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s number

검색결과 704건 처리시간 0.029초

High prevalence of liver and intestinal fluke infections among residents of Savannakhet Province in Laos

  • Chai, Jong-Yil;Han, Eun-Taek;Guk, Sang-Mee;Shin, Eun-Hee;Sohn, Woon-Mok;Yong, Tai-Soon;Eom, Keeseon S.;Eee, Keon-Hoon;Jeong, Hoo-Gn;Ryang, Yong-Sang;Hoang, Eui-Hyug;Phommasack, Bounlay;Insisiengmay, Bounnaloth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213-218
    • /
    • 2007
  • The prevalence of liver and intestinal fluke infections was surveyed on residents of Savannakhet Province, Laos. Fecal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981 residents in 4 Mekong riverside villages and examined by the Kato-Katz thick smear techniqu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verall helminth egg positive rate was 84.2%, and the positive rate for small trematode eggs, including Opisthorchis viverrini, heterophyids, or lecithodendriids, was 67.1 %. To obtain adult flukes, 38 small trematode egg positive cases were treated with a 20-30 mg/kg single dose of praziquantel and purged. Diarrheic stools were then collected from 29 people and searched for helminth parasites using stereomicroscopes. Mixed infections with O. viverrini and 6 kinds of intestinal flukes were found, namely, Haplorchis taichui, Haplorchis pumilio, Haplorchis yokogawai, Prosthodendrium molenkampi, Phaneropsolus bonnei, and echinostomes. The total number of flukes collected was 7,693 specimens (av. no. per treated person; 265.3). The most common species was O. viverrini, followed by H. taichui, P. molenkampi, echinostomes, H. pumilio, P. bonnei, and H. yokogawai. The results indicate that foodborne liver and intestinal fluke infections are prevalent among residents of Savannakhet Province, Laos.

오이 뿌리혹선충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확립 (Development of Efficient 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t Cucumber Plants to Meloidogyne incognita)

  • 황성민;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9-125
    • /
    • 2014
  • 연작 재배로 인하여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과 같은 식물 기생 선충에 의한 피해는 오이 재배 면적이 늘어나면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생산량의 감소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으로 경종적 방제의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재배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저항성 육종 소재를 찾기 위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뿌리혹선충 M. incognita를 이용한 오이의 선충병 발생 정도를 접종원 농도, 오이 생육 시기 및 이식 시기 등의 다양한 발병 조건에 따라 오이 4개 품종('드레곤삼척', 아시아스트라이크', '네박자', '하늘백다다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접종원의 접종 농도가 증가 할수록 오이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지만, 오이의 생육 시기 및 이식 시기에 따른 오이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오이 품종의 뿌리혹선충병 저항성 검정 조건으로 온실($25{\pm}5^{\circ}C$)에서 파종 후 21일간 재배하고, 이식한지 7일 후에 5,000개의 뿌리혹선충 알 접종으로 45일 이후에 병 조사를 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적정한 발병 조건에 따라 시판 중인 오이 45개 품종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목 6개 품종에서 난낭수 100개 이하의 뿌리혹선충병 발생 정도를 보였고, 특히 '유니온' 대목 품종은 중간 저항성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실험한 모든 품종들은 유사한 정도의 높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이들 결과들을 바탕으로 M. incognita에 대한 오이 품종의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실(實驗室)에서 사육(飼育)한 한국산(韓國産)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초기생활사(初期生活史) (Early Life History of the Korean Bitterling, Rhodeus uyekii(Cyprin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김용억;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9-168
    • /
    • 1990
  • 경남(慶南) 김해군(金海郡) 매리(梅里)에 위치(位置)한 하천(河川)에서 1987년(年) 4월(月), 반두로 각시붕어 성어(成魚)를 채포(採捕)한 후(後) 실험실(實驗室)의 수조(水槽)에서 사육(飼育) 중(中) 인공수정(人工受精)에 의한 난발생(卵發生) 과정(過程)과 부화자어(孵化仔魚)를 사육(飼育)하여,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성숙란(成熟卵)은 난경(卵徑)이 $3.20{\sim}3.50{\times}1.50{\sim}1.80\;mm$로 난황(卵黃)을 담황색(淡黃色)으로 불투명(不透明)하고, 유구(油球)가 없는 분리침성란(分離沈性卵)이다. 2. 수온(水溫) $16.5{\sim}18.5^{\circ}C$에서 수정후(受精後) 48시간 30분만에 처음으로 부화(孵化)하기 시작(始作)한다. 3. 부화직후(孵化直後)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4.10∼4.50 mm로 난황(卵黃) 전단부(前端部)의 등쪽을 향하는 한쌍의 돌기(突起)가 형성(形成)되어 있고, 근절(筋節)은 29∼30개(個)이다. 4. 부화후(孵化後) 9일(日)째의 전장(全長) 8.40 mm의 자어(仔魚)는 미부(尾部)의 척색말단(脊索末端)이 위로 굽어지기 시작(始作)하고, 항문(肛門)이 열린다. 5. 부화후(孵化後) 18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8.90 mm에 달(達)하고, 막(膜)지느러미 중(中)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부분(部分)이 융기한다. 6. 부화후(孵化後) 28일(日)째 전장(全長) 9.35 mm의 개체(個體)는 흑색소포(黑色素胞)가 증가하고, 두부(頭部),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위에서 새로 출현(出現)한다. 7. 부화후(孵化後) 50∼60일(日) 째의 전장(全長) 14.50∼16.20 mm 자어(仔魚)는 D.III, 9∼10 ; A.III, 9∼10 ; C.16∼17, P.9 ; V.6로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定數)에 달(達)하며, 등지느러미 위의 흑색소포(黑色素胞)가 성어(成魚)와 닮아 있다.

  • PDF

강화군(江華郡)의 폐흡충중간숙주(肺吸虫中間宿主)에 관(関)한 역학적(疫學的) 추이(推移) (Epidemiological change on Paragonimiasis 2nd intermediate host in Kang Hwa Gun)

  • 이준상;김재락;김수진;임한종;송오달;김명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권1호
    • /
    • pp.71-80
    • /
    • 1979
  • Paragonimiasis is a common trematodiasis of medical importance and one of public health problems in many areas of sob thern part of Korea. During the last sixty years, several on the prevalence among the Korean population have been carried out by various investigators, although the general distribution and prevalences of paragonimiasis are now yet clearly determin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status of human paragonimiasis in Kang Hwa Gun, Kyung gi Province, Korea by the use of intradermal screening test whih Veronal buffered saline antigen. A total number of 208 residents (male 119, female 89) of all age group in Kilgeong-Ri, Yangdo Myun, Kang Hwa Gun were examined by the intradermal test with paragonimus antigen. The infestation rate of crayfish with Paragonimus metacerearia was also examine in Konneung and Jeoungha village, Kilgeong-Ri from March 1973 to October 1978 by the interval of two to five years. 1. In the resnlt of 208 residents, Kilgeong-Ri, the positive rate showed in 29.3% in as a whole(36.1% in male, 20.2% in female). The highest positive rate showed in 10 to 19 age group(41.5%). 2. Among the residents in Kilgeong-Ri, Paragonimus eggs were detected in 11 residents by the sputum and the stool examinations without the intradermal test result. 3. The infestation rate of crayfish with Paragonimus inetacercaria was 90.6%(116 out of 128 crayfishes) in Konneung village, and 61.5%(24 out of 39) crayfishes) in Jeongha village, Kilgeng-Ri. 4. The fluctation of the infestation tate and density of crayfish with Paragonimus metacercaria was decreased by the interval of two to five years in Konneung and Jeongha village in Kilgeong-Ri.

  • PDF

Anisopteromalus calandrae (Hymenoptera: Pteromalidae)의 대체기주 팥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에 대한 적응 (Adaptation of Anisopteromalus calandrae (Hymenoptera: Pteromalidae) to an alternative host, Callosobruchus chinensis (Coleoptera: Bruchidae))

  • 김정;천용식;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8-286
    • /
    • 1995
  • 쌀바구미에 적응된 기생봉 Anisopteromalus calandrae를 대체기주인 팥바구미에서 누대 사육하면서 기생천적의 대체기주에 대한 적응과 그의 과정을 조사하였다. A. calandrae기 대체기주에 적응, 안정된 생활사 특성을 보이기까지 2세대가 경과하였다. 성충수명은 단축되어 1세대에서 8.7일을 보였으나 2세대 이후에는 5.7~7.3일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총 산란수는 1세대에서 29.3$\pm$7.7에서 2세대 이후 43.9~68.2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내적 자연 증가율, 순증가율은 증가하였으며, 개체군 배가 기간은 짧아졌다. 팥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은 적응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탐색효율의 변이계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탐색행동이 안정됨을 암시하였다. A. calandrae는 팥바구미에 적응된 이후에도 쌀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이 감소되지는 않았다.

  • PDF

간자와응애(Tetranychus kanzawaia)의 생태 및 천적에 관한 연구 (Ecology of Tetranychus kanzawai and its Natural Enemies at Tea Tree Plantation)

  • 이승찬;김도익;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9-255
    • /
    • 1995
  • 차나무의 주요해중인 간자와응애에 대한 생활사, 발생소장 및 천적종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자와응애는 야외 사육장 조건에서 11~12세대를 경과하였으며, 난에서 우화까지의 기간은 여름에는 평균 8.7~13.1일, 봄.가을에는 12.6~24.9일 이었고, 평균 성충수명은 여름에 15.5~21.9일, 봄.가을에 25.1~31.6일, 평균산란수는 여름에 45.1개, 봄.가을에 526.개로 봄.가을에 성충수명이 길고, 산란수도 약간 많았다. 간자와응애의 연중 발생밀도 변동은 4~6월에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7~8월에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다 10월에 다시 높아졌다. 간자와응애는 3월에 하위엽, 4~6월에는 상위엽, 월동기에는 하위엽을 가해하였다. 간자와응애의 월동은 성충 비율이 높았으며, 각 태가 혼재하여 월동하였다. 간자와응애의 포식성응애로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longisplnosus (Evans)), 긴꼬리이리응애(Amblyseius eharai Amitei et Swirski), 왕게응애(Anystis baccarun (L)) 및 Agistemus fleschnen Summers 등 4종중 A. longispinosus (Evans)가 우점종이었다. 그 외에 Scolothrips sp.,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Poppius), 께알반날개(Oligota yasumatsui Kistner)등 3종이 분류 동정되어 총 7종의 천적이 조사되었다.

  • PDF

콩은무늬밤나방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Three Spotted Plusia (Chrysoideixis agnata S.) in the laboratory)

  • 황창연;엄기백;최궤문;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89
    • /
    • 1980
  • 1976년 본해충을 실내사육하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 마리당 산란수는 $1202.0{\pm}150.6$개 산란전기간 $9.0{\pm}0.8$일 산란기간 $13.3{\pm}1.2$일 산란후기간은 $1.7{\pm}0.2$일이었고 산란시기는 일몰후였다. 2. 유충은 5령형과 6령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5령형의 유충기간은 $15.36{\pm}1.59$일 용기간 $7.82{\pm}1.01$일 6령형의 유충기간은 $16.92{\pm}1.08$일 용기간 $8.23{\pm}1.09$일 이였으며 난기간은 2일 자성충 수명은 $21.29{\pm}3.15$일 웅성충은 $19.14{\pm}2.47$일이였다. 3. 령기별 두건은 5령형 $2.77\~21.89mm$ 5령형이 $2.78\~22.38mm$였다. 4. 두건을 logarithum으로 변형했을 때 령기에 따른 두건의 증가는 5령형이 $log \;y=0.228\chi+0.228(r=0.997)$, 6령형이 $log \;y=0.182\chi+0.259(r=0.999)$로 표현되어 고도의 정상관 관계였다.

  • PDF

토마토 온실에서 방충망 설치에 의한 담배가루이 피해 경감 (Establishment of 60 Mesh Nets to Reduce Crop Loss by Bemisia tabaci (Gennadius) (Homoptera: Aleyrodidae) in Tomato Greenhouse)

  • 정부근;이흥수;김영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3-27
    • /
    • 2013
  • 담배가루이가 매개하는 토마토황화잎말림병(TYLCV) 예방을 목적으로 해충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충망 설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담배가루이가 60메쉬망을 통과는 할 수 있지만, 83메쉬 이상의 방충망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었다. 담배가루이의 온실 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3연동 온실($21.0{\times}18.3m$)에 60메쉬 망실, $5.65(W){\times}2.05(H){\times}18.45(L)(m)$을 별도로 설치하였다. 60메쉬 망실 내에서 담배가루이 산란과 아메리카잎굴파리 가해흔적이 출입문 쪽에 국부적으로 몇몇 발견되었으나, 토마토황화잎말림병에 걸린 토마토는 없었다. 토마토의 초장, 엽장, 엽폭, 화방수, 당도 조사결과 망실유무에 따른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량에서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실용적인 관점에서 방충망의 설치는 유리온실이나 장기간 사용가능한 비닐온실 등의 측창과 천창 및 출입구에 설치할 경우 유망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국가환경시료은행 시료 채취, 분쇄, 저장과 개선방안 고찰 (Sampling and Cryogenic Pulverization and Storage of Environmental Samples and Improvement of Operating Procedures in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 이장호;이종천;김명진;한아름;이유진;바데 라빈드라;김민성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823-839
    • /
    • 2012
  •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ESBs) are playing pivotal role in monitor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 ecosystem based on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samples collected regularly and stored in cryogenic condition. In Korea,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NESB) was established in 2009 and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for sampling, and cryogenic milling and storage had been prepared during 2007-2010. Since then, the tentative SOPs for the seven kinds of specimens (shoot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leaves of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and Zelkova Tree (Zelkova serrata), eggs of Feral Pigeon (Columba livia var. domestica), muscles and organ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and Freshwater Bivalve (Unio (Nodularia) douglasiae)) have been put to test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s well against the practicality and feasibility. The SOPs were improved by reflecting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nd the following discussion regarding the selection of specimen (Feral Pigeon suffering from a control management), sample size (a problem of decreasing number of sampling trees related to increasing sampling time) and period (a problem related to a bud growth), and sampling methods etc.. In addition, barcod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specimen information, and monitoring system of the cryogenic storage to regulat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the liquid nitrogen level were also developed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control of the samples. Lastly, the safety guide and emergency protocol were augmented to guarantee a safe work environment with the cryogenic facility. These improvements of the SOP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NESB.

금강에 서식하는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Pisces, Bagridae)의 초기 생활사 (Early Life History of Black Bullhead, Pseudobagrus koreanus(Pisces, Bagridae), from Kum River, Korea)

  • 강언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4-190
    • /
    • 1998
  • 한국 고유종인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의 인공종묘 생산과 자원 증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초기 생활사를 조사하였다. 눈동자개의 수정난은 점액 물질이 두텁고 단막 표면위에 방사상의 주름무늬가 있어 특징을 보였다. 난은 구형으로 직경이 $2.59{\pm}0.08$(2.45~2.70, n=10)mm 이었으며 유구는 없다. 수용 $21{\sim}23^{\circ}C$에서 수정 후 첫 번째 난할은 수정 2시간 후에 시작되었으며 이어지는 난할은 약 30분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난할 중 특징으로는 난황 표면이 굴곡하는 운동으로 상실기에서 낭배기 끝까지 관찰되었다. 부화는 수정 후 72시간에 시작하여 90시간에 완료되었으며 부화 자어는 전장 5.41~5.81mm, 항문앞 거리 2.76~2.94mm이었고 근절수는 15~16+33~34(48~50)이었다. 부화 1주 후의 자어는 수염과 부레가 완성되었고 제2등지느러미를 제외한 모든 지느러미가 형성되었으며, 크기는 전장 9.67~10.52mm, 항문앞거리 5.20~5.65mm 이었다. 부화 2주 후의 자어는 모든 지느러미와 반문이 완성되었고 점액이 분비되며, 크기는 체장 14.59~16.02mm, 두장 3.31~4.16mm, 항문앞거리 8.07~9.31mm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