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helium function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2초

Ref-1 protects against FeCl3-induced thrombosis and tissue factor expression via the GSK3β-NF-κB pathway

  • Lee, Ikjun;Nagar, Harsha;Kim, Seonhee;Choi, Su-jeong;Piao, Shuyu;Ahn, Moonsang;Jeon, Byeong Hwa;Oh, Sang-Ha;Kang, Shin Kwang;Kim, Cuk-Se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5권1호
    • /
    • pp.59-68
    • /
    • 2021
  • Arterial thrombosis and its associated diseases are considered to constitute a major healthcare problem. Arterial thrombosis, defined as blood clot formation in an artery that interrupts blood circulation, is associated with many cardiovascular diseases. Oxidative stress is one of many important factors that aggravates the pathophysiological process of arterial thrombosis. Apurinic/apyrimidinic endonuclease 1/redox factor-1 (Ref-1) has a multifunctional role in cells that includes the regulation of oxidative stress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adenovirus-mediated Ref-1 overexpression on arterial thrombosis induced by 60% FeCl3 solution in rats. Blood flow was measured to detect the time to occlusion, thrombus formation was detected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were detec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expression of tissue factor and other proteins was detected by Western blot. FeCl3 aggravated thrombus formation in carotid arteries and reduced the time to artery occlusion. Ref-1 significantly delayed arterial obstruction via the inhibition of thrombus formation, especially by downregulating tissue factor expression through the Akt-GSK3β-NF-κB signaling pathway. Ref1 also reduced the expression of vascular inflammation markers ICAM-1 and VCAM-1, and reduced the level of ROS that contributed to thrombus for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denovirus-mediated Ref-1 overexpression reduced thrombus formation in the rat carotid artery. In summary, Ref-1 overexpression had anti-thrombotic effects in a carotid artery thrombosis model and could be a target for the treatment of arterial thrombosis.

계지복령환(桂枝茯笭丸) 및 그 구성약물(構成藥物)의 혈소판응집억제(血小板凝集抑制)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Geijibokryunghwan and each constituent herb 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 김종구;박선동;박원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5-129
    • /
    • 2000
  • 동물성(動物性) 지방섭취량(脂肪攝取量)의 증가(增加), 운동부족(運動不足), 비만(肥滿), 스트레스의 가중(加重), 고령화(高齡化)의 증가(增加) 등(等)의 원인(原因)으로 순환기계질환(循環器系疾患)의 발병률(發病率)이 증가(增加)하고 있으며, 이러한 순환기계질환(循環器系疾患)의 위험인자(危險因子)로서 혈전증(血栓症)이 중요(重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협심증(狹心症)이나 심근경새(心筋梗塞)등의 허혈성(虛血性) 심질환(心疾患)은 혈소판응집(血小板凝集)에 의해 일어나는 혈전형성(血栓形成)에 기인(起因)하고 있다. 한의학(韓醫學)에서 혈전증(血栓症)은 어혈(瘀血)의 범주(範疇)에 속(屬)하며, 어혈(瘀血)은 각종 병리적(病理的) 원인(原因)에 의해 발생한 전신성(全身性) 또는 국소성(局所性)의 혈액순환(血液循環) 장애(障碍) 또는 혈류정체(血流停滯)와 그에 수반되는 일련의 증후(症候)를 나타내며, 경계정충, 고창(鼓脹), 적취(積聚), 미하, 전광(癲狂), 중풍등(中風等)의 발병원인(發病原因)이 된다. 또한 어혈(瘀血)에 의한 각종 증후(症候)에는 활혈거어제(活血祛瘀劑) 또는 구어혈제(驅瘀血劑)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한의학(韓醫學)에서 어혈증(瘀血症)으로 야기(惹起)되는 여러 가지 증상(症狀)의 개선에 사용되는 구어혈제(驅瘀血劑)들의 혈소판응집(血小板凝集)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기 위하여 계지복령환(Geijibokryunghwan; GBH) 및 그 구성약물(構成藥物)을 사용(使用)하였다. 계지복령환은 "금궤요략" 에 있는 방(方)으로써 거사부상정(祛邪不傷正)하고 조기한열(調氣寒熱)하여 예로부터 구어혈제(驅瘀血劑)로 사용되어 왔다. 이에 계지복령환 및 그 구성약제(構成藥劑)의 ADP, AA 또는 collagen으로 유도되는 혈소판응집(血小板凝集)에 대하여 억제효과(抑制效果)를 탐색(探索)한 결과(結果), 계지복령환 및 개별(個別) 구성약물(構成藥物)의 혈소판응집억제작용(血小板凝集抑制作用)을 확인하였고, 혈소판응집(血小板凝集)으로 야기(惹起)되는 혈전증(血栓症)등에 계지복령환 및 개별(個別) 구성약물(構成藥物)은 매우 임상실험적(臨床實驗的) 응용가치(應用價値)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혈소판 활성도가 폐동맥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telet Activation on Pulmonary Hypertens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 김형중;남문석;권혁문;안철민;김성규;이원영;송경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47-152
    • /
    • 1993
  • 연구배경 :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혈소판이 활성화되어 있는 근거가 있으며 이 질환의 예후 인자로 잘 알려진 폐동맥 고혈압이 활성화된 혈소판 및 손상된 내피세포가 관여하리라는 보고가 있다. 이에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혈소판 활성화를 알아보고 혈소판 활성화가 폐동맥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대조군 및 만성폐쇄성폐질환의 폐동맥 정상혈압군과 고혈압군을 대상으로 혈소판 응집비 및 혈소판의 alpha-granule에 함유되어 있는 Platelet factor 4와 $\beta$-thromboglobulin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Platelet aggregation ratio (PAR)는 대조군 $0.99{\pm}0.04$, 폐동맥 정상혈압군 $0.98{\pm}0.05$, 폐동맥 고혈압군 $0.89{\pm}0.08$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폐동액 고혈압군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 하였다(p<0.05) (Table 2, Fig. 1). 2) Platelet factor 4 (PF4, IU/ml)는 대조군 $4.7{\pm}1.2$, 폐동맥 정상혈압군 $18.6{\pm}4.9$, 폐동맥 고혈압군 $57.2{\pm}12.7$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 하였으며(p<0.01), 폐동맥 고혈압군에서 폐동맥 정상혈압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 하였다(p<0.01) (Table 2, Fig. 2). 3) Beta-thromboglobulin (${\beta}$-TG, IU/ml)은 대조군 $34.4{\pm}5.8$, 폐동맥 정상혈압군 $80.4{\pm}18.1$, 폐동맥 고혈압군 $93.0{\pm}14.0$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 하였으며(p<0.01) 폐동맥 고혈압군에서 폐동맥 정상혈압군보다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2, Fig.3). 4) 임상 소견과 PAR, PF4 및 ${\beta}$-TG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PAR, PF4및 ${\beta}$-TG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Table 3). 결론 :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혈소판이 뚜렷이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폐동맥 고혈압군에서 좀더 활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혈소판 활성화가 폐동맥 고혈압의 유발 및 유지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