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al thicknes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4초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ee Venom on Phthalic Anhydride-Induced Atopic Dermatitis

  • Oh, Myung Ji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42-48
    • /
    • 2020
  • Background: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inflammatory condition which can be studied using phthalic anhydride (PA) to induce A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bee venom (BV) were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it may be a useful treatment for AD. Methods: AD was induced by applying to pical PA to 8-week-old HR-1 mice (N = 50), then treating with (0.1, 0.25, and 0.5 ㎍) or without topical BV. Body weight, ear thickness histology, enzyme-linked immune sorbent assay (serum IgE concentrations), Western blot analysi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κB-α, phospho-IκB-α, c-Jun N-terminal kinase (JNK), phospho-JNK, p38, phospho-p38, extra 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nd phospho-ERK], and the pull down assay for immunoblotting (p50), were used to measure inflammatory mediators. Results: PA + BV (0.1, 0.25, and 0.5 ㎍) significantly decreased ear thickness without altering body weight. IgE concentrations decreased in the PA + BV (0.5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PAtreatment.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1β,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phospho-IκB-α, phospho-JNK, p38, phospho-p38, and phospho-ERK, all decreased following treatment with PA + BV compared with the PA-treatment alone. p50 was upregulated in the PA + BV-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PA-treated group. Furthermore, the number of mast cells decreased in the PA + BV-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PA-treated group. Epiderma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 + BV-treated group compared with PA treatment alone. Conclusion: BV maybe a useful anti-inflammatory treatment for AD.

가교키토산 매트릭스를 통한 Silver Sulfadiazine의 투과 (Permeability of Silver Sulfadiazine through Crosslinked Chitosan Matrices)

  • 나재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640-648
    • /
    • 1996
  • Chitin을 epichlorohydrin과 반응시켜 가교 chitin을 합성하고, $C_2$ 위치의 아세트아미드기를 탈아세틸화하여 가교 chitosan을 얻었다. 가교 chitosan을 증류수에 팽윤시킨 다음 글리세린과 silver sulfadiazine을 가하여 고분자 matrix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matrix로부터 in vitro에서의 약물 방출 pattern을 고찰하기 위해 pH7.4 인산염 완충용액 중에서 약물의 함유량, 글리세린의 농도 변화 및 matrix 두께변화에 미치는 인자들에 관하여 연구 검토 하였다. 고분자 matrix내의 약물의 함유량과 matrix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약물 방출 지속 시간은 지연되었다. 그러나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물 방출 지속 시간은 오히려 감소 하였다. 또한 약물의 함유량과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겉보기 방출속도상수 (K)값도 증가하였으나, matrix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겉보기 방출속도상수(K)값이 일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가교 chitosan은 약품의 방출 조절형 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나타냈으며, 약물로 사용된 silver sulfadiazine의 방출거동은 Higuchi model에 따른 확산으로 생각되었다.

  • PDF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the Cutaneous Changes Induced by Topical Use of Novel Peptides Comprising Laminin 5

  • Park, Kyong Chan;Kim, Se Young;Khan, Galina;Park, Eun So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3호
    • /
    • pp.304-309
    • /
    • 2022
  • Background Laminin 5, which is found in the basement membrane of dermal-epidermal junction (DEJ), is a major adhesive component and associated with proliferating and migrating keratinocytes.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topical application of the skin care products containing the novel peptides might restore the DEJ structure by deriving deposition of laminin 5 and promoting the keratinocyte migration. Here, we evaluated the restoration of DEJ by measuring the skin thickness. Methods Single-center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13 patients who underwent skin care using Baume L.C.E. (France, Laboratories d' Anjou) between January and March 2021. All patients applied the skin care agent for 2 weeks only on their left hand dorsum. Before the initiation of the application and after 2 weeks, both their hands were evaluated on photography and ultrasound. And the patients were asked to rat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questionnaire after 2 weeks. Results There was no obvious improvement in photographic assessment and questionnaire. The post-pre difference of skin thickness in ultrasound images was, in left hand, 0.1 ± 0.37 in distal point and 0.1 ± 0.35 in proximal point; and, in right hand, 0 ± 0.17 in distal point and 0 ± 0.15 in proximal point, respectively. The pre-post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ximal point (p = 0.035). Conclusion Topical application of novel peptide derivative comprising laminin 5 demonstrated cutaneous changes including skin thickness, as assessed by ultrasound. Further studies using other modalities including dermal density measurement, three-dimensional photograph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r skin biopsy would be helpful to determine the skin-improving effects.

복섬, Takifugu niphobles 피부계의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 특징 (Ultrastructure and Histochemistry on the Integumentary System of the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Teleostei: Tetraodontidae))

  • 안철민;김재원;진영국;박정준;이정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1-209
    • /
    • 2007
  • 광학현미경상에서 복섬, Takifugu niphobles의 피부 표면은 불규칙한 주름을 가지는데, 이들 주름은 등 쪽보다 배 쪽에서 훨씬 뚜렷했다. 피부계는 외부로부터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분되며, 상피층은 다층상피층으로 상피세포, 점액세포, 곤봉상세포, 과립세포 그리고 multivacuolar gland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피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기저세포로 구분되며, 표면상피의 자유면은 미세융기로 덮여 있었다. 상피층의 선세포는 단세포선과 다세포선으로 구분되었다. 점액분비선은 다세포선의 형태로 점액세포들은 중성 당단백질의 점액물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Multivacuolar gland들은 장경 약 $20{\mu}m$의 vacuole cell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Vacuole cell들은 커다란 중심공포를 가지며, 잘 발달된 desmosome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점액분비선과 multivacuolar gland는 등 쪽에 비해 배 쪽에서 훨씬 발달되어 있었다. 진피층의 두께는 배 쪽 피부계의 경우에는 상피세포층의 3~5배였다. 진피층은 치밀결합조직으로 교원섬유, 섬유세포, 가시의 기저부, 색소세포 및 다수의 신경세포 분포가 확인되었다.

Oxyfluorfen에 대한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의 생리활성(生理活性) 기구(機構) - II. 잎 표면(表面), 해부(解剖) 및 미세구조(微細構造) 반응(反應) (Differ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Selected Rice Cultivars to Diphenylether Herbicide, Oxyfluorfen - II. Different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Responses)

  • 국용인;구자옥;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4-63
    • /
    • 1996
  • Oxyfluorfen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감수성(感受性)인 피에 대하여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잎 표면구조(表面構造) 및 해부(解剖) 특성(特性)과 미세구조(微細構造) 반응(反應)을 관찰하였으며, 유이제초제(類似除草劑)에 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1.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은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잎 면적(表面)의 구조적(構造的)인 피해를 볼 수 없었으나, 감수성(感受性)인 벼품종(品種)은 납질(蠟質)의 손상이 크고, 감수성(感受性)인 피는 조직이 불규칙하게 붕괴되는 현상까지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엽신(葉身)의 두께 감소도 컸다. 2.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은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해부학적(解剖學的)인 변화가 적었으나,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표피세포(表皮細包), 엽육세포(葉肉細包) 및 유관속초세포의 파괴가 컸으며 특히, 처리 후 24시간의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에서는 조직이 완전히 붕괴되었다. 3. Oxyfluorfen 처리에 의해 chloroplast 모양의 불규칙성과 chloroplast envelope의 distortion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고, 전분(澱粉)도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이와 같은 구조적(構造的) 손상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는 감수성(感受性)인 벼품종(品種)과 피에서 더 심했다. 4. Oxyfluorfen과 유사한 제초제(除草劑) 처리에 의하여서도 엽신(葉身)의 두께 감소는 oxyfluorfen > acifluorfen > bifenox > oxadiazon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에서 더 커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은 oxyfluorfen과 bifenox 처리 후 24시간에 이미 표피세포(表皮細包) 및 유관속초세포 손실 등으로 조직이 상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보였다.

  • PDF

회화나무 녹병균(Uromyces truncicola)의 형태적 특징과 감염 기주의 조직해부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Rust Fungi, Uromyces truncicola, and Histological Changes in the Infected Host Tree, Sophora japonica)

  • 길희영;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77-284
    • /
    • 2010
  • 회화나무 녹병균(Uromyces truncicola)은 기주식물의 줄기와 가지 그리고 잎에 감염하고 회화나무의 감염률은 78%였다. 이 녹병균의 겨울포자는 밤갈색으로 원형~난형이었으며, $29-37{\times}24-27\;{\mu}m$ 크기였고, 여름포자는 황갈색으로 타원형~난형이며 포자 표면에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고 $28-39{\times}19-22\;{\mu}m$ 크기였다. 이 병으로 감염된 가지에서는 코르크층이 비후되었고, 방사유조직은 비틀어지고 갈라지거나 합쳐졌으며 유세포가 증가하였다. 건강한 회화나무 가지의 방사유조직은 1열에서 2열인 반면에, 감염 가지의 방사유조직은 3열 이상의 유세포들이 방추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감염 가지에서는 도관들이 다양한 형태로 비틀어져 있었고, 내수피 부분과 일부 목부조직의 세포간극에는 황색물질이 형성되어 있었다. 병 발생이 적은 개체에서는 가지의 털은 밀생하고 길었으며, 잎의 상표피 두께는 평균 23.3 ${\mu}m$인데 비하여, 병 발생이 심한 개체에서는 가지의 털이 상대적으로 덜 밀생하고 짧았으며, 상표피의 두께는 평균 17.4 ${\mu}m$였으므로, 저항성 개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III.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간(間의) 미세구조(微細構造) 차이(差異)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III. Difference in Stem Surface and Ultrastructures)

  • 천상욱;구자옥;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4-155
    • /
    • 1994
  • 재배양식(栽培樣式)을 달리하여 생육하는 벼와 피의 줄기 표면(表面) 및 최외곽(最外廓) 표피세포(表皮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 차이(差異)를 파악하여 제초제(除草劑) 사용원리(使用原理)와 잡초방제요점(雜草防除要點)을 연관지어 밝히고자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SEM)과 투사전자현미경(投射電子顯微鏡)(TEM)을 이용(利用)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줄기의 표면구조(表面構造) 차이(差異) 가.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는 표면(表面)벼와 토중(土中)벼간에 차이(差異)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표면(表面)벼가 토중(土中)벼에 비하여 더 매끄러운 표면(表面)을 형성하였다. 건답직파(乾畓直播)는 최외부층의 납질(蠟質)구조가 아령모양(啞鈴模樣)을 하고 있으며 기공열(氣孔列)과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이 있으나 피는 납질(蠟質)이 실모양이며 모용, 기공열(氣孔列) 및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은 없었다. 나. 담수직파(湛水直播)된 벼 줄기표면(表面)은 미분화(未分化)된 조직(組織)의 상태(狀態)를 나타내며 모용,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 및 기공열(氣孔列)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 이앙후(移秧後) 8일(日) 및 25일(日)된 묘(苗)의 표면구조(表面構造)는 건답직파(乾沓直播)벼의 구조(構造)보다 기공열(氣孔列),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 납질(蠟質) 및 모용의 발달(發達)이 더 많았다. 2. 최외부(最外部) 세포벽구조(細胞壁構造) 차이(差異) 가. 최외부(最外部) 납질(蠟質)두께는 이앙(移秧)벼가 가장 두꺼웠고 건답(乾沓)벼가 피나 담수(湛水)벼보다 2~6배 두꺼웠다. 나. 벼의 큐티클층(層)은 이앙(移秧)벼와 건답(乾沓)벼보다는 담수(湛水)벼가 두꺼웠으나 반대로 담수(湛水)피보다는 건답(乾沓)피가 두꺼웠고 전반적으로는 피보다 벼가 더 두꺼웠다. 다. 세포벽(細胞壁)은 이앙벼가 가장 두꺼웠고 피보다는 벼가, 건답(乾沓)벼보다 담수(湛水)벼가 그리고 건답(乾沓)피보다 담수(湛水)피가 두꺼웠다.

  • PDF

아토피피부염이 유발된 마우스에 대한 3종 가감방풍통성산(활석 제외)의 효과 비교 (Effects of Three Types of GagamBangpungtongseong-san(Except Talcum) on the Atopic Dermatitis in Mice)

  • 임경민;송지훈;김종한;최정화;정민영;박수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6
    • /
    • 202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3 types of BTS which were excluded talcum only or replaced talcum to Lonicera japonicae Flos or Kochiae Fructus on the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in mice. Methods : In this study,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control, GBT(BTS except talcum), GBTG(GBT added Lonicera japonicae Flos), and GBTJ(GBT added Kochiae Fructus). And the effects on atopic dermatitis were evaluated by weight change, ear's thickness and weight, thickness of dorsal skin, severity scale of dorsal skin, histopathologic findings of dorsal skin by H&E and toluidine blue stain, proliferation of splenocyte and thymocyte in vitro, proliferation of splenocyte in vivo, IL-4, TNF-α, IgE in serum.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ly changes in body weight and effect of ear's weight in GBT, GBTG, and GBTJ group. The thickness of ear of GBT and GBTJ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nd the thickness of dorsal skin of GBTJ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BT, and GBTG group. All the treated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everity scale, histopathologically reduced epidermal thickness, and mast cell infiltration. In vitro, all the treated groups increased in the proliferation rates of splenocyte. However, in vivo study, it showed a falling tendency and GB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BTG, and GBTJ group. In vitro study, GBTG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roliferation rates of thymocyte. There was no IgE contents chnage in GBT, GBTG, and GBTJ groups but IL-4 and TNF-α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s : GBT, GBTG, and GBTJ are expected to improv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development of BTS's transformation.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에 기생하는 피부흡충, Entobdella hippoglossi의 기생밀도와 숙주 점액 세포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nogenean Skin Parasite Entobdella hippoglossi and Mucous Cell Distribution of its Host the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

  • 윤길하;크리스티나 소머빌;조재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4-138
    • /
    • 1999
  • 피부흡충인 Entobdella hippoglossi가 숙주인 Atlantic halibut의 피부에 기생할 때 기생 부위별 밀도와 숙주의 피부 점액세포 밀도를 조사하여 E. hippoglossi의 기생이 피부점액 세포의 밀도와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숙주인 Atlantic halibut 복측과 배측에 기생하는 E. hippoglossi의 밀도는 비슷하였으나 기생충의 크기는 복측이 배측보다 더 컸으며, 배측내에서는 배측의 머리부분에 기생하는 E. hippoglossi의 밀도가 배측의 중앙부나 꼬리부분에서보다 높았다. 숙주의 점액세포 크기, 밀도 그리고 표피 점액층의 두께는 대체로 기생충의 밀도와 비례하였고, 숙주내에서 기생충의 선택적 기생은 점액세포의 밀도와 관계가 있었다.

  • PDF

Trichilemmal Carcinoma from Proliferating Trichilemmal Cyst on the Posterior Neck

  • Kim, Ui Geon;Kook, Dong Bee;Kim, Tae Hun;Kim, Chung Hu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0-53
    • /
    • 2017
  • Trichilemmal cysts are common fluid-filled growths that arise from the isthmus of the hair follicle. They can form rapidly multiplying trichilemmal tumors-, also called proliferating trichilemmal cysts, which are typically benign. Rarely, proliferating trichilemmal cysts can become cancerous.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ho experienced this series of changes. The 27-year-old male patient had been observed to have a $1{\times}1cm$ cyst 7 years ago. Eight months prior to presentation at our institution, incision and drainage was performed at his local clinic. However, the size of the mass had gradually increased. At our clinic, he presented with a $5{\times}4cm$ hard mass that had recurred on the posterior side of his neck. The tumor was removed without safety margin, and the skin defect was covered with a split-thickness skin graft. The pathologic diagnosis was a benign proliferating trichilemmal cyst. The mass recurred after 4months, at which point, a wide excision (1.3-cm safety margin) and split-thickness skin graft were performed. The biopsy revealed a trichilemmal carcinoma arising from a proliferating trichilemmal cyst. This clinical experience suggests that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malignant changes when diagnosing and treating trichilemmal cy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