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generation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5초

가정 내 체감형 게임 플레이의 실험 관찰 연구 (Study on User Play of Motion-Based Game : Focused on Empirical Research about Game Play in Families)

  • 김은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14
    • /
    • 2014
  • 본 고는 체감 인터페이스 기술이 선사한 가능성이 게임의 영역에서 실재적으로 어떻게 사용자들에게 경험되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가족 구성을 갖는 7가족을 선발해 1달간의 게임 플레이를 관찰한 후 연구 참여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최종 설문을 종합하여 분석하는 실증적인 체감형 게임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체감형 게임이 그동안 게임에서 소외되었던 기성세대와 여성과 노인을 게임 문화로 이끌어 게임으로 소통하기를 시도하며 가정의 새로운 놀이 문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매과정에서의 판매자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유형 (Consumer Interaction Styles and Attitudes toward Salespersons in the Marketplace)

  • 김정훈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73-84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styles and attitudes toward salesperson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interaction in the marketplace among the generations. 920 samples were surveyed in Chunlabuk-do and 851 sampl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s results of this study, 1) consumers’assertiveness level was less than one’s non-assertiveness level and aggressiveness level. 2) The aggressive type was the most popular type of the interaction and the assertive type was the most unpopular type. 3)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teraction altitudes and types of it among generation and between sexes for the whole sample.4) The religion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in the differences of the interaction type for the adolescents and the elderly.

  • PDF

노인주택공급을 위한 고령자가구구성의 변화에 관한 통계적 연구 -서울과 대구를 중심으로- (A Statistical Review on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Households with the Elderly in Seoul, Taegu)

  • 배정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89-102
    • /
    • 2000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households with the eldery in Seoul and Taegu by time trands, using census data.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rate of the Single and Couple and Couple+Parent(s) Households with the eldery have been increasing. The rate of 3,4 generation households with the eldery has been decreasing. The trend towards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in Taegu was higher than that in Seoul. The result this paper is opposite to common knowledge that in general the speed of change in the large city is higher than that of in country town. And it is coincide with the results of the former papers of the writer.

  • PDF

일본 노인복합시설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gram and Spatial Composition of Senior Complexes in Japan)

  • 한승희;김영희;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6-241
    • /
    • 2008
  • As the population of olds increases, the number of old people with capability increases, and they actively participate to social works with interests in healthy life and leisures. Therefore the demand rises to expand social facilities to support their spare time, while there are limitation, such as land, financial state, to build such facilities. In case of Japan, a solution of such problem occurs by compounding Social facilities for Old people and local facilities in practical and finacial aspect of the selection of site and managing the facilities and social aspect of supporting oppotunities to use various facilities. Such community based complex facilities supports services depending on the health state of Old people locally residing and increases the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imed to analyze programs and space organization of advanced facilities in Japan and provide basical data for planning complex facilities for old people in Korea.

  • PDF

Health Capacity to Work at Older Ages in South Korea: Estimate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ension Policies

  • KIM, DOHYU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1권2호
    • /
    • pp.41-58
    • /
    • 2019
  • Health capacity to work for the elderly is an essential piece of information for designing social policies in an aging society. Here, we assess the health capacity to work of older men in South Korea and provide a cross-country comparison. Following the methodology proposed by Milligan and Wise (2012), which uses the cohort mortality rate as a proxy for overall health status, we quantify the additional employment capacity of current older men in reference to the mortality-employment relationship of a generation ago. Despite the high employment rate of older men in South Korea, we find substantial additional employment capacity among older men (those aged 55 or more) as of 2016 comparable in size to those found in other advanced countries. We also find evidence that older men are not merely capable of working but are also willing to work, and many of them are increasingly combining pension income and wor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bor supply disincentives for older men embedded in public pension systems in South Korea need to be thoroughly reexamined and adjusted accordingly lest they should inhibit the labor supply of older workers.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e platforms: how novel platforms can prepare us for future pandemics: a narrative review

  • Lee, Jae Kyung;Shin, Ok Sarah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89-97
    • /
    • 2022
  • More than 2 years after the explosion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extensive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safe and efficacious vaccines against infections with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The pandemic has opened a new era of vaccine development based on next-generation platforms, including messenger RNA (mRNA)-based technologies, and paved the way for the future of mRNA-based therapeutics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a wide range of infectious diseases. Multiple vaccines have been developed at an unprecedented pace to protect against COVID-19 worldwide. However, important knowledge gaps remain to be addressed, especially in terms of how vaccines induce immunogenicity and efficacy in those who are elderly. Here, we discuss the various vaccine platforms that have been utilized to combat COVID-19 and emphasize how these platforms can be a powerful tool to react quickly to future pandemics.

360 VR 기반 2D 이미지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2D Image Based on 360 VR)

  • 임소연;이준영;박철우;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1-483
    • /
    • 2022
  • 본 연구는 차세대 미디어 대표 주자인 360도 VR 영상이 기반이 되었다. 요양원의 거주 노인들 중 인지능력이 낮은 분들은 사용자 시나리오를 통해 직접 맵을 탐색할 때 2D 이미지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맵을 탐색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노인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Q-E,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elderly: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 정민재;곽동경;김혜영;강명희;이정숙;정해랑;권세혁;황지윤;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87-102
    • /
    • 2018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노인 대상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노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 국가 영양정책 및 권고사항,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식품섭취영역에서 18개 문항, 식행동 식습관 영역에서 23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식사섭취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 항목으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본 층화변수로 6개 권역을 설정하여 권역별로 성별, 연령군별 노인 인구수를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총 1,0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노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19개 항목의 4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4개 요인을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추정된 경로계수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는데, 영역별 가중치는 각각 0.3, 0.2, 0.2, 0.3으로 수렴하였다. '식행동' 영역에는 음식을 씹는데 불편한 정도, 우울정도, 건강에 대한 자각, 건강한 식생활 노력, 식사 전 손 씻기, 운동시간의 6개 항목, '균형' 영역에는 우유 및 유제품 섭취빈도, 과일 섭취빈도, 간식 섭취빈도, 물 섭취빈도의 4개 항목, '다양' 영역에는 달걀 섭취빈도, 생선이나 조개류 섭취빈도, 채소류 섭취빈도, 콩이나 콩제품 섭취빈도, 하루 식사 빈도, 혼자 식사하는 빈도의 6개 항목, '절제' 영역에는 단음식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빈도, 가당음료 섭취빈도, 라면류의 섭취빈도의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표준화된 경로계수가 항목의 가중치로 적용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E 평균 점수는 57.6점이었고, 영역별 점수는 식행동 55.0점, 균형 41.4점, 다양 50.0점, 절제 76.5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 영양지수, NQ-E는 노인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지 판정할 수 있으며,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4가지 영역으로 점수 산출이 가능하므로 노인의 체계적인 영양관리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이다.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남녀 노인의 건강 및 영양섭취 실태 비교: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omparison of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considering the household income level, using the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길진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39-5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7기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식생활, 건강생활특성 및 영양섭취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 수는 전체 1,355명이었으며, 남자 노인 41.5% (558명), 여자 노인 58.5% (797명)로 소득수준별로 저소득군 48.3%, 중소득군 40.9%, 고소득군이 10.5%로 나타났다.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가구 유형에서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여부는 남자 노인에서만 소득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식생활 실태에서는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외식 횟수가 많았으며 점심, 저녁 식사의 동반자가 있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살펴보면 남자 노인의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이 좋다고 느끼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저작 불편 여부에서도 소득이 낮을수록 불편을 느끼는 노인의 비율이 높았다. 비만,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은 노인의 가구소득수준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여자 노인의 경우 고소득군보다 저소득군에서 고혈압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량은 남녀 모두 소득이 높아질수록 에너지섭취량이 증가하였으며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소득수준별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단백질과 지질의 섭취량은 소득수준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단백질, 지질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남자 노인의 경우 인, 칼륨,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차이를 보여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노인은 칼슘, 인, 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의 섭취량에서 소득수준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리보플라빈의 경우 남녀 노인 모두에서 소득수준별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녀 노인의 총 식품섭취량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비례해서 섭취량도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노인의 경우 과일류 (p < 0.001), 해조류 (p < 0.05), 계란류 (p < 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소득이 높아질수록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당류 (p < 0.001), 계란류 (p < 0.001), 음료류 (p <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아질수록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남녀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영양 및 식품섭취량에 차이가 있으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에너지섭취량, 특히 단백질과 지질 섭취량이 많았고 미량영양소에서도 남자와 여자노인에 따라 섭취량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남녀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사회경제적 요인과 가구 유형, 사회환경 등이 식생활 및 영양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 대상 영양지원 또는 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노인의 성별, 소득수준별로 세분화된 내용구성이 필요하며, 건강한 식생활과 생활습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영양교육 및 영양지원 프로그램이 설계되어 제공되어야 하겠다.

노인공동생활주택의 선호개발유형에 따른 주거사용 특성 (Residential Use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for Senior Congregate Housing)

  • 김양현;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133-14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understanding about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members of the future elderly generation who have an intention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600 participants who were in their 40s to 60s, residing in Seoul, and who have an intention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The data collection spanned from December 1st to 20th,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pondents who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higher income, and a high-ranking job showed relatively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their present house. Similar satisfaction level came between their present house and expecting ones in their later life. Financial responsibility was the most serious expected problem when they continue living in the present house in the later life. It means that the economic ability is the primary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y will have a stable life later. Secondly, as for the preference for the senior housing developer type, the group who preferred collectively developed senior congregate housing far outnumbered the other who preferred independent developer type. Also, the group who preferred collective developer type had higher economic ability than that of the o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bove all, economic competence is the must significant variable,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life and residential planning for the elderly. Korean senior congregate housing models should be developed based upon elaborate research.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 types of housing, such as a more practical type and a high quality type, as well as to respond to different kinds of developmental objectives, such as marketability and public benef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