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odied know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Of Scent and Sensibility: Embodied Ways of Seeing in Southeast Asian Cultures

  • Ly, Boreth
    • 수완나부미
    • /
    • 제10권1호
    • /
    • pp.63-91
    • /
    • 2018
  • One of the goals of this article is to continue the momentum begun by emerging scholarship on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about visual culture of and in Southeast Asia. I hope to offer culturally sensitive and embodied ways of looking at images and objects as sites/sights of cultural knowledge as further theoretical intervention. The argument put forward in my essay is three-fold: first, I critique the prevailing logocentric approach in the field of Southeast Asian Studies and I argue that in a postcolonial, global, and transnational period, it is important to be inclusive of other objects as sites/sights of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analysis beyond written and oral texts. Second, I argue that although it has its own polit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the evolving field of Visual Studies as it is practiced in the United States is one of many ways to decolonize the prevailing logocentric approach to Southeast Asian Studies. Third, I argue that if one reads these Euro-American derived theories of vision and visuality through the lens of what Walter Mignolo calls "colonial difference(s)," then Visual Studies as an evolving field has the potential to offer more nuanced local ways of looking at and understanding objects, vision, and visuality. Last, I point out that unlike in the West where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pure, objective and empirical vision, local Southeast Asian perspectives on objects and visions are more embodied and multi-sensorial. I argue that if one is ethically mindful of the local cultural ways of seeing and knowing objects, then the evolving field of Visual Studies offers a much-needed intervention to the privileged, lingering logocentric approach to Southeast Asian Studies. Moreover, these alternative methods might help to decolonize method and theory in academic disciplines that were inven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 PDF

Learning Science in Communicating Science and Technology In-the-making: A Case Study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ia' Award Program

  • Hwang, Sung-Won;Hwang, Book-Kee;Choi, Jung-Ho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6-133
    • /
    • 2007
  •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ia' award program is an annual nationwide award activity organized to provide teenagers with opportunities for engaging in a high-technology-based long-term project work. The task involves designing a model ship propelled by the Lorentz force (a Lorentz ship) that allows diverse approaches irreducible to one right answer, and thus adopts featur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he-making, In this study, we attend to opportunities for learning science that the uncertain aspects of artifact-designing project provide with participants, particularly when students communicate with scientists about their design practices. We analyze oral presentation sessions of the program and articulate two findings. First, students articulate embodied knowing in the presence of scientists. Second, students enact discursive resources deployed in concrete action. We conclude that students' design practices constitute referent that communication is directed toward and therefore become resources for developing scientific discourse.

IPTV를 위한 SD&S 기반 iPG XML 생성 및 전송 시스템 (A System on iPG XML creation and transmission based on SD&S for IPTV)

  • 김태현;배유석;학일명;이상조;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9-112
    • /
    • 2007
  • 현재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 인프라 환경의 발전으로 방송과 통신의 융합 시대가 되었다. 방송 통신융합 서비스로는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가 있다. 디지털 방송은 방송들을 하나의 스트림으로 만들어 전송하고 단말에서 채널정보와 방송정보를 분석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IPTV는 각 방송들을 멀티캐스트방식으로 전송하므로 단말에서 모든 채널정보와 방송정보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에서 IPTV 방송 정보를 검색하고 채널 선택을 지원하기 위하여 IPTV용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Sl(Service Information)를 추출하여 SD&S(Service Discovery and Selection) 기반 iPG(internet Program Guide) XML 문서를 생성하고 멀티캐스트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절대주의 실험 예술의 환경과 예술가 의상 (Artist's Clothing and Environment of Suprematism as Experimental Art)

  • 이금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1호
    • /
    • pp.152-168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essentials of Suprematist artists focusing on Malevich and their works in relation to modem design, and to examine their roles in the modem design industry compared to those of modem designers. The study obtains the following result on Suprematist artists and their works in Russian avant-garde in terms of modem design. Firstly, Suprematist artists had a great deal of interest in practical design although it seemed Suprematist were replaced by utilitarianism in avant-garde during the Russian revolution. Secondly, Suprematist artists were the first artists to bring the birth of modem design trends by applying their art in geometric forms to clothing and fabric design as well as ornaments and handicraft. Thirdly, the artists' attempt to work with needle workers made it possible to set achievements in design and modem decorative art exhibitions in various fields of art-life. As for the role of modem designers, Suprematist artists including Malevich have significant meanings as follows: Firstly, Malevich was a creative, future-oriented artistic designer who realized zaum of painting on the stage and created suprematistic mode in a cosmic point of view in order to agree with the environment. Secondly, Suprematist artists knew the importance of works that were produced by craftsmen and worked together with them. Therefore, the designers could maintain fabric decoration in difficult conditions knowing the importance of the high value-added industry. Thirdly, they were artists in real life who embodied the ideas and theories of Suprematist in sample works by recognizing the need of changes in life environment: they planned to set a new visual world in art but did not confine the idea only to painting.

  • PDF

경험과 관련된 신앙교육 수업 준비과정과 적용을 위한 과제 연구 (A Study on the Tasks for the Preparation Process and Application of Faith Education Related to Experience)

  • 한경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0권
    • /
    • pp.207-238
    • /
    • 2022
  • 신앙교육은 그리스도의 삶을 추구하는 '삶의 방향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것은 성서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성서의 메시지가 삶으로 구현되어야 가능하다. 그러나 오늘날 신앙교육은 성서 메시지가 삶으로 구현되게 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신앙교육이 성서의 경험과 인간 삶의 경험과 만나도록 안내하는 대신 성서 내용 자체를 알게 하는 데 주력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교회교육은 삶의 변화와 실천보다 개인의 내면 신앙을 강조하며 사후 천국을 준비하고, 개교회 교인을 위한 훈련과 양적 성장을 위해 대부분 할애되었다. 그 결과 코로나19 시대에 개신교인들은 개교회의 안위만을 신경 쓰는 성숙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말았고, 개신교에 대한 사회적 신뢰는 상실되고 말았다. 따라서 신앙교육은 성서의 메시지가 삶으로 구현되기 위해, 성서의 경험과 학습자의 경험이 만나 하나님 앞에 삶으로 응답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러한 신앙교육을 교회교육 현장에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모색하고자 필자는 독일 개신교 루터파 바이에른 노회가 편찬한 "경험과 관련된 종교 수업 준비(Religionsunterricht Vorbereiten)"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교회에 적용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험과 관련된 종교 수업 준비는 다섯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개인적인 만남, 신학적 방향 설정, 교수학적 방향 설정, 교수학적 결정들, 진행계획 정리이다. 이 과정의 주요 목적은 성서의 신앙인들이 자기 삶의 경험을 신앙의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는지 '바라보는 관점'을 학습하는 것이다. 경험과 관련된 신앙교육은 성서 교수법 중 하나가 아니라 신앙교육의 본질을 다루고 있다. 교육의 장이 현실 세계에서 가상세계까지 확장해가는 사회 변화 속에 있지만, 신앙교육의 본질적인 성격은 바뀔 수 없다. 그러므로 한국교회에 경험과 관련된 신앙교육에 관한 연구와 적용은 성서의 메시지가 그리스도인의 삶에 구현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무가 '삼공본풀이'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A Study on the Korean Shamanistic Myth "Samgong Bonpoori"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황명숙
    • 심성연구
    • /
    • 제30권2호
    • /
    • pp.145-186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도 무가 <삼공본풀이>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해석한 것이다. <삼공본풀이>는 육지의 '내 복에 산다' 계 민담과 유사하고, 한국 뿐 아니라 일본과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아일랜드에 까지 널리 퍼져 있는 신화이다. 누구 복에 사는가? 묻는 부모의 질문에 천지, 부모의 덕과 배꼽아래 선의 덕(배꼽에서 음부 쪽으로 내려 그어진 선)으로 산다고 대답한 셋째 딸 가믄장아기는 쫓겨난다. 가믄장아기는 부모와 자신을 이간시키려 했던 두 언니를 지네와 말똥버섯으로 전환케 하고, 부모는 장님이 되고 걸인이 되게 한다. 가믄장아기는 집을 나와 마를 캐는 마퉁이를 만나 결혼하게 되고, 마를 캐는 밭에서 금을 발견한다. 가믄장아기는 부자가 된 후 걸인잔치를 열어 장님이 된 부모를 만나게 되고 부모는 눈을 뜨게 되며, 두 언니들도 다시 만나 모두와 화해하며 '전생 신'임을 밝힌다. <삼공본풀이>는 신화로써 神의 이야기이다. 神은 완성된 존재로서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없지만 이를 민담 차원으로 내려와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가믄장아기는 아버지의 아니마 원형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부성적인 의식이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아니마 원형인 가믄장아기는 처음에는 부모에게 배척을 받는다. 그러나 부모가 장님이 되는 고통과 시련의 과정을 겪고 마침내 눈을 뜨게 되는 것은 가믄장아기가 이 세상에 '소명'을 갖고 온 존재임을 알 수 있다. 가믄장아기는 기존의 가부장적인 집단의식을 새롭게 하고자하는 '여성성'의 창조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성의 의식화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에게 더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신이 타고난 본성(여성성)을 알지 못하고 부모의 뜻과 인습적인 가치에 순종하기만 했던 두 언니들도 지네와 말똥버섯이라는 미물과 식물로 전환되어 그림자에 사로잡히는 고통과 시련을 겪음으로써 마침내 자기인식을 획득하게 된다. 가믄장아기는 마지막에 부모와 언니들과 모두 화해를 하여 전체가 되게 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자기실현의 모습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자기실현은 가부장적인 집단의식을 새롭게 하는 중요한 목적의미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