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rate

검색결과 621건 처리시간 0.036초

대맥에서 저온 발아 및 출현력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of Germination and Emergence Capacity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Barley)

  • 천종은;이은섭;이상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2-156
    • /
    • 1984
  • 본시험은 저온 조건에서 우리 나라 보리 주요 품종의 발아력과 출현력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세는 온도가 $4^\{\circ}C$에서 $3^{\circ}C$씩 상승할수록 70에서 10~45 정도 증가되었고 $7^{\circ}C$에서 변이가 가장 컸으며, 저온(4$^{\circ}C$)에서 백동, 남해보리, 강보리, 부흥 등의 발아력이 좋았다. 2. 출현률은 온도가 $4^{\circ}C$에서 $7^{\circ}C$로 상승할 때 84%에서 92%로 증가하였으며 출현력(ERI)은 영산보리, 광성, 백동이 불량하였으며 부호보리, 남해보리, 오월보리, 알보리, 사천 6호 등이 양호하였다. 3. 저온에서 발아력과 출현력 및 기타 형질과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4^{\circ}C$$7^{\circ}C$구간에 출현력과 건물중은 서로 상관이 높았다. 4. 따라서 저온 조건에서 보리 종자의 발아력과 출현력은 품종간 변이가 컸으며 발아력으로 출현역을 추정할 수는 없었다. 또한 저온 출현력을 검정하는데 ERI와 건물중을 같이 이용하면 좀더 정확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보리 피과성이 발아 및 출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lled and Hulless Barley Isogenic Lines on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

  • 이은섭;정덕현;천종은;남중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8-83
    • /
    • 1986
  • 본 실험은 과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낮은 출현율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피주성 isogenic line을 육성 공시하여 발아 및 출현에 저해요인이 될 수 있는 수확기의 강우, 탈곡기회전수, 파종심도, 온도등을 달리하여 비교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확 전일 강우시는 피성에 비하여 과성의 발아율이 4∼6 % 낮았으며, 5 일 인공강수처리에서는 과성의 발아율은 현저히 저하되었다. 2. 탈곡기회전수가 600rpm에서 1,000rpm 으로 상승할 때 피성의 발아율이 100 %에서 90%로 저하된 반면, 과성은 98%에서 76%로 발아율이 크게 저하되었다. 3. 과성에서 발아율보다 출현율이 피성에 비하여 큰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그 차이가 컸다. 4. 파종심도, 고탈곡회전수, 수확시의 강우 순으로 피성보다 과성의 출현율을 크게 저하시켰다. 따라서 과맥을 육종할 때 출현율 및 유묘활력 향상을 위한 육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담배 가공 원료엽의 궐련벌레 생육과 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ed tobacco leaves for the development and emergence of cigarette beetle)

  • 채순용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cessed tobacco leaves on the development, adult emergence and body weight of the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Fabricius) (Coleoptera: Anobiidae) is serious insect pest of tobacco leaves and cigarette during storage. Developmental time, adult emergence rate and adult weight of the cigarette beetle, were evaluated on the cured tobacco and burley tobacco leaves at $30{\pm}1^{\circ}C$ with $70{\pm}5$ % RH under 12L:12D. The developmental time on all of the flue-cured tobacco leaves was about 61 days, but in the only CD3W and CD4TR grade burley tobacco, the developmental times ranged from 70 days to 74 days. Among the flue-cured tobacco leaves, the highest beetle emergence rate was 123 % on the CD3L grade, and the lowest was on the AB4OR grade. Adult body weights of the cigarette beetle reared on flue-cured tobacco were about 2.11~2.46 mg, and on the only CD3W and CD4TR grade burley tobacco were about 1.86~1.96 mg. Among the flue-cured tobacco leaves, the highest adult body weight(2.46 mg) of cigarette beetle was observed on the B1O grade flue-cured tobacco, whereas the lowest adult weight(2.11 mg) was observed on the CD4L grade flue-cured tobacco. The adult weight of cigarette beetle reared on whole meal was 2.04mg.

온도가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출엽속도와 출엽간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Leaf Emergence Rates and Phyllochron of Naked and Malting Barley)

  • Kang, Young-Kil;Ko, Koan-Su;Kang, Bong-Ky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49-457
    • /
    • 1993
  • 온도가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출엽속도와 출엽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쌀보리 3품종(능쌀보리, 새쌀보리, 향천과 001)과 맥주보리 3품종(두산 8호, 사천006, 진광보리)을 향온 7수준(4, 8, 12, 16, 20, 24, 28$^{\circ}C$)과 변온 7수준[6/2(명기 / 암기), 10/6, 14/10, 18/14, 22/18, 26/22, 30/$25^{\circ}C$]으로 유지시킨 생장상에서 4엽기까지 키우면서 매일 주간엽수를 조사하여 출엽속도 및 출엽간격를 산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온과 변온에 관계없이 공시품종 모두 동일 온도내에 있어서는 출아후 일수가 증가됨에 따라 주간 출엽수도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평균기온 28$^{\circ}C$를 제외하고는 출아속도와 출아간격이 항온과 변온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아속도와 출아간격은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동일 품종내 온도간에도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기온이 증가됨에 따라 일당 출아속도는 출아 최적온도까지 곡선적으로 증가된 다음 감소되었는데, 6품종의 출아 최적온도는 20.1~21.5$^{\circ}C$로 품종간 현저한 차이는 없었으나 출아 최적온도에서의 출엽속도는 쌀보리가 0.202~0.226엽/일, 맥주보리가 0.231~0.241엽/일으로 맥주보리가 큰 경향이었다. 평균이온이 증가됨에 따라 유효적산온도당 출엽속도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되었고, 출엽간격(일엽당 적사온도)은 지수함수적인 증가를 보였는데, 6품종의 평균 출엽간격은 4$^{\circ}C$에서 46.2GDD/엽, 28$^{\circ}C$에서 129.3GDD/엽이었다.

  • PDF

국내 수집 잡초성벼의 출아특성 분석 (Emergence Characteristics of Weedy Rice Collected in South Korea)

  • 황운하;백정선;안승현;정재혁;정한용;이현석;윤종탁;박태선;이건휘;최경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79-188
    • /
    • 2017
  • 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잡초성벼 유전자원 5,300점을 수집 지역별로 구분 후 그 중 100점을 시험재료로 선정하여 증식 후 휴면성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생육온도 및 파종심도에 따른 출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 재료 중 적미의 비율은 80%로, 휴면성이 일반품종보다 높은 20% 이상인 유전자원이 60%이였다. 휴면성이 일반품종 수준인 시험재료 40점을 대상으로 생육온도 및 파종심도에 따른 출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출아율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는 $12^{\circ}C$, $14^{\circ}C$였으며, 파종심도가 1 cm 및 3 cm일 시 평균 $10^{\circ}C$ 초과 적산온도 $1^{\circ}C$ 상승에 따라 출아율은 각각 0.6%, 0.5% 증가하였으나 파종심도 5 cm에서는 적산온도 증가에 따른 출아율 증가가 0.28%로 감소하였다. 휴면성이 일반품종에 비해 높은 유전자원 60점을 수확 후 파종 심도 별로 매몰 후 동계 야외처리를 하고 이듬해 봄 출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적미는 파종심도 1 cm, 3 cm, 5 cm에서 출아율이 55%, 46%, 41%로 다소 높았으나 백미의 경우 각 깊이에서 출아율이 10%, 8%, 5.7%로 감소되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파종 심도 별 최종 출아율을 100%로 가정하여 계산된 상대 출아율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상대 출아율이 80%, 90%, 100%에 도달하기 위한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83-112^{\circ}C$, $100-123^{\circ}C$, $148-160^{\circ}C$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지역인 전주지역에서 잡초성벼의 출아율이 90% 이상을 나타내는 시기는 5월 8일 이후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비선택성 제초제를 시용하여 잡초성벼를 방제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기대된다.

벼 수발아가 종자 활력, 발아율 및 입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Sprouting on Seed Viability,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Rate of Rice)

  • 손지영;김준환;정한용;김보경;최경진;양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27-434
    • /
    • 2014
  • 1. 생산지에 따라 벼 종자의 수발아립률 차이가 컸던 호품벼의 출아율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수발아율 8%인 시료는 수발아율이 1%인 시료에 비해 발아율과 출아율, 종자활력이 30% 낮았다. 2. 수발아율이 높은 시료는 수발아립의 변색 정도가 심하고 미발아율과 부패율이 높았다. 수발아립은 배가 돌출하고, 변색된 배유와 곰팡이 감염이 관찰되었으며 배유의 1/2이상이 변색된 종자는 발아율이 매우 낮았다. 3. 종자의 발아 진행정도에 따라 현미의 변색이 심해졌는데, 싹이 3 mm이상일 경우 배유의 1/2정도가 변색되었다. 4. 발아 종자는 싹이 3 mm이상일 때부터 재발아율이 크게 떨어졌으며 퇴화촉진처리 후 발아율의 감소가 더 컸다. 특히 퇴화촉진처리한 발아 종자는 싹이 2 mm부터 종자활력이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수발아 발생이 심할수록 파종기 발아율과 출아율의 감소가 크고, 수발아가 3 mm이상 발생하면 발아율이 크게 저하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발아는 동일 품종과 동일 지역에서도 포장 간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재배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후 기업퇴출에 관한 연구: 미국 레이저 프린터 산업을 중심으로 (The Emergence of de facto Standard and Firm Exit: Evidence from US Laser Printer Industry)

  • 강광욱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115-135
    • /
    • 2015
  • 사실상의 표준 등장은 산업의 경쟁적 상황의 변화를 가져오는 주요한 사건이며, 등장 이전의 디자인 경쟁에서 등장 이후 제품 경쟁으로 경쟁상황을 변화시킨다. 이는 사실상의 표준 등장이 산업의 발전과 기업의 전략수립에 주요한 변환점이 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사실상의 표준과 기업 퇴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983년부터 2002년까지 미국의 레이저 프린터 산업을 대상으로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후, 기업퇴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x의 비례위험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제품수준 6650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총 119개 회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전에 진입한 기업일수록 퇴출될 확률이 증가하였다.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후, 시장에서 경쟁기업 수가 많은 경우에는 기업의 퇴출 확률이 줄어들었으며, 제품 경쟁이 심해질수록 퇴출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실상의 표준 등장 이후 산업의 독특한 경쟁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실상의 표준 등장에 따른 산업의 경쟁적 환경에 대한 전략적 그리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안동대목 종자의 크기와 등숙 정도에 따른 발아.유묘 출현 및 생장 (Germination,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of Burcucumber Affected by Maturity and Size)

  • 강진호;전병삼;윤수영;이상우;정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2-155
    • /
    • 2003
  • 야생의 안동대목은 종자의 크기 및 충실도에 많은 변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약용 및 박과접목묘의 대목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안동대목 종자의 크기 및 성숙 정도가 발아, 유묘 출현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동대목 종자의 발아율 및 유묘출현율은 미성숙 종자에 비하여 성숙 종자에서 높았다. 그러나 종자의 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성숙 종자와 미성숙 종자 모두 대립종자에 비하여 중립 또는 소립종자에서 높았던 반면, 유묘출현율은 중립종자에서 가장 높고 대립종자에서 가장 낮았다. 종자 크기와 성숙 정도가 유묘 형태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하배축 길이를 제외한 초장, 본엽수, 자엽 및 본엽의 면적은 종자 크기가 클수록 길고 많았던 반면, 종자의 성숙 정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 부위 및 전체 건물중은 미성숙 대립종자보다는 성숙 대립종자에서, 성숙 유무에 관계없이 종자의 크기가 클수록 많았다

근권 정창 세균 Pseudomonas fluorescens MC07의 항진균 활성과 병 억제 능력 (Antifungal Activity of Root Colonizing Pseudomonas fluorescens MC07 is Responsible for Its Disease Suppression Ability)

  • 김진우;박병근;황인규;박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06-611
    • /
    • 1998
  • An antagonistic bacterium, Pseudomonas flurorescens MC07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Fusarium oxysporum, and Phytophthora capsici in on potato dextrose agan (PDA) and other media. The strain MC07 conlonizes various plant roots and possesses antifungal activity. To determine the role of antifungal activity of the bacterium in disease suppression, a mutant Okm3-4 which lost its activity was isolated after screening 2,500 colonies generated by Omegon-Km insertions. The mutant Okm3-4 showed diminished growth inhibition of R. solani, P. ultimum, F. oxysporum, and Ph. capsici in vitro and had reduced suppressive effects on sesame damping.-off compared to the parental strain. In soils, accumulation of the pathogens by continuous cropping, 90% of sesame plants were killed by natural infection of damping-off whereas, only 29% of plants grown from seeds treated with MC07 were killed. On the other hand, 85% of plants died when sesame seeds were treated with the Okm3-4 cells. This indicated that antifungal activity of MC07 in vitro is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suppression of damping-off disease. Emergence rates of sesame seeds in pots containing diseased soil were 33%. However, MC07 treatments on seeds significantly improved emergence rates, which has similar effects of Benomyl treatment. The mutant Okm3-4 exhibited 53% of emergence rate. This indicated that antifungal activity of MC07 also affects the emergence rate of sesame seeds.

  • PDF

토양조건이 콩 하배축신장성과 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Conditions on Hypocotyl Elongation and Emergence in Soybean)

  • 이성춘;김진호;서홍일;최경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06-513
    • /
    • 1992
  • 대두 성력재배에 있어서 저조한 출아ㆍ입묘율을 제고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종자조건과 토양조건이 한국 주요 대두 장려품종들의 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장출아율은 저하축신장이 양호한 품종이 불량한 품종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 2.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종자표면적이 작은 소립종자가 큰 중, 대립종자에 비하여 출아저항력이 작아 파종심도 5cm이하에서는 대립종자가 7.5cm에서 소립종자가 출아율이 높았다. 3. 토양별 출아율은 진흙에서 65%, 진흙 : 모래(1 : 1) 모래 : vermiculite(1 : 1)에서 각각 80, 84%였고 vermiculite, 모래 및 진흙 : vermiculite(1 : 1)에서 각각 80, 90, 91%로 높은 출아율을 나타냈다. 4. 토양수분 potential이 -0.1bar에서 -0.5bar까지 점차 낮아짐에 따라 출아율은 순차적으로 높아져 -0.5bar에서 87.2%로 최고 출아율을 보였으나 이후 낮은 potential에서는 수분부족으로 인하여 -0.7bar 출아율이 25.2%로 최저치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