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phora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고양이 증식성 호산구성 각막염에서 국소적인 사이클로스포린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점안 1례 (A Case of Feline Proliferative Eosinophilic Keratitis Treated by Topical Cyclosporine and Corticosteroids)

  • 안정택;정만복;김세은;박영우;김태현;안재상;이소라;이창우;서강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51-754
    • /
    • 2010
  • 6 년령 중성화 암컷 페르시안 고양이가 3개월동안 우안의 재발성 각막궤양, 각막혼탁, 각막 혈관화를 주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병변은 그 기간동안 국소적인 항생제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점안에 치료반응이 없었다. 우안에서 유루증, 안검경련과 같은 안구통증 증상이 확인되었다. 미세 틈새등 현미경 검사에서 우안의 각막 전체에 분홍색에서 흰색을 띄는 부종성의 불규칙한 덩어리와 미약한 결막염을 확인하였다. 임상증상을 통해 고양이 증식성 호산구성 각막염으로 잠정 진단하였다. 각막의 세포학적 검사결과에서 다수의 호산구와 비만세포가 관찰되어 잠정적으로 내렸던 진단을 확진하였다. 본 환자는 국소적인 항생-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합제, 사이클로스포린 연고, 트리플루리딘 점안과 전신적인 L-lysine 의 경구투여로 치료하였다. 치료시작 18일 후 내원 시 병변은 눈에 띄게 호전되었다. 국소적인 코르티 코스테로이드와 사이클로스포린의 병용치료는 고양이 증식성 호산구성 각막염에 유용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누소관 열상환자에서 Mini Monoka$^{(R)}$를 이용한 지연된 스텐트 삽입술 (Delayed Lacrimal Stent Implantation Using Mini Monoka$^{(R)}$ in Canalicular Laceration)

  • 황재하;김홍민;김지훈;김광석;이삼용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0권1호
    • /
    • pp.32-37
    • /
    • 2011
  • Purpose: Canalicular laceration is relatively common due to its exposed, vulnerable location in case of facial trauma. Conjunctivodacryocystorhinostomy has been the standard treatment for canalicular obstruction secondary to unrepaired canalicular laceration. In spite of a high rate of relieving tear-duct obstruction, this method is noted to be associated with low rate of patient satisfaction and a number of complicati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good results of delayed lacrimal stent implantation with Mini Monoka$^{(R)}$ for patients whose canaliculi were not repaired by initial surgery. Methods: From May of 2005 to February of 2007, four patients who underwent delayed lacrimal stent implantation using Mini Monoka$^{(R)}$ in canalicular lacerat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irst, the previous scar incision was made over the lower lid and we identified the cut end of proximal lacerated canaliculus. The Mini Monoka$^{(R)}$ was passed through the punctum to the cut end of the proximal lacerated canaliculus. We identified the cut end of the distal lacerated canaliculus, whose cut end has rolled white edges after careful excision of the scarred lid tissue. We then passed Mini Monoka$^{(R)}$ through the lacerated inferior canaliculus. Using an operating microscope, we placed three interrupted sutures of 8-0 Ethilon to join the canalicular ends. Silicone stent was left in place for 6 month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8.5 years (range, 35 to 59 years). The time interval from initial trauma to delayed lacrimal stent implantation was between 3 and 31 days. Follow-up periods ranged from 12 and 20 months. Results: The results of reconstruction were classified into normal, fair and poor. Patent lacrimal drainage systems were achieved in three of the four cases. In one case, epiphora was encountered. No cases of stent displacement, conjunctivitis or granuloma formation were encountered. Conclusion: Even though canalicular reconstruction was delayed for a long time, attempting canalicular reconstruction would be acceptable before considering secondary operations like dacryocystorhinostomy and conjunctivodacryocystorhinostomy.

  • PDF

갑상선암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발생한 코눈물길 폐쇄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fter Radioactive Iodine Therapy for Thyroid Cancer)

  • 황문원;이응;양재욱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6
    • /
    • 2014
  • 목적: 갑상선암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발생한 코눈물길 폐쇄의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갑상선암 수술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은 환자 총 622명 중 눈물흘림 증상으로 성형안과에서 관류검사, 더듬자 검사 및 눈물주머니 조영술을 통해 코눈물길 폐쇄를 진단 받은 14명(1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량과 횟수, 코눈물길 폐쇄의 임상양상, 치료법을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코눈물길 폐쇄가 진단된 환자 14명은 코눈물길 폐쇄가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평균 치료 용량($215.7{\pm}23.1mCi$, p=0.01)과 치료횟수($1.36{\pm}0.50$회, p<0.001)가 유의하게 높았다. 눈물흘림 증상 발생까지 평균 10.2개월, 진단까지 평균 18.4개월이 걸렸다. 14명(18안) 중 공통눈물소관폐쇄는 3명(3안), 코눈물관폐쇄는 11명(15안)이었다. 10명(13안)은 눈물길의 완전폐쇄가 확인되어 내시경하눈물주머니 코안연결술을 시행 받았으며, 4명(5안)은 부분폐쇄를 보여 내시경하 실리콘 관을 삽입하였다. 결론: 갑상선암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코눈물길 폐쇄가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눈물흘림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있을 경우 합병증으로 코눈물길 폐쇄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초기에 성형안과에 의뢰하여 전문적인 평가 및 치료가 시행되어야 한다.

개에서 전기제모술을 이용한 첩모중생의 치료 1례 (A case of distichiasis treatment using electroepilation in a dog)

  • 강명곤;한동현;한세명;정은겸;김경민;이신호;신윤주;강주빈;이동빈;고필옥;조재현;원청길;김충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5-330
    • /
    • 2022
  • Distichiasis is one of the diseases commonly encountered in companion animals, and these abnormal eyelashes cause corneal ulcers, continuous eye irritation, eye pain, glare, epiphora, foreign body sensation and can cause corneal opacity and vision loss in severe cases. In this study, an eyelash epilation needle for animal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 real case, and the results were observed. In a case of corneal ulcer caused by distichiasis of a 2-year-old Shih Tzu, a high-frequency surgical instrument for animals was converted into an electric epilation needle to attempt a procedure to destroy the eyelash hair follicles on the upper eyelid. A epilation needle was developed to have a diameter of 0.1 mm and a length of 4 mm at the end of the handle of DOCTANZ 400,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animals only. In the procedure, 2~3 mm of an epilation needle was inserted into the hair follicle, and 1 watt of electric power was applied to the hair follicle for about 5 sec. to carry out electrolysis until white bubbles were generated around the meibomian glands thereby destroying the hair follicle. As a result, no eyelashes grew any longer in the treated area indicating that the treatment was successful. It is hoped that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so that it will be widely used as a treatment method for distichiasis in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frequently seen hereafter.

애완토끼에서 과잉성장된 하악치아의치신경치료 연구 (Nonvital Pulp Therapy of Elongation of Roots of Mandibular Cheek Teeth in Pet Rabbits)

  • 박천식;차세연;강민;김주리;정순욱;장형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74-482
    • /
    • 2012
  • 애완 토끼의 치아는 정교하게 배열되고 정렬되어 서로 마모되면서 그 형태와 교합을 유지한다. 어떠한 요소이던 치아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요소는 비록 작은 부분이라고 하더라도 부정교합을 일으키고 크라운의 과잉성장을 야기한다. 토끼의 후천적 치아질환과 부정교합은 치아 뿌리의 성장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현상은 애완토끼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정상위치를 벗어난 치아 뿌리는 두개골을 관통하여 농양을 형성한다. 치아문제와 관련된 임상증상으로는 식욕저하, 유연, 치근농양, 과도한 눈물분비가 있다. 임상증상이 나타난 토끼들에게는 치신경 치료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통증, 식욕부진, 유연, 과도한 눈물분비, 누낭염 증상으로 치신경 치료를 받은 토끼들의 외과적 절차와 수술후 회복과정을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31케이스 중 후천적 치아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10마리의 토끼는 치신경 치료를 받았다. 치신경 치료는 치아 뿌리의 성장을 영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 Root canal 의 치수 조직을 제거한 후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이후 Guatta percha points와 IRM으로 치수강을 채웠다. 치신경 치료 후 10개중 8개의 케이스에서 예후가 좋았고, 토끼 보호자분들의 수술후 관리가 양호하였다. 본 결과를 통하여 하악 어금니의 치아 뿌리가 과잉성장한 케이스에서 치신경 치료가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