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copolymerizatio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2초

Natural Rubber-polyacrylamide Graft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Natural Rubber-g-polyacrylamide Polymer)

  • Son, Cha Hoo;Kim, Kyung Hwan;Park, Tchun Wook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5-53
    • /
    • 1995
  • Natural rubber(NR)-polyacrylamide(PAAm) graft copolymers(GP)(toluene soluble GP : TSGP, water dispersible GP : WDGP) have been synthesized as coupling agents by pre-emulsification methods based on "inverse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technique. The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at $65^{\circ}C$ using Azobisisobytyro nitrile(AIBN) as an initiator in the inverse emulsion system formed by inxing NR toluene solution with inverse emulsion of awueous AAm solution emulsified with $Tween^{\#}$ 80 in toluene. The mechanism of inverse emulsion graft copolymerization was studied on AAm conversion, % grafting, grafting efficiency, NR conversion, production ratio of TSGP and amount of GP(sum of TSGP and WDGP). The reaction has been confirmed through use of optical microscope to proceed via adsorption of emulsifier colloid particles onto the stretched NR molecule. From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various polymerization conditions on the grafting,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he present rection system can easily yield high(over 90%) grafting efficiency and AAm conversion and relatively high(over 80%) NR conversion.onversion.

  • PDF

SBM 고분자중합 바인더가 사용된 $TiO_2$ 광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iO_2$ photoanode using SBM co-polymer binders)

  • Jin, En-Mei;Park, Kyung-Hee;Gu, Hal-Bon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360-361
    • /
    • 2008
  • A new kind of SBM co-polymer binder as styrene, n-butyl acrylate, and methacrylic acid (SBM) monodisperse co-polymer binder materials basted on $TiO_2$ pastes was synthesized and this $TiO_2$ pastes were applied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The SBM co-polymer binder was prepared by soap-free emulsion copolymerization using a PEG-EEM macromonomer. The photoanodes were characterized by morphology investigated fro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thin films and the performance of DSSCs were measured by photovoltaic-current density. DSSC based on the emulsion co-polymer binder was obtained conversion efficiency of 7.1% under irradiation of AM 1.5($100mWcm^{-2}$).

  • PDF

유화중합의 모델연구 1. Pseudo-homopolymerization (Study on Model of Emulsion Polymeration 1. Pseudo-homopolymerization)

  • 박상보;서차수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294-299
    • /
    • 1998
  • 입자당 한 개 이상의 성장라디칼이 있는 일반계에서 근사적인 psedo-homopolymerization (PHP)방법의 신뢰성을 간접적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벌크중합의 Mayo-Lewis식이 Interval II 동안 유화중합의 순간공중합조성식으로부터 확률적으로 유도됨을 보였다. Ballard등에 의하여 제안된 유화공중합의 확장된 Smith-Ewart식으로부터 0-1계(입자당 1개 이하의 성장라디칼이 있는 계)에 대하여 완전해를 얻었다. 이 해를 사용하여 입자당 평균라디칼수와 순간공중합조성이 몇 분 이내에 정상상태에 도달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0-1계에 국한하여 PHP근사방법의 신뢰성을 직접 증명할 수 있었다. 모델계산의 목적으로 Styrene-butadiene(St-Bu)과 Styrene-methyl methacrylate(St-MMA)계를 예로 들었다.

  • PDF

불소화 알킬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고분자의 합성과 발수성 (Synthesis and Water Repellency of Polymers with Fluorinated Alkyl Group and Isocyanate Group)

  • 백창훈;공종윤;현석희;임용진;김우식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433-439
    • /
    • 2005
  • 내구발수성 고분자를 얻기 위해 불소화 알킬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m-이소프로페닐-$\alpha,\;alpha$-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TMI)를 유화중합시켜 불소화 알킬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3 단량체의 공중합속도는 비이온 유화제 및 비이온-양이온 혼합 유화제의 사용에 따라 상당히 의존하였고 그 최적조건을 얻었다. 공중합체의 입자크기는 105에서 222nm의 범위에 있었고 비이온-양이온의 혼합 유화제에 의해 만들어진 공중합체가 비이온 유화제로 만들어진 공중합체보다 입자가 작았다. 나일론과 면의 모델 화합물로 N-메틸아세트아미드와 셀로비오스 각각과 TMI는 반응하지 않았다. 반면에 TMI와 부틸아민은 실온에서 반응하였다. 혼합 유화제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코팅한 나일론과 PET 천에 대한 세탁 전후의 물의 접촉각은 $139^{\circ}$$133^{\circ}$ 정도였다. 따라서 공중합체의 내구발수성은 우수하였다

반연속식 노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1) : 폴리머 라텍스의 수율과 입자크기에 관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Type on the Particle Size and Yield in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 고기영;김성일;김철웅;형기우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연구는 모노머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와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에서 반연속식 유화중합을 실시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폴리머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평균 입자크기 및 농도에 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관한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LE-50, NP-50 > CE-50, Tween 20 > TX-405 > Brij 35 순으로 최종 폴리머 응석에 기인하여 낮아졌으며, 평균 입자크기도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LE형과 NP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체인의 길이(n)가 증가할 수 록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n = 30이상의 체인에서 평균입자크기는 250 - 320 nm, 폴리머 농도는 수용액 기준으로 40 %를 얻을 수 있었다. 반응초기에 반응기에 투입 (Initial reactor charge)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량에 무관하게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AB와 반응형 계면활성제인 HN-100의 경우에는 폴리머 에멀젼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는 SDS < CTAB < HN-100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다.

  • PDF

표면 솔-젤 반응을 활용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비구형상 공동 입자의 제조 (Fabrication of Hollow Micro-particles with Nonspherical Shapes by Surface Sol-gel Reaction)

  • 조영상;전석진;이기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11-618
    • /
    • 2007
  • 아민기로 코팅된 단분산 폴리스티렌 입자를 제조한 뒤 톨루엔-물로 구성된 유중수 액적(oil-in-water emulsion) 내부에서 입자를 자기 조립(self-assembly)시켜 다양한 다면체(polyhedra) 구조의 콜로이드 클러스터(colloidal cluster)를 제조하였다. 콜로이드 클러스터의 표면에서 솔-젤(sol-gel) 반응을 유발한 뒤 표면이 실리카로 코팅된 복합(composite) 콜로이드 클러스터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를 주형(template)으로 활용하여 고온 소성에 의해 내부의 폴리스티렌 입자를 제거하고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다양한 구조의 비구형상 공동 입자(hollow particle)를 제조하였다. 밀도구배원심분리법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에 의해 폴리스티렌 구성 입자의 수와 구조가 균일한 콜로이드 클러스터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표면 솔-젤 반응에 의해 비구형상 구조의 공동 입자를 제조하였다.

무유화 유화중합에 의해 합성된 Core/shell 형태 PMMA/CdS 나노입자의 특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Core/Shell PMMA/CdS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Surfactant-free Emulsion Polymerization)

  • 윤효정;임영목;심상은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4호
    • /
    • pp.188-192
    • /
    • 2012
  • in-situ 무유화 유화중합 및 후속 CdS 코팅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이용하여 CdS로 코팅된 PMMA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CdS/PMMA 나노입자의 크기는 201.7 nm 였으며, TGA 및 원소 분석 결과 10.37 wt%의 CdS를 함유하고 있었다. PMMA 입자 표면에 코팅된 CdS 나노결정의 크기는 3.55 nm였으며 주로 (111) 결정면으로 성장되었다. UV-vis 분석 결과 blue-shifting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CdS/PMMA 하이브리드 입자상태에서의 CdS는 벌크 상태의 CdS가 갖는 2.41 eV의 밴드갭 에너지보다 큰 2.70 eV를 갖기 때문에 발생하는 양자구속효과에 의하여 기인하였다.

The Formation of Metal Nanoparticles in pH-responsive Block Copolymers and Hydrogels

  • Anastasiadis, S.H.;Vamvakaki, M.;Palioura, D.;Spyros, A.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85-85
    • /
    • 2006
  • The micellization behavior and the metal-nanoparticle formation in PDEAEMA-b-PHEGMA double hydrophilic block copolymers are investigated. The hydrophobic PDEAEMA block is pH-sensitive: at low pH it can be protonated and it becomes hydrophilic, leading to molecular solubility, whereas at higher pH micelles are formed; the behavior is studied by DLS, NMR and AFM. In these micellar nanoreactors, metal nanorystals nucleate and grow upon reduction with sizes in the range of a few nm's as observed by TEM and XRD. Similarly, metal nanocrystals can be formed within pH-sensitive microgels (${\sim}250nm$ in diameter), synthesized by emulsion copolymerization of DEAEMA, which also exhibit reversible swelling properties in water by adjusting the pH.

  • PDF

NR/MG Latex 블랜드필름의 제조 및 그의 기계적특성 (Preparation of NR/MG Latex Blend Films and its Mechanical Properties)

  • 김공수;박준하;엄수송;김수종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9권1호
    • /
    • pp.9-17
    • /
    • 1994
  • Methylmetharylate grafted latex(MGL) was prepared by emulsion graft co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onto natural rubber latex(NRL) by using t-butyl hydroperoxide and tetraethylene pentamine in an aqueous medium. Blending of MGL and NRL with different mixing ratio carried out and viscos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blend latex were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condition of mature time, vulcanizing temperature and time for preparation of blend latex films were investigated. latex films prepared by dipping process were meaured. As the reuslt, blend latex(NR-d-MG) films obtained from two-dipping system were more excellent than NR and MG film obtained from one-dipping system.

  • PDF

환경친화적 LE-형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반연속식 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에 관한 연구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using Environmental-Friendly LE-Type Nonionic Surfactant)

  • 김철웅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41-50
    • /
    • 2005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선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LE-형유화제를 사용하여 점착성분의 단량체로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n-butyl acrylate, n-BA)와 응집성분의 단량체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methyl metacrylate, MMA)를 사용하여,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를 제조하기 한 최적조건을 얻기 위해 수용액상에서 유화중합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계면활성제 (LE-형)의 친수성인 체인 길이(n)의 값이 증가할수록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농도 이상에서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도 사용량에 따라 작아지다가 250 nm로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폴리머로서 보조모노머의 첨가는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응석과 입자크기에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주 모노머에 보조 모노머인 아크릴산 (acrylic acid, AA)과 아크릴 아마이드 (acrylic amide, AM)의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어진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은 평균 입자크기 200-300 nm, 제타전위 (zeta potential)값 -50 mv 정도였으며, 단일 유리전이온도 (glass temperature, Tg)를 가진 고분자 나노 입자가 수용액상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합조건을 최적화시켜 안정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