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plant pee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조리조건에 따른 가지(Solanum melongena L.)의 영양 및 항산화 특성 연구 (Nutritive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ggplant by Cooking Conditions)

  • 고현정;손천우;한정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47-1754
    • /
    • 2016
  • 가지를 세 단계의 경도 범위를 갖도록 조리방법(끓이기, 전자레인지 조리, 찌기) 및 시간을 설정하여 조리한 후 시료의 항산화 및 영양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직감에서는 조리조건에 따라 탄력성과 부착성은 증가하고 응집성과 씹힘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지 껍질의 색은 끓이기와 찌기 조리에 의해서는 색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전자레인지 조리에 의해서는 모든 값이 대조군보다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끓인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나, 전자레인지나 찌기에 의해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찌기에 의해 세 단계 모두에서 대조군인 생가지보다 증가하였으나, 끓이기나 전자레인지 조리에 의해서는 대조군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 가지의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클로로겐산 함량은 찌기 조리 이후 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전자레인지나 끓이기 조리 이후에는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또한, 끓이는 조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총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자레인지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자레인지 조리에 의해 내부구조의 붕괴가 두드러졌으며, 끓이기와 찌기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조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조직과 세포벽에서 칼슘의 용출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조리방법에 따라서는 끓이기< 전자레인지 조리< 찌기의 순으로 칼슘의 용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지를 열처리하여 연화시키는 경우, 같은 경도를 기준으로 할 때 끓이기나 전자레인지 조리하는 것보다 찌는 경우에 항산화 효과뿐 아니라 총폴리페놀 함량, 클로로겐산과 칼슘 함량 등 영양 및 항산화 특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영양 및 항산화 특성은 증가하였으나 연화 2단계를 위해 17분 이상 찌는 경우는 다소 감소하였다.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보호효과 (The Skin Protecting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f Eggplant Peels)

  • 조유나;정희록;정지희;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4-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2,465 mg/100 g)을 나타낸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활성과 FRAP assay결과 농도 의존적인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더불어 높은 세포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도를 측정한 결과 UV-A(320-400 nm)와 UV-B(290-320 nm)영역을 일정 수준 이상의 흡수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UV-B(290-320 nm)영역에서 높은 흡수도를 보여주었다. 최종적으로, 미백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mushroom tyrosinase 및 세포 내 멜라닌 함량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인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결국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chlorogenic acid를 포함하여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지의 품종별,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of Various Cultivars and Different Plant Parts of Eggplant)

  • 백경연;이상일;김정숙;이도영;오승희;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5-201
    • /
    • 2009
  •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wo varieties of egg plant (Chunyang No 2: Dangaji, Jinju Janggaji: Janggaji)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Dangaji peel hot water extract and the Janggaji flesh and fruit hot water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amples. Howev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Dangaji flesh-ethanol, peel-cold water, and fruit- ethanol extracts, as well as the Janggaji peel cold water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amples. Furthermore, the in vitro inhibitory effects of the Dangaji peel cold water and hot water extracts on rat hepatic xanthine oxidase were highest among the samples, and were exhibited in a dose dependant manners. Although there were marked changes in the xanthine oxidase Km values for xanthine as a substrate, the Vmax value changes by the addition of the Dangaji water extracts were minor compared with the control. This result suggests that Dangaji water extracts may regulate the activity of xanthine oxidase-via the inhibition of binding affinity between the enzyme and substrate. The present study provides experimental evidence that constituents of egg plant extracts may ameliorate reactive oxygen species(ROS)-induced oxidative stress via hepatic hepatic xanthine oxidase activity, but further studies to identify the active antioxidants and compounds and inhibitors of xanthine oxidase are requi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