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ryo stem-cell debat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영국의 배아관리체계와 공공정책의 선택 (Human Embryo Management System and Public Policy Options in the United Kingdom)

  • 황만성;한동운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7-121
    • /
    • 2004
  • Recently,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raises exciting public expectation on medical possibilities as well as ethical debate. Embryo management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management of infertility treatment, researches on embryo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so on. Britain has permitted the research on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 which made the first nation to allow the cloning of human embryo for the stem cell research. However, new technologies such as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continue to pose an increasing source of ethical dilemmas for physician, scientists, legislators, religious authorities and the general publics to deal with. None the less, the United Kingdom has adopted the most liberal policies regarding human embryo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The implication of the British embryo management system are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new stem cell research technologies continue to pose legal and ethical debates, since those involve several parties; 2) the UK has take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to cope with those serious issues; 3) the UK adopted most liberal policies regarding embryonic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es; 4) the British HFE Act is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Acts related to human embryo management and researches; 5) through amending the HFE Act to accomodate the changes of technologies, the UK try to minimize the legal and ethical burden on undertaking research regarding embryo. The debates about the researches on human embryo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s is likely to continue in the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 controversy and competing ethical values, as well as the evolving technologies, so far no consensus exists in our society. It suggest that it is premature to bring closure by ruling out any particular approaches. Thus our society needs to make an efforts to find a basis which could resolve the societal controversies through enriching the societal conversation about the profound ethical issues regarding embryo management.

무대 위의 과학: 2004 배아줄기세포 논란을 중심으로 본 윤리 커뮤니케이션 (Science on the Stage: Ethical Communication in the 2004 'Hwang woo-suk' Case)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23-47
    • /
    • 2005
  • 이 논문은 2004년에 있었던 황우석 박사의 배아줄기 세포 연구를 둘러싼 윤리 논쟁을 통해 우리 사회가 윤리를 처방하는 방식, 즉 윤리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분석한다. 배아줄기세포 논쟁은 난자나 배아와 같은 생명과 직결된 민감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황우석의 연구가 <사이언스>에 발표된 직후 우리 사회가 일종의 집단 흥분사태에 빠져들면서 논쟁이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이 사건은 과학윤리가 우리 사회에서 다루어지는 방식을 매우 역동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에는 숱한 집단들의 갈망, 이해관계, 갈등 등이 포함되며 배제와 포섭의 복합적인 역관계가 개입한다. 이 논문은 배아복제를 둘러싼 논쟁을 윤리의 정의의 주도권을 둘러싼 경합 과정으로 분석한다, 이 분석에는 애국주의적 담론과 수사(修辭)의 생산, 그리고 수사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기입의 경쟁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황우석이라는 스타 과학자 만들기는 이러한 윤리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결국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윤리 커뮤니케이션은 애국주의와 결합된 스타 과학자 만들기의 무대에서 주변화되었고 반과학이라는 낙인이 찍혔다. 그리고 과학윤리의 주도권은 시민사회가 아닌 연구자와 국가가 장악했다. 이 연구의 주된 주장은 윤리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그 처방 방식을 둘러싼 경합을 통해 구성되며, 그를 위해 다양한 수사가 동원된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