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carditis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8초

판막간 섬유체 재건을 시행한 후 발생한 인공판막 심내막염의 수술적 치유 -1예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after Reconstruction of the Intervalvular Fibrous Trigon -A case report-)

  • 최선우;김욱성;민호기;강민웅;이영탁;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55-758
    • /
    • 2008
  • 저자들은 8년 전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대동맥판막과 승모판 치환 및 섬유체 재건을 시행한 65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인공판막 심내막염에 대하여 재수술을 시행한 예를 보고한다. 환자는 술 전 심초음파 소견상 1cm크기의 판막하 농양을 동반한 대동맥 판막륜 농양과 승모판 Vegetation 및 섬유체 결손을 보였다. 심부전 소견이 심하여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두개의 소 심낭 패취를 이용하여 절재된 대동맥판과 승모판의 판륜 및 섬유체를 재건한 다음 기계판막을 대치하였다. 술 후 심초음파 소견상 판막주위 누출은 없었다. 현재 특별한 합병증 없이 통원 치료 중이다.

아동기 전염성 심내막염 환자치료의 외과적 역할 (Surgical Role of the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Infective Endocarditis in Childhood)

  • 김경환;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175-1183
    • /
    • 1997
  • 연구배경. 아동기의 전염성 심 내막염은 비록 드물게 발생하지만 심각한 임상경과를 밟을수 있는 질환이다. 수술적 요법을 포함하는 적절한 치료 방침 내지는 전략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방법. 1986년 9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총 19례의 전염성 심 내막염으로 수술 시행한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남녀비는 8:11이고 평균연령은 70.6개월이었으며 주 중상은 발열,호흡 곤란이었다. 술전 시행한 심 에코상 14례에서 우종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선천성 기형이 15례, 후천성이 4례였고 원인균은 12례에서 동정되었으며 7례가 그람 양성 구균이었다. 적절한 술전 항균제 처치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 례에서 심폐기 가동 하에 우종 제거를 포함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4례의 사망으로 21.1%의 사망률을 나타내었으며, 4례 모두가 선천성 복잡 심기형을 가진 환아였다. 누적생존율은 1년,5 년에 모두 79.0%였고, 재수술 없는 누적 생존율은 1년,5년에 모두 73.7%였다. 결론. 항생제의 획기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조기적 수술이 반드시 필요한 환아가 있으며 이 경우 동반된 심기형의 적절한 치료가 함께 요망된다.

  • PDF

인공 심장판막의 재치환술 -수술 위험인자와 수술 결과의 분석- (Reoperation of Prosthetic Heart Valve; An Analysis of Operative Risks and Late Results)

  • 김관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1호
    • /
    • pp.23-30
    • /
    • 1995
  •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92, of 1257 patients who underwent a heart valve replacement 210 [16.8% underwent reoperation on prosthetic heart valves, and 6 of them had a second valve reoperation. The indications for reoperation were structural deterioration [176 cases, 81.5% ,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25 cases, 11.6% , paravalvular leak [12 cases, 5.6% , valve thrombosis [2 cases, 0.9% and ascending aortic aneurysm [1 case, 0.4% . Prosthetic valve failure developed most frequently in mitral position [57.9% and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and paravalvular leak developed significantly in the aortic valve [40%, 75% [P<0.02 . Mean intervals between the primary valve operation and reoperation were 105.3$\pm$28.4 months in the case of prosthetic valve failure, 61.5$\pm$38.5 months in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26.8$\pm$31.2 months in paravalvualr leak, and 25.0$\pm$7.0 months in valve thrombosis. In bioprostheses, the intervals were in 102.0$\pm$23.9 months in the aortic valve, and 103.6$\pm$30.8 months in the mitral valve. The overall hospital mortality rate was 7.9% [17/26 : 15% in aortic valve reoperation [6/40 , 6.5% in reoperation on the mitral prostheses [9/135 and 5.7% in multiple valve replacement [2.35 . Low cardiac output syndrome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70.6% . Advanced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P=0.00298 , explant period [P=0.0031 , aortic cross-clamp time [P=0.0070 ,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P=0.0101 , paravalvularr leak [P=0.0096 , and second reoperation [P=0.00036 wer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but age, sex, valve position and multiple valve replacement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operative mortality. Mean follow up period was 38.6$\pm$24.5 months and total patient follow up period was 633.3 patient year. Actuarial survival at 8 year was 97.3$\pm$3.0% and 5 year event-free survival was 80.0$\pm$13.7%. The surgical risk of reoperation on heart valve prostheses in the advanced NYHA class patients is higher, so reoperation before severe hemodynamic impairment occurs is recommended.

  • PDF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패혈성 폐색전증 1예 (A Case of Septic Pulmonary Embolism Associated with MRSA Infective Endocarditis)

  • 이기종;김나영;김자선;윤한결;오미정;김도훈;조상균;류한영;배영아;김대봉;신미경;진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2호
    • /
    • pp.124-128
    • /
    • 2010
  • Septic pulmonary embolism is the process in which an infected thrombus becomes detached from its site of origin and lodges in a pulmonary artery,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especially right-sided, or infection-associated with indwelling catheters, peripheral septic thrombophleb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etc. Here, we report a case of septic pulmonary embolism associated with tricuspid valve infective endocarditis. A 23-year-old fe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fever, sore throat, and myalgia. In her past medical history, she had undergone a surgical operation for closure of a ventricular septal defect, but was informed that the operation resulted in an incomplete closure. The initial chest radiograph demonstrated multiple rounded, parenchymal nodules in various sizes; several nodules had central lucency suggesting cavitations. Echocardiography demonstrated a large vegetation attached to the septal tricuspid valve leaflet, extending from right ventricular inflow tract to outflow tract. Computed tomography of thorax revealed bilateral peripheral nodules and wedge-shaped consolidation at various sizes, mostly accompanied by cavitations.

동맥관개존증에 합병한 심내막염에 의한 폐동맥파열 실험 1례 (Pulmonary artery rupture due to bacterial endocarditis complicated by patent ductus arteriosus.)

  • 조순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37-541
    • /
    • 1985
  • Recently, we met a 12 year old female patient who suffered from bacterial endocarditis and pericarditis which were complicated by patent ductus arteriosus. Sh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dyspnea, fever, headache, and generalized ache for 10 days. The initial diagnosis was bacterial endocarditis and pericarditis complicated by patent ductus arteriosus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At first, we tried to treat the patient medically with digitalis, diuretics, and massive antibiotics. On echocardiography large amount of pericardial fluid was accumulated mainly right anterior aspect and also noted a large vegetation at pulmonary valve area. With vigorous medical treatment including repeated pericardiocentesis, the patient showed no improvement. So we decided to perform pericardiectomy for elimination of the most probable septic focus. On operation, we encountered an unpredicted event, the pericardium was thickened, distended, and its surface showed pulsating which meant connecting to systemic circulation. We decided to close the operative wound and reoperate her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later. On the next day, we operated her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later. On the next day we operated her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The operative findings were ruptured main pulmonary artery about 1.5cm in diameter on its ventral portion, the blood from the ruptured main pulmonary artery was filled up the localized pericardial sac due to previous pericarditis. Through the ruptured main pulmonary artery, we also found 0.5cm diametered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the aid of partial cardiopulmonary bypass and inserting 24F ballooned Foley catheter at aorta, pericardiectomy was performed first. After completion of the pericardiectomy,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was established. With minimum pump flow [0.3L/min/m2] the PDA was closed with two Teflon-felted 4-0 Prolene interrupted sutures. The ruptured main pulmonary artery was also closed using thickened pericardium with three Teflon-felted 4-0 Prolene interrupted sutures. The operation was successful and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She was discharged on the 16th POD. We report this case as a very rare secondary complication of bacterial endocarditis complicated by patent ductus arteriosus.

  • PDF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의 중단기 수술 성적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Operation for Infective Endocarditis on Mitral Valve)

  • 안병희;전준경;유웅;류상완;최용선;김병표;홍성범;범민선;나국주;박종춘;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27-34
    • /
    • 2004
  •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은 다른 심장질환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고, 대부분의 임상연구가 대동맥판에 발생한 심내막염에 편중되어 있어, 승모판 심내막염에 대한 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문데 이에 대한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으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외과적 치료를 받았던 23 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2예는 인공판막 심내막염이었고 나머지 21예는 자가판막 심내막염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4.8$\pm$15.7 (11∼66)세였고 연령분포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17예에서는 혈역학적 불안정이나 거대 우종으로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12예에서 울혈성 심부전, 4예에서 신부전, 2예에서 비장 및 신장경색, 2예에서 일시적 뇌손상, 1예에서 뇌농양 소견을 보였다. NYHA 기능 분류상 Grade II가 7예, Grade III가 9예, Grade IV가 6예이었다. 술 전 심초음파상 승모판 역류우세가 19예, 협착우세가 4예이었으며, 우종은 20예(86.9%)에서 관찰되었다. 혈액배양 검사상 10예(43.4%)에서 원인균이 동종되었는데 Streptococcus viridans 5예,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2예, 그리고 Corynebacterium, Haemophillis, Gernella 각각 1예씩 이었다. 수술 적응증은 ACC/AHA 지침에 근거하였으며, 평균 외래 추적관찰기간은 27.6$\pm$23.3 (1∼97)개월이었다. 결과: 13예에서 승모판치환술을 시행하였는데 9예에서 기계판막을 사용하였고 4예에서 조직판막을 사용하였다. 10예에서 다양한 수기의 승모판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동반수기로는 6예에서 대동맥판 치환술, 2예에서 삼첨판 성형술, 1예에서 변형된 미로수술, 1예에서 심실중격결손 낙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 2예, 종격동염 1예, 저심박출증 1예, 페렴 1예가 있었다. 술 후 30일 이내의 조기사망이나 병원 내 사망 및 판막 연관성 합병증은 없었다. 1예의 환자가 수술 3개월 후 다시 판막성형술을 받았고, 술 전 우종 전색에 의한 뇌경색을 보인 1예의 환자가 술 후 31개월에 뇌출혈로 사망하여 만기 전 체판막 연관성 사망률은 4.3%, 판막연관성 합병증은 8.6%였다. 1, 3, 5년 valve-related event free rate는 90.8%, 79.5%, 79.5%이었고 1, 3, 5년 생존율은 100%, 88.8%, 88.8% 이었다. 결론: 승모판 심내막염의 외과적 치료 시에는 감염된 조직의 완전 절제가 중요하며, 감염된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면 대체물이나 수술 기법상의 차이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고, 술 전에 감염이나 우종 전색에 의한 뇌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술 후 추적관찰 중에도 뇌혈관 손상 가능성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폐색전증이 동반된 동맥관 개존증의 수술치험 -1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Persistent Ductus Arteriosus Complicated by Bacterial Endocarditis with Pulmonary Artery Embolism 1 case report)

  • 오정우;오봉석;이동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209-212
    • /
    • 1997
  • 15세 남자환자가 갑자기 발생한 흉통과 각혈, 호흡곤란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동맥관 개존증 및 감염성 심내막염띠 합병된 폐색전증으로진단되었다. 3주간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한 후 체외순환하에 동맥관 개존증 패취봉합 및 폐동맥 판막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환자는 순조롭게 회복되어 퇴원 하였다. 동맥관 개존증에 합병된 급성심내막염으로 폐동맥 혈전증이 발생한 환자를 수술 치험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 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실중격결손과 동반한 다중판막 감염성 심내막염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ultivalvular Endocarditis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 김선희;제형곤;이상권;김상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417-420
    • /
    • 2010
  • 다중판막을 침범한 감염성 심내막염은 단일 심내막염에 비해 사망률이 높고 합병증의 발생이 빈번하여 일반적으로 조기수술이 권장된다. 저자들은 고열을 주소로 입원한 46세 환자에서 심초음파 검사로 폐동맥판막, 삼첨판막, 승모판막을 침범한 급성 심내막염 및 심실중격결손을 진단하였고, 항생제 치료에도 감염증이 악화되어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비교적 드문 증례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판막륜 농양을 동반한 감염성 심내막염 수술 후 발생한 좌심실 가성류 - 치험 1예 - (Left Ventricular Pseudoaneurysm after Surgery for Infective Endocarditis with Annular Abscess - A case report -)

  • 황호영;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73-276
    • /
    • 2003
  • 좌심실 가성류로 내원한 39세 남자 환자에 대한 수술 치험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4년 전 판막륜 농양을 동반한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기계판막을 이용한 대동맥판막 및 승모판막 치환술과 농양 제거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시행한 심초음파 소견상 좌심실과 농양이 있던 공동 사이에 교통이 있음이 관찰되었고, 추적 관찰 심초음파 검사에서 점차 공동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수술은 심페바이패스와 심정지하에 대동맥판막-승모판막 섬유연속부에 위치한 가성류와 좌심실 사이의 결손을 첩포폐쇄하였다. 수술 후 경과는 양호하였으며 수술 후 9일째에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Diagnosis of Right Ventricular Vegetation on Late Gadolinium-Enhanced MR Imaging in a Pediatric Patient after Repair of a Ventricular Septal Defect

  • Jeong, Jewon;Kim, Hae Jin;Kim, Sung Mok;Huh, June;Yang, Ji-Hyuk;Choe, Yeon Hye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2호
    • /
    • pp.114-119
    • /
    • 2016
  • We report a case of vegetation in a 4-year-old female with infective endocarditis, diagnosed by late gadolinium-enhanced (LGE)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CMR) imaging.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primary closure for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presented with mild febrile sensation. No remarkable clinical symptoms or laboratory findings were noted; however,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demonstrated a 14 mm highly mobile homogeneous mass in the right ventricle. On LGE CMR imaging, the mass showed marginal rim enhancement, which suggested the diagnosis of vegetation rather than thrombus. The extracellular volume fraction (${\geq}42%$) of the lesion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myocardium. Based on the patient's clinical history of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pathologic confirmation of the lesion, a diagnosis of infective endocarditis with vegetation was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