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xhaustion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5초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Job Embeddedness on Job Burnout

  • 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13-119
    • /
    • 2015
  • The purpose of t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job burnout related with social worker's turnover.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decreasing the level of social worker's job burnout. In this study, embeddedness is composed of three sub-variables like fit, links, and sacrifice. Job burnout is also composed of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decrea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ereafter, research model is established, and study hypothesis is tested through the survey.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components of job embeddedne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mponents of job burnou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some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직무관련 정서상태가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노동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Job-related Affective States and Job Attitudes: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 황성재;백윤정;김보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30-49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종업원들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직무관련 정서상태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둘째, 감정노동의 결과요인으로서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부정적 직무태도 뿐만 아니라 긍정적 직무태도에 대한 감정노동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종업원들이 과업환경에서 경험하는 직무관련 정서와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감정노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15개 서비스 기업에 종사하는 15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분석 결과, 직무관련 긍정 정서상태는 종업원으로 하여금 내면행동을, 직무관련 부정 정서상태는 표면행동을 유발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내면행동은 긍정적인 직무태도인 직무헌신과 직무활력을 증진시켰으며, 표면행동은 냉소주의와 소진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내면행동은 직무관련 긍정 정서상태와 긍정적인 직무태도(직무헌신, 직무활력) 간의 관계를, 표면행동은 직무관련 부정 정서상태와 부정적인 직무태도(냉소주의, 소진) 간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감정노동전략이 인지적 혹은 반응적 메커니즘을 수반하여 직무관련 정서상태와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서비스 직무를 수행하는 종업원들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지 않는 직무환경을 유지하는 수동적 관리보다도 긍정적 정서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과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데이터 측정이나 측정 소스의 다양화 등의 시도가 필요하다.

예술 심리 상담사의 감정 노동 및 직무 소진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Exhaustion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on Life Satisfaction)

  • 이은숙;고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06-21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 심리 상담사의 감정 노동, 직무 소진,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시 예술 심리 상담사 2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 심리상담사의 감정 노동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표면 행동은 부적(-)으로 내면 행동은 정적(+)으로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 심리 상담사의 직무 소진의 하위 요인인 감정 고갈, 자아 성취감 저하 요인은 삶의 만족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술 심리 상담사의 감정 노동의 표면 행동이 낮을수록, 내면 행동이 높을수록, 직무 소진의 감정고갈, 자아 성취감 저하 요인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술 심리 상담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와 교직 적응 탄력성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소진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징이 미치는 역할 (Rol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Flight Attendants)

  • 김영진;임연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46-353
    • /
    • 2015
  • 이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소진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소진이 결혼 여부, 나이, 직위, 근무시간, 월 비행시간에 따라 고객지향성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나이, 직위, 근무시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나이 30세 이상은 비인격화, 30세 미만은 감정적 고갈이 고객 지향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급에 관계없이 비인격화는 고객지향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고갈은 승무원에게만 고객지향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시간은 8년 이상에서는 비인격화, 8년 미만에서는 비인격화와 감정적 고갈이 고객지향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영양사들의 소진과 직무만족 요인 및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nd Correlation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in Hospitals)

  • 윤혜진;이주은;홍완수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3호
    • /
    • pp.195-207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actors and the correlation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dietitians. Burnou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oncept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Job satisfaction was also classified into three sub-concepts, including relationships, self-realization, and advancement opportuniti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dietitian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of over 400 be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emotional exhaustion were health, work hours, number of intern dietitians, self-esteem, level of responsibility, whil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depersonalization were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and role ambiguity. Personal accomplishment was influenced by age, the number of staff dietitians, the general number of managed workers, and self-esteem.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was affected by age and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while self-realization was influenced by work hours, health, the number of patient meals, and role ambiguity. Age, job regularity, business management, role ambiguity, and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lso affected advancement opportunitie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s, which represented burnout,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self-realization and advancement opportunities. Dietitians with low job satisfaction were likely to experience burnout.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re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re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problems encountered by hospital dietitians. Therefore, managers as well as dietitians need to understand these factors and overcome them through communication and mutual support.

교사 소진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자기존중감의 영향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istic Self-Esteem as Protective Factor on Teacher Burnout)

  • 최태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510-52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istic self-esteem on alleviation of teacher burnout.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sing teacher efficacy scale, collectivistic self-esteem scale and psychological burnout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background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herefore, background variables were controlled in the analysis of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istic self-esteem. Second, teacher efficacy influenced on the total burnout(38%) and sub-factors which were emotional exhaustion(27.3%), depersonalization(20.7%)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36.1%), and collectivistic self-esteem influenced on the total burnout(38.8%) and sub-factors which were emotional exhaustion(27.1%), depersonalization(29.6%)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25.1%). Third, the analysis of additional influence of collectivistic self-esteem in addition to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 burnout revealed additional influence in the alleviation of total burnout(18.2%), emotional exhaustion(13.9%), depersonalization(16.6%)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10.3%).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collectivistic self-estee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alleviation of psychological burnout with teacher efficacy which was well known as a protective factor for psychological burnout. Based up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정소진과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Employee Creative Behavior: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Crafting)

  • 교하;권혁기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11
    • /
    • 2023
  • 본 연구는 주로 지각된 과잉자격의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둔 기존연구의 관점에서 벗어나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금융업에 종사하는 종업원 2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과잉자격은 종업원의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과잉자격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감정소진과 잡 크래프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는 것은 지각된 과잉자격의 영향효과에 대한 연구를 어느 정도 풍부하게 하였으며, 창의적 행동, 감정소진, 잡 크래프팅, 조직지원인식의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과잉자격 인식에 대한 논의는 주로 종업원 개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향후연구는 팀 수준 또는 조직 수준으로 확대해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요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 소진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치매환자 돌봄 경험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Burnout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Home Workers : Focusing on Care Experience of Dementia Patients)

  • 이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82-393
    • /
    • 2018
  • 치매환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환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들에 대한 처우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요양원 종사자의 돌봄 경험을 살펴보고, 그들의 감정노동, 소진이 직무스트레스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돌봄 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병원 종사자의 돌봄 경험은 초기 간호사 마음가짐, 초기 간호수행(돌봄)시 치매환자에 대한 인식, 업무수행(돌봄)과정의 애로사항, 돌봄 과정에서 생기는 신체적 정신적 한계, 업무수행(돌봄)과정의 만족, 치매환자 간호수행(돌봄)을 통한 경험, 개인적 삶에 대한 마음가짐의 변화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과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돌봄 경험은 감정노동과 소진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간의 관계는 지지되었다.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 김신향;함연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3-276
    • /
    • 2015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verify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Methods: A total of 47 article on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and published from 2006 to 2014 were used for the meta-analysis. Results: Variables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related to emotional labor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of work task, organiza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descending order of effect size. The sub-factors with the greatest effect size in the work task variable were exhaustion and work commitment, while for organization variables, intention to change job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physical symptom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integrate research results on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Korean nurses, providing practical data for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A Cross-sectional Survey)

  • 윤은자;권영미;전미순;안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4-106
    • /
    • 2016
  • 본 연구는 내부마케팅, 간호 전문직관, 정서적 소진과 개인적 성취감을 이용하여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서울과 충북지역의 2개 대학병원 간호사 27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5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사 이직의도의 평균값은 $3.91{\pm}0.53$, 내부마케팅은 $2.58{\pm}0.48$, 간호전문직관은 $3.30{\pm}0.64$, 정서적 소진은 $3.23{\pm}0.64$, 개인적 성취감은 $3.24{\pm}0.41$이었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서적 소진(${\beta}=.28$, p<.001), 내부마케팅(${\beta}=-.22$, p<.001), 간호 전문직관(${\beta}=.19$, p=.010), 근무부서-외래(${\beta}=.22$, p=.021), 직위-책임간호사(${\beta}=-.303$, p=.007), 학력-석사이상(${\beta}=.28$, p=.031)이었다. 이들은 이직의도를 25.1%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서적 소진이므로 정서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재는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아울러 내부마케팅과 간호전문직관을 증가시키기 위한 활동 또한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구체적인 이직의도 감소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추후 그 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