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dense granul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연근해산 두족류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시엽 (Optic lobe)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Optic Lobes of Cephalopods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inhabiting the Korean Waters)

  • 한종민;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2호
    • /
    • pp.131-147
    • /
    • 2002
  • 살오징어와 서해낙지의 시엽은 피질부와 수질부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피질부는 3층(외과립세포층, 망상층, 그리고 내과립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피질부의 두께는 오징어에서 약 $420{\sim}450{\mu}m$ (외과립층, $100{\mu}m$; 망상층, $170{\sim}200{\mu}m$ 그리고 내과립층, $150{\mu}m$) 정도였고 낙지인 경우는 약 $250{\sim}290{\mu}m$ (외과립세포층, $50{\sim}70{\mu}m$; 망상층, $100{\sim}120{\mu}m$; 내과립세포층, $100{\mu}m$) 정도로 관찰되어 오징어가 낙지에 비해 $170{\mu}m$ 정도 더 두터웠다. 살오징어의 외과립세포층에서는 3종류의 신경세포(A형, B형 그리고 C형)와 이들을 감싸거나 인접되어 있는 신경교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서해낙지에서는 2종류의 신경세포(A형과 B형)와 1종류의 신경교세포가 관찰되었다. 망상층에는 전연접자루와 신경말단들이 서로 연접되어 다양한 형태의 연접체를 형성하였는데, 살오징어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소포, 과립소포, 그리고 투명소포 등이 혼재되어 있거나 한 종류만을 포함하는 경우 등 다양한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투명소포만을 소지한 경우와 과립소포만을 소지한 경우, 그리고 투명소포와 과립소포들이 혼합된 경우 등 3종류의 연접체가 주로 관찰되었다. 내과립세포층은 구조적으로 두 종에서 거의 비슷한 형태이며 2종류의 신경세포(A형과 B형)와 1종류의 신경교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살오징어의 수질부에서는 크기가 $7{\times}5{\mu}m$ 정도인 세포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 울타리세포층을 형성하였으나 서해낙지에서는 이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BB랫드의 췌장 샘포세포의 미세구조적 특징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ancreatic acinar cells in the diabetes-prone BB rat)

  • 정영길;김길수;이철호;원무호;조성환;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
    • /
    • 1996
  •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ocrine pancreas in genetic model BB rat of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dllitus(IDDM) were carried out. Wistar rat was used as control animal. Flow rate of pancreatic juice, output of amylase and protein, and plasma glucose and insulin levess were examined. Also light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xocrine pancreas were observed. Pancreatic flow rate, output of amylase and protein, and insulin level were lower;glucose level was higher comparing with those of the control Wistar rat. In Wistar rat, exocrine pancreas was typical light microscopically. Zymogen granules and cell organelles were well developed in fine structure. Cell size of the periinsular acini was larger, and number of zymogen granules were more than those of the teleinsular acini. Most acinar cells were dark cells which containe well-developed RER in their cytoplasm. On the other hand, some light cells which have the dilated RER cisterns were found. In BB rat exocrine pancreas, cell size of per-and tele-insular acini similar to that of Wistar rat. The number of light cells occupied 40-50% compairing with that of Wistar rat. Zymogen granules were lower in number than that of Wistar rat and divied into three typ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type I showing normal structure, type II showing the wide hallo and small electron dense core in center of the zymogen granule and type III not having the electron dense core in the zymogen granule. The present ratio of type I, type II and type III are less than 5%, 30-40% and more than 50%, respectively.

  • PDF

韓國産 플라나리아(Dy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表皮上皮細胞의 微細構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al Epidermis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 장남섭;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4-208
    • /
    • 1985
  • 실험에 사용한 플라나리아는 Dugesia japonicia Ichikawa et Kawakatsu로서 核型分析에 의하여 種을 확인하였다. 이 種의 表皮上皮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세포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行하였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는 hematoxylin-eosin, periodic acid-schiff(PAS)反應, alcian blue(pH 2.5), PAS-alcian blue反應 그리고 methylene blue-basic fuchsin 등으로 염색을 시행하였고, 체표면을 走査電子顯微鏡으로, 또한 各部位의 微細構造를 透過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플라나리아의 表皮는 單層圓桂形上皮로 되어 있었고, 상피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형태학적 및 세포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6類型의 세포들도 區分되었다. 1) 纖毛上皮細胞 (Ciliated epithelial cell) : microtubule 배열이 9+2型인 섬모를 가지고 있었다. 2) 好酸性細胞(Eosinophilic cell) : 세포질에 소수의 큰 好酸性 顆粒을 가진 세포로서, 전자 현미경하에서는 顆粒들은 棒狀形이고,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基質에 섬유상 구조물이 분산되어 있었다. 3) 粘液細胞(Mucous cell) : 세포질에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다양한 모습의 과립($0.8\\times0.3 \\muM$) 들이 충만되어 있었다. 4) 棒狀體形成細胞(Rhabdite-forming cell) : 세포질쪽에 매우 강한 eosinophilia를 나타내는 다양한 크기의 棒狀體顆粒을 한 개 혹은 여러개 가지고 있었으며, 顆粒의 전자밀도는 높았다. 5) A型 好鹽基性顆粒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A) 背腹部 상피에서 관찰되었고 그 세포질에는 alcian blue(ph2.5)에 강하게 염색되는 $1.5\\times1.0 \\mum$의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과립들은 형태가 球形에 가깝거나 혹은 불규칙형이였고 전자밀도가 높았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柔組織에서 基底膜은 通過하여 表皮上皮로 이동되었다. 6) B型 好鹽基性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B) 兩側部의 表皮上皮에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에는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0.7\\times0.4 \\mum$의 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包含하고 있었다.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과립들의 형태는 비교적 불규칙하였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역시 柔組織에서 표피로 이동되었다.

  • PDF

인태아 상경신경절 발육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of Human Fetuses)

  • 김대영;김백윤;윤재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2호
    • /
    • pp.139-158
    • /
    • 1998
  • The development of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ic method in human fetuses ranging from 40 mm to 260 mm of crown-rump length (10 to 30 weeks of gestational age). At 40 mm fetus,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as composed of clusters of undifferentiated cell, primitive neuroblast, primitive supporting cell, and unmyelinated fibers. At 70mm fetus, the neuroblasts and their processes were ensheated by the bodies or processes of satellite cells. The cytoplasm of the neuroblast contain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mitochondria, Golgi complex, Nissl bodies and dense-cored vesicles. As the neuroblasts grew and differentiated dense-cored vesicles moved away from perikaryal cytoplasm into developing processes.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cholinergic axon and dendrites of postganglionic neuron and a few axosomatic synapses were first observed at 70 mm fetus. At 90 mm fetus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consisted of neuroblasts, satellite cells, granule-containing cells, and unmyelinated nerve fibers. The ganglion cells increased somewhat in numbers and size by 150 mm fetus. Further differentiation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young ganglion cells, whose cytoplasm was densely filled with cell organelles. During next prenatal stage up to 260 mm fetus, the cytoplasm of the ganglion cells contained except for large pigment granules, all intracytoplasmic structures which were also found in mature superior cervical ganglion. A great number of synaptic contact zones between the cholinergic preganglionic axon and the dendrites of the postganglionic neuron were observed and a few axosomatic synapses were also observed. Two morphological types of the granule-containing cells in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ere first identified at 90 mm fetus. Type I granule-containing cell occurred in solitary, whereas type II tended to appeared in clusters near the blood capillaries. Synaptic contacts were first found on the solitary granule-containing cell at 150 mm fetus.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soma of type I granule-containing cells and preganglionic axon termials were observed. In addition, synaptic junctions between the processes of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and dendrites of postganglionic neuron were also observed from 150 mm fetus onward. In conclusion, superior cervical ganglion cells and granule-containing cells arise from a common undifferentiated cell precursor of neural crest . The granule-containg cells exhibit a local modulatory feedback system in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and nay serve as interneurons between the preganglionic and postganglionic cells.

  • PDF

청설모췌장의 glucageon과 somatostatin 세포의 면역조직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f glucagon and somatostatin in the pancreas of the Korean tree squirrel. Sciurus vlugar is corea)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73-577
    • /
    • 1993
  • 청설모(Sciurus vulgaris corea)의 췌장에 분포하는 glucagon 및 somatostatin 세포의 분포와 그들 분비과립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및 면역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주로 췌도의 주변부에 분포하였고, 때로는 외분비부에서 관찰되었다. 이 세포의 분비과립은 직경이 240~320nm였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core를 전자밀도가 낮은 halo가 둘러싸고 특히 gold particle들은 전자밀도가 높은 core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Somatostatin면역반응세포는 췌도의 주변부를 따를 면역반응이 아주 약한 세포들로 산재하였으며 또한 외분비에서 단독 혹은 소집단으로 관찰되었다. 이 세포의 분비과립은 전자밀도가 낮고 직경이 250~275nm였으며, gold particle는 분비과립에 중등도로 고른 반응을 보였다.

  • PDF

금붕어(Carassius auratus L.) 피부(皮膚) 색소세포(色素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 및 색소과립(色素顆粒) 형성(形成)에 관한 연구(硏究) II. 백색소세포(白色素細胞)(leucophore) 및 흑색소세포(黑色素細胞)(melanophore) (Ultrastructures of the Cutaneous Chromatophores and Pigment Granule Formation in the Goldfish, Carassius auratus L. II. Leucophore and Melanophore)

  • 문명진;김창환;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1호
    • /
    • pp.65-75
    • /
    • 1987
  •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chromatophores and the origin of pigment granules in the goldfish, Carassius auratus L., are studied with electron microscope. Leucophores contain amorphous pigment granules, leucosomes and melanosomes contain oval shaped electron dense melanin pigment granules. These pigment granules are synthesized from the Golgi complexes of each chromatophores and released into the cytoplasm. Among the dermal chromatophores, another kind of dermal cells, named rER rich cells, are also observed. And pinocytotic vesicles are being formed only the inner surface of the chromatophores adhering to the rER rich cells. From these observations, such hypothesis are being possible that pigment materials are synthesized and transfered from the rER rich cells to dermal chromatophores by the pinocytosis. And next remodelizing mechanisms are carried out by the Golgi complexes of each chromatophores.

  • PDF

좀구굴치 Micropercops swinhonis의 난여포층 (Follicular Layer of Oocytes of Micropercops swinhonis (Pisces: Perciformes))

  • 박종영;김익수;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4-260
    • /
    • 2001
  • 좀구굴치 성숙란의 난여포층은 외층인 theca cell과 내층인 granulosa cell로 구분되며 특히 원주형인 granulosa cell은 분비활동으로 인하여 세포질에 분비물이 축적되면서 난모세포를 둘러싸게 된다. 이러한 granulosa cell은 난황형성 초기인 난황포 시기에 입방형태를 보이지만 난황구시기에는 원주상세포로 바뀌면서 점액을 분비하는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부착물질은 형태가 없으며 전자밀도가 높다. 또한 이러한 분비물을 가지는 난막은 난황형성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동물극 부근이 식물극보다 더욱 두꺼워지고 커지게 된다. 이러한 점막여포층 아래에는 약 $7.8{\sim}11.5\;{\mu}m$ 두께의 방사대가 존재한다. 방사대는 전자밀도가 낮은 외층과 3~5층의 여러 전자밀도층을 가지는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점막여포층은 방사대에 존재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물질은 난세포질이 여포상피로부터 기원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of Storage Protein in Pea (Pisum sativum) Cotyledon

  • Yu, Seong-Cheol;Lee, Chang-Seob;Kim, Woo-Kap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23-126
    • /
    • 1996
  • The pattern of seed storage protein, vicilin, deposition and site of intracellular localization was examined in cotyledon cells of pea (Pisum sativum) seed using the immunocytochemical methods. The vicilin was confined to the cisternae fo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dictyosome as well as protein granules newly formed in rough endoplasmic reticulum. Vacuolar protein deposites and protein bodies were also labelled by gold particles. After small protein bodies were formed in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they were transported to large protein bodies and then fused together. Electron dense protein granule, elaborated in the dictyosome, appears to be transported from dictyosome to protein body. A few unlabelled protein granules seem to be accumulated in other type of proteins than vicilin.

  • PDF

물두꺼비의 (Bufo stjnegeri Schmidt)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 및 분비과립 형성에 관한연구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n the Cutaneous Granular Glands and Excretory Granule Formation in the Water Toad, Bufo steinegeri Schmidt)

  • 문명징;도금영;김창환;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2-132
    • /
    • 1988
  • 물두꺼비의 (Bufo stjnegeri Schmidt) 피부 과립선의 미세구조 및 분비과립의 형성과정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고나찰하였다. 과립선은 선강이 진피에 있고 선분비선이 표비와 연결되어 체외로 개구된 단포상선으로서 외부의 근상표피층과 내부의 선상표피층 이외에 세포연접장치가 발달된 다른 한 종류의 세포집단이 분비관 근처로 분포하고 있었다. 선상피세포는 세포간의 경계가 없는 다핵성 단세포의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내에는 방분분비에 의해 체외로 방출되는 과립성 분비물질들이 치밀하게 집적되어 있었다. 한겹의 한계막에 의해 둘러싸인 이 과립들은 선상세포의 기저부에 분포하는 활면소포체로부터 기원하며 형성단계에 따라 4종의 과립형이 구분되었다.

  • PDF

쌀 배유세포 전분복합체와 단백질체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Compound Starch Granules and Protein Bodies of Starchy Endosperm Cell in Rice)

  • 장병수;이수정;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79-383
    • /
    • 1996
  • 조생종 쌀인 오대벼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의 배유세포에 있는 전분복합체와 단백질체의 외부형태 및 미세 구조의 특징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배유세포는 긴 막대모양으로 세로 단면이 장방형 또는 마름모형을 하고 있고, 세포벽은 $0.5\;{\mu}m$의 두께로 균질한 막상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세포내에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전분복합체가 치밀하게 채워져 있으며, 직경이 $18{\sim}25\;{\mu}m$로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였다. 전분복합체는 12면체 또는 14면체의 중앙 전분과립을 중심으로 약 $5\;{\mu}m$ 크기의 전분과립들이 동심원상으로 2 내지 3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유세포에서 단백질체는 호분층에서 보다 아주 드물게 관찰되었지만, 전분복합체의 주변에 인립하여 산재하고 있다. 단백질체는 직경이 약 $3\;{\mu}m$로 구형 또는 난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미세구조적으로 중심부는 전자밀도가 높게, 한계막의 주변부는 비교적 전자밀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