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regulation disorder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Update on Irritable Bowel Syndrome Program of Research

  • Heitkemper, Margaret;Jarrett, Monica;Jun, Sang-Eu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79-586
    • /
    • 2013
  • Purpose: This article provides an update and overview of a nursing research program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Methods: This review includes English language papers from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Asia (e.g., South Korea) from 1999 to 2013. We addressed IBS as a health problem, emerging etiologies, diagnostic and treatment approaches and the importance of a biopsychosocial model. Results: IBS is a chronic,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characterized by recurrent episodes of abdominal pain and alterations in bowel habit (diarrhea, constipation, mixed). It is a condition for which adults, particularly women ages 20-45, seek health care services in both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Clinically, nurses play key roles in symptom prevention and management including designing and implementing approaches to enhance the patients' self-management strategies. Multiple mechanisms are believed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IBS symptoms including autonomic nervous system dysregulation, intestinal inflammation, intestinal dysbiosis, dietary intolerances, alterations in emotion regulation, heightened visceral pain sensitivity,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dysregulation, and dysmotility. Because IBS tends to occur in families, genetic factors may also contribute to the pathophysiology. Patients with IBS often report a number of co-morbid disorders and/or symptoms including poor sleep. Conclusion: The key to planning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is to understand the heterogeneity of this disorder. Interventions for IBS include non-pharmacological strategies such as cognitive behavior therapy, relaxation strategies, and exclusion diets.

소방공무원 자살생각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uicidal ideation among firefighter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강웅일;정은경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firefighter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firefighters, using Korean academic information search services from January to June 2022. A total of 238 articles were searched using keywords such as "firefighter," "depressi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uicid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m, nine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using descriptive correlation studie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fighter stress (PTSD) and suicidal thoughts was mediated by depression. Even if the stress level (PTSD) was high, suicidal thoughts decreased when the emotional coping level was high. Conclusion: To prevent firefighters from committing suicide, intervention programs with effective approaches to quickly identify high at-risk people and improve their emotional coping skills, should be implemented.

감정노동과 인권보호 - 항공사를 중심으로 (Emotional Labor and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case of airlines)

  • 신동춘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7-108
    • /
    • 2014
  • 항공기 승객을 포함하여 소위 악성소비자에 의한 감정노동자의 피해는 소비자의 권한 남용이 노동자의 인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많다는 이유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감정노동은 공개적으로 얼굴과 신체를 나타내며 만들어 내는 감정 조절의 한 형태이며, 또한 노동자에 의한 감정의 관리가 시장에서 교환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내는 직업에서의 감정의 관리에 해당한다. 감정노동을 요구하는 직업의 예로서 간호사, 의사, 대기 직원 및 TV 배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경제가 제조업으로부터 서비스업으로 이동함에 따라 더 많은 노동자들이 다양한 서비스의 직업 환경에 처해 있는데 과거에 비해 고용주의 요구에 따라 그들의 감정을 관리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감정노동으로부터 오는 증상의 하나는 소위 스마일증후군인데 마코토 나츠메교수는 노동자가 계속되는 부자연한 웃음의 결과로 우울증과 신체적 질병을 발전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직장에서의 심한 정도의 감정 통제는 종사자의 심한 정도의 감정 고갈 및 낮은 수준의 직업 만족도로 연결되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감정노동자는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하여 공급자에게 대하여 불만을 제기하여 악의적으로 보상을 받으려는 악성소비자에 의한 권리 남용으로 상처를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한국 정부는 "소비자보호법"을 폐기하고 2006년 "소비자기본법"을 제정하였는데, 소비자는 보호를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의무와 책임을 가질 것을 규정하고 있다. "항공안전 및 보안에 관한법률"은 항공기 승객이 여행 중에 기내난동 등 금지되는 행위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감정노동자의 인권은 예절과 품격 및 근로 환경의 문화적인 향상이 이루어질 때 더욱 보호될 수 있다.

신체증상장애와 관련된 분노정서특질과 아동기 역경 경험 (Anger-Related Characteristics and Childhood Adversity in Somatic Symptom Disorder)

  • 강성혁;박천일;김혜원;김세주;강지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9-56
    • /
    • 2020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anger-related features in patients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SSD)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and to examine whether anger trait and anger regulation strategy are associated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SS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dversity and SSD. Methods : 26 patients with SSD and 28 healthy controls were included. Anger-related features were assessed with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Clinical somatic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somatization subscale of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and th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Childhood adversity was assessed by the Childhood Traumatic Events Scale.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was performed. Results : Disease status of SSD had a significant overall effect on anger-related features (Wilks λ=0.725, F(5, 44)=3.332, p=0.012). Patients with SSD showed a significantly high Trait-Anger (p=0.017) and they had a high score in both Anger-Out (p=0.013) and Anger-In (p=0.001) of anger expression styles. In particular, a directed inward style of anger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atization symptom severity (p=0.003). Regarding childhood adversity, more childhood extreme illness was experienced by the SS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12). Within the SSD group, childhood extreme illness was associated with higher Trait-Anger (p=0.027) and Anger-Out (p=0.001). Conclusion :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styles, and childhood adversity of extreme illness may be involved in SS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role of anger-related features and its relationship with childhood adversity in the pathophysiology of SSD.

음식 심리학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Food Psychology)

  • 김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93-40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음식 심리학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여 음식이 가지는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영향력을 이해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음식 심리학에 대해 탐색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맛의 지각은 감각적 정보 뿐 아니라 개인의 내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개인의 마음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식 섭취의 심리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에는 섭식억제이론, 정서 조절 이론, 자기주의이론에 근거한 폭식에 관한 도피모형 등이 확인되었다. 셋째, 음식 관련 진단도구에는 부모의 식사 중 행동척도, 까다로운 섭식 척도, 섭식억제 척도, 부정적 정서에 따른 섭식동기 척도, 보상적 섭식 욕구척도, 음식 갈망-특질 척도, 음식중독 척도, 적응적 섭식 척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폭식과 관련한 증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 관련 심리장애에 대한 연구는 음식갈망, 폭식장애, 신경성 폭식증, 섭식억제, 건강음식집착증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음식 관련 심리장애의 치료와 관련한 연구는 단기 심리교육, 억제통제훈련, 심상처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인지행동치료적 접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식이 가지는 정서적인 영향력과 음식과 관련한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개입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