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chlorohydrin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3초

DDVP, Malathion 및 Diazinon유제의 경시변화 특성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DDVP , Malathion and Diazinon Emusifiable Concentrates)

  • 유주현;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6-154
    • /
    • 1992
  • 유기인계 살충제 유제의 경시변화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3종의 농약원제(DDVP, malathion 및 diazinon), 3종의 용매(xylene, cyclohexanone 및 DMF), 조제된 유화제 9종 및 분해방지제 epichlorohydrin을 재료로 조성과 수분함량을 달리하는 시험용 유제를 제제한 다음 $54^{\circ}C$에서 15일간, $38^{\circ}C$에서 9일간 각각 고온학대처리하여 유효성분의 경시변화를 조사하고 상호비교하였다. DDVP원제는 $54^{\circ}$에서 초기에 크게 분해되었으나 경시적으로 분해속도가 완만해졌다. 한편 malathion과 diazinon은 점차 분해가 촉진되었으며, diazinon의 경시변화가 가장 심하였다. 유제중 유효성분의 경시변화는 사용한 용매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로 용매의 극성이 증가할수록 경시변화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유화제를 첨가한 유제는 수분함량과 경시변화율이 증가하였으며,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경시변화의 차이가 심하였다. 유제중의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경시변화율이 증가하였으며, 약제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DDVP가 수분함량증가에 대하여 가장 안정하였으며, diazinon이 가장 불안정하였다. Malathion과 diazinon유제는 epichlorohydrin에 의한 분해방지 효과가 탁월하였으나, DDVP유제에서는 그 효과가 매우 작았다. 고온학대처리조건이 달라도 경시변화경향은 유사하였으나, $38^{\circ}C$에서 90일간 보관한 유제의 경시변화율이 $54^{\circ}C$에서 15일간 보관한 것보다 1-2배 크게 나타났다.

  • PDF

Chitin 및 Chitosan에의 고정화 탄닌의 금속이온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sorption Characterics of Metallic Ions by Tannin Immobilized on Chitin and Chitosan)

  • 김창호;장병권;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4권1호
    • /
    • pp.204-215
    • /
    • 1993
  • 게껍질과 같은 수산계 페기물로부터 추출한 chitin과 epichlorohydrin을 반응시켜 epoxy-activated chitin을 합성하였다. 이것을 hexamethylene diamine을 사용하여 aminohexyl chitin을 합성하였고 다시 epichlorohydrin과 반응시켜 epoxy-activated aminohexyl chitin을 합성하였다. 최종적으로 epoxy-activated aminohexyl chitin을 tannin을 고정화시킨 chitin(Resin I)을 합성하였다. 또한 chitosan과 silane coupling agent인 $\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 silane을 반응시켜 tannin을 고정화 시킨 chitosan(Resin II)을 합성하였다. pH를 변화시키면서 $Cu^{+2}$, $Ni^{+2}$, $Cr^{+6}$, $Co^{+2}$, $Pb^{+2}$, $Ba^{+2}$, 및 $UO_2{^{2+}}$와 같은 금속이온들에 대한 고정화 tannin의 흡착은 batch법으로 측정하였다. 금속이온들에 대한 이들 고정화 tannin의 흡착 경향은 pH의 증가와 더불에 흡착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pH의 변화, 접촉시간, 수지의 양 그리고 금속이온의 농도에 따른 Resin(I)과 Resin(II)의 흡착능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chitin과 chitosan에 고정화 시킨 tannin은 uranyl이온에 대해 좋은 흡착능을 보였다.

  • PDF

가교결합 감자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rosslinked Potato Starch)

  • 김향숙;이영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73-579
    • /
    • 1996
  • Epichlorohydrin과 반응시켜 제조한 가교 결합 감자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가교화 반응의 수율은 평균 85.2%, 가교화도는 epichlorohydrin 첨가량이 전분 건량의 0.005%일 때 2400 AGU/CL이고 0.01% 증가시 가교결합 1개 당 200개의 무수포도당 단위씩 감소하였다. 가교화에 의해 일반성분 중 평형 수분함량, 조단백, 회분함량이 감소하였다. 천연 및 가교결합 감자전분의 인 함량은 $0.07{\sim}0.09%$로 동부 전분 0.01%에 비해 높았다. 물결합능력은 가교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가교화도가 2100 AGU/CL일 때 85.2%로 동부 전분 86.3%와 비슷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전분의 요오드 흡착 특성은 천연감자 전분이 594nm, 동부 전분이 598 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냈으며, 가교화에 의해 580 nm 근처로 이동하였다. 청가로부터 계산한 아밀로오스 함량은 감자 전분이 21.1%, 동부 전분이 27.7%이었으며, 가교결합 감자 전분은 알카리에 의한 완전 호화 팽윤이 억제되어 아밀로오스 함량 측정은 불가능하였다. 감자 전분 입자는 작은 것은 구형, 큰 것은 타원형이 많았으며, 크기는 $8{\sim}57{\mu}m$로 타원형의 동부 전분 $7{\sim}23{\mu}m$보다 컸으며, 가교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기 분포는 약간 큰 쪽으로 이동하였다. 천연 감자 전분의 표면은 매끄러웠으나, 가교반응에 의해 표면이 녹아내리듯 거칠어졌다. X-ray 회절양상은 가교화에 의해 변하지 않아 천연 감자 전분과 동일한 B형을 나타냈으며, 상대결정화도는 $34.0{\sim}36.1%$로 천연 감자 전분의 34.1%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호화온도(Tp)는 천연 감자 전분의 $43.1^{\circ}C$, 가교결합 감자 전분은 $62.9^{\circ}C{\sim}63.4^{\circ}C$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호화엔탈피($-{\Delta}H_G$)는 $10.63{\sim}11.32J/g$으로 천연 감자 전분과 비슷하였다. X-ray 회절도와 시차주사열량계 결과로부터 가교결합은 전분 입자의 비결정질 영역에서 이루어졌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PDF

키토산 가교 처리된 면직물의 태 변화에 관한 연구(II) - 키토산 농도 및 분자량의 영향 - (A Study on the Change of Hand of Chitosan Crosslinked Cotton Fabrics(II) - Effect of Concentration and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

  • 김민지;이신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39-444
    • /
    • 2005
  •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nge in the hand value of chitosan-crosslinked cotton fabrics. The chitosan-crosslinked cotton fabrics were manufactured by mercerizing process using epichlorohydrin(ECH), 2% aqueous acetic acid and 20% aqueous sodium hydroxide. It proposed that the crosslinking and mercerizing were performed with the mixture of four different molecular weight chitosan and ECH in a single step. Cotton fabrics were dipped in the mixed solution of chitosan and ECH, picked up by mangle roller, pre-dried at $130^{\circ}C$, mercerized and crosslinked in NaOH solution and finally washed and dried.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hitosan crosslinked fabric were measured on concentration and molecular weight by Kawabata Evaluation System(KES) and other instruments. As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solution increased, LT, WT, B, 2HB were increased. WT, B, 2HB, MIU, SMD, $T_0$, $T_m$ were decreased when chitosan was depolymerized. On the other hand, RT was increased when chitosan was depolymerized.

키토산 가교 처리된 면직물의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I) - 울금을 중심으로 - (Natural Dyeing of Chitosan-crosslinked Cotton Fabrics(I) - Turmeric -)

  • 곽미정;권정숙;이신희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17
    • /
    • 2008
  • For the purpose of standardization and practicability of natural dyeing, the mordanting and dyeing properties of turmeric was studied. In this study, the colorants of turmeric were extracted with boiling water. Chitosan-crosslinked cotton fabrics was dyed with aqueous extract of turmeric and their dyeabilities on the fabrics were studied. Additionally the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were also investigated. Cotton fabrics were trea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epichlorohydrin in the presence of chitosan to provide the cotton fabrics the dyeing properties of natural dye(turmeric) by the chemical linking of chitosan to the cellulose structure. The chitosan finishing and durable press finishing of the cotton fabrics occurred simultaneously in the mercerization bath. The dyeability(K/S), which was obtained by CCM observation, remarkably became increased when the crosslinked chitosan concentration was higher. Dyeability of turmeric was improved on chitosan-crosslinked cotton fabric rather than only cotton fabric, while the saturated dyeing time was 20minutes at $60^{\circ}C$. The hue value indicated greenish yellow with increasing the crosslinked chitosan concentration. And the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was almost the same.

感光性 樹脂에 關한 硏究 (第11報). 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yl Esters의 光分解反應 (Studies on Photosentitive Polymers (XI). Studies on Photodegradative Reaction of 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yl Esters)

  • 심정섭;강두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0-285
    • /
    • 1975
  • Polyglyceryl phthalate, bisphenol A-epichlorohydrin 縮重合物 및 polyvinyl alcohol의 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yl esters(PGND, BEND 및 PVAND)에 대해 未增感 및 增感한 경우의 IR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들의 光分解機構를 硏究하였다. o-quinonediazide에 기인하는 C=N= 및 C=0의 흡수가 露光에 의해 減少내지는 消失하고있었고 또한 indene carboxylic acid의 C=0 흡수강도가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o-quinonediazide group 이 光에 依하여 分解하여 알카리 수용액에 가용성인 indene carboxylic acid로 분해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露光時間에 대한 增感 및 未增感試料의 吸收强度의 變化를 측정하므로서 增感劑의 增感效果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 PDF

키토산 가교 처리된 면직물의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II) - 오배자를 중심으로 - (Natural Dyeing of Chitosan Crossinked Cotton Fabrics (II) - Gallnut -)

  • 곽미정;권정숙;이신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7-384
    • /
    • 2008
  • For the purpose of standardization and practicability of natural dyeing, the mordanting and dyeing properties of gallnut was studied. In this study, the colorants of gallnut were extracted with boiling water. Chitosan crosslinked cotton fabrics were been dyed with aqueous extract of gallnut and their dyeabilities on the fabrics were studied. Additionally, the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were also investigated. Cotton fabrics were trea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epichlorohydrin in the presence of chitosan to provide the cotton fabrics the dyeing properties of natural dye(gallnut) by the chemical linking of chitosan to the cellulose structure. The chitosan finishing and durable press finishing of the cotton fabrics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 the mercerization bath. The dyeability(K/S), which was obtained by CCM observation, remarkabl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was high. Dye ability of gallnut showed higher toward chitosan treated cotton than controlled cotton fabric under condition at $60^{\circ}C$, for 20 min. The hue value indicated reddish yellow with increasing the crosslinked chitosan concentration. And the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was the almost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