positive HI$_{LG}$ irrespective of need indicatior applied. 3. Standardized expenditure concentration indices adjusted by age, gender and need structure were also found to be positive, and therefore still indicated that there has been inequity favoring the rich after the standardization. 4. The Loglikelihood Ratio (LR) test fo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come-related inequity of medical care utiliz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ing loglikelihood ratio test statistic value was 176, which did exceed the 0.5 percent critical value of the chi-square distribution with 28 degrees of freedom, which is 50.993. Therefore, the null hypothesis of no income-related inequity of medical care utilization was rejected at the 99.5 percent confidence level. 5. The Regression based F-test has been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income-related inequity of medical expenditure in terms of age, gender, morbidity indicators as explanary variables. The hypothesis of the absence of income-relate inequity was rejected for all need indicators at the 95% confidence level.nce level.

  • PDF

의료개혁 논의의 비교분석 (A Critical Analysis of the Perspectives on Health Care Reform in Korea)

  • 조병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7-233
    • /
    • 1998
  • This paper analyzed four different perspectives on health care reform in Korea in terms of the basic values, formulated problems and reform plans, implementation methods, and supporting groups. The medical security plan was insisted by social security specialists and social activists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medical insurance coops in order to enhancing equity and right of the people. However, its perspective was limited to promoting security instead of reforming health care system. The government proposed the health care reform plans in 1994 and in 1997, focusing on promoting efficiency by remedying many problems i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However, its implementation was not successful due to the lack of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supporters. Recently, two opposite proposals were issued. The market reform plan paid attention to revitalizing the market function to promoting efficiency by allowing hospitals to treat private patients instead of applying the medical insurance regulation. The government reform plan focused on intensifying governmental planning and intervention in the health care sector in order to removing inefficiency and promoting equity with the supports of social activists and labor unions. Finally, this paper proposed an alternative plan to promote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ctors in the health care system.

  • PDF

노인들의 응급의료이용 결정요인과 형평성 (The determinants of Emergency Care Utilization and Equity of Access to Care in Elderly Koreans)

  • 이석민;박주문
    • 도시과학
    • /
    • 제8권1호
    • /
    • pp.51-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응급의료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의료접근의 형평성을 조사하는 데 있다. 2014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기술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이 행하여졌으며 인터뷰에 참여했던 1,313명의 노인들이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연령, 성별, 교육수준 등의 인구변수들이 응급의료이용의 중요한 결정요인이었다. 의료요구는 노인 계층 간 응급의료이용의 차이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걸로 나타났으나 건강상태는 응급의료서비스를 사용하는 노인들의 중요한 결정요인이었다. 의료비지출은 응급의료서비스이용의 계층 간 차이를 개선하지 못했으나 응급의료이용의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남았다. 한국에서 의료개혁은 의료요구를 가진 노인들이 효과적인 진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전국민 응급의료 보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연구도 75세 이상의 교령노인과 여성 및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 그리고 높은 의료비 지출을 하는 노인과 같은 인구계층들에게 혹시 있으지 모르는 의료접근의 장애들을 허무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소득계층별 보건의료이용의 양적.질적 차이 분석 -광주.전남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 Based on the Survey of Gwangju-Jeonnam Residents)

  • 김정주;오주환;문옥륜;권순만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4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quity of health care utilization by income groups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care, which is measured by expenditure, type of care, and type of health care institutions. Equ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is measured by HIwv index, based on the survey of 1,480 Gwangju-Jeonnam residents. Health care utilization in terms of the probability and quantity of outpatient and inpatient care show equitable or pro-poor inequitable distribution, whereas the distribution of health care expenditure, which can account for the quality of care, is pro-rich inequitable, implying that the better off tend to use more expensive medical care. In terms of the types of care, simple visits for basic care show equitable distribution, whereas the distribution of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tonic medicine,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CT, MRI, and ultrasound is pro-rich inequitable. Utilization of general hospitals and traditional health institutions show pro-rich inequitable distribution, hospitals and dental care institutions equitable, and physician clinics and public health centers pro-poor inequitable.

의료필요를 고려한 의료이용의 형평성 분석 (Analysis of the Inequalities in Healthcare Service Usage Considering Healthcare Service Needs)

  • 이용재;이현옥;김형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35-445
    • /
    • 2017
  • 본 연구는 단순 의료이용의 차이를 확인하거나 제한적인 의료필요와 의료이용지표를 활용하여 의료이용의 형평성을 연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의료필요지표로 활동제한여부, 만성질환이환여부와 수, 주관적 건강상태를 활용하였고 의료이용지표로 외래와 입원, 응급이용횟수와 진료비를 활용하였다. 아울러 의료필요를 고려한 의료이용의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집중지수와 집중곡선, Le Grand계수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단순한 의료이용 집중정도로 볼 때 저소득층의 의료이용량이 고소득층에 비해서 많은 것이다. 특히, 저소득층 입원이용이 외래나 응급이용에 비해서 크게 많았다. 둘째, 저소득층에게 의료필요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소득층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이다. 셋째, 의료필요를 고려한 의료이용의 형평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e Grand계수를 산출하였다. 의료필요를 고려하더라도 고소득층의 의료이용량이 많았다. 즉, 단순한 양적인 의료이용은 저소득층의 이용이 많았지만, 의료필요를 고려한 의료이용횟수는 고소득층이 많은 것이다. 또한, 전체진료비는 활동제한여부와 만성질환수를 고려했을 때는 고소득층의 의료이용이 많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만성질환이환여부를 고려하였을 때는 저소득층의 의료이용이 많았다. 따라서 대체로 저소득층이 건강상태에 비해 의료이용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저소득층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만성질환이환여부 관련 의료필요에 비해 의료비지출이 많았는데 이는 저소득층이 스스로의 건강상태와 만성질환이환에 대한 인식을 소극적으로 함으로써 의료필요가 과소평가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한국의 소득수준 간 의료이용 차이의 계량적 분석: 2015 (Econometric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Medical Use among Income Groups in Korea: 2015)

  • 오영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9-351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mpiricall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medical use among income groups, and if so, how much. This study applies econometric model to the most recent year of Korean Medical Panel, 2015. The model consists of outpatient service and inpatient service models. Methods: The probit model is applied to the model which indicate whether or not the medical care has been used. Two step estimation method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s applied to the models of outpatient visits, hospital days, and outpatient and inpatient out-of-pocket cost models, with disconnected selection problem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the inequality favorable to the low income group in medical care use. However, after controlling basic medical needs, there were no inequities among income groups in the outpatient visit model and the model of probability of inpatient service use. However, there were inequities favorable to the upper income groups in the models of probability of outpatient service use and outpatient out-of-pocket cost and the models of the number of length of stay and inpatient out-of-pocket cost. In particular, it shows clearly how the difference in outpatient service and inpatient service utilizations by income groups when basic medical needs are controlled. Conclusion: This means that the income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degree of inequality in outpatient and inpatient care services. Therefore, the existence of medical care use difference under the same medical needs among income groups is a problem in terms of equity of medical care use, so gre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policies to improve equity among income groups.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 융합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Spatial Equity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and Services)

  • 이성진;윤기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65-72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을 측정·분석하여 공간적 배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유형과 기능 등에 대한 사회복지학 및 공간 배치의 형평성에 대한 지리학 또는 지역개발학의 학문을 융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공간적 배치(욕구 대 서비스)의 경우 노인의료복지시설은 시·군지역 모두에 있었지만, 대체로 시지역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지역적 배분의 형평성의 경우 시지역과 군지역을 비교해보면 시지역에 비해 군지역의 형평성이 높다. 셋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에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은 시설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며, 거리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공간적 형평성은 시와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보이며, 군지역에 비해 시지역의 공간적 형평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언을 하였고, 사물인터넷, AI 등의 기술을 접목한 융합 연구들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디지털고객경험에 따른 브랜드자산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네트워크 전문병원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Assets on Word of Mouth Intention according to Digital Customer Experience: -Focusing on Network Specialized Hospitals-)

  • 조세민;김동일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14
    • /
    • 2023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해 의료기관에 요구되는 브랜드자산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병원의 디지털고객경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나아가 병원의 브랜드자산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고객경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시각적 요인과 브랜드자산, 기능적 요인과 브랜드자산, 고객 서비스 요인과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에 대한 경로는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브랜드자산과 구전의도의 관계에 대한 경로 역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료기관의 브랜드자산 구축과 기존 고객과의 관계 강화 및 가치창출행위와 관련된 고객의 구전의도를 위해 디지털 서비스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고객서비스 및 혜택의 제공을 제안하는 것에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지역의료보험의 실시에 따른 의료이용변화 분석 : 소득계층별 의료필요충족도를 중심으로 (Effects of Regional Health Insurance on Access to Ambulatory Care)

  • 배상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7-203
    • /
    • 1992
  • The effects of regional health insurance on access to ambulatory care are examined in this paper. Access is measured as use-disability ratios. The data are collected in a household interview survey at Hwachon county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regional health insurance. Before the introduction of regional health insurance, low-income class has less contacts with physicians than high-income class. This disparity in accessibility among economic classes is reduced with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but not removed, even after adjusting for health ne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