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yolk cholesterol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초

난류(卵類)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 달걀, 기러기알, 청둥오리알 - (Analysis of lipid composition and fatty acids in poultry eggs -cage system, open barn system's hen egg, moscovy duck's egg mallard's egg-)

  • 홍이진;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45-651
    • /
    • 1999
  • 일반란, 천연란, 고센란, 청둥오리알, 기러기알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식부 100 g에 대한 지질 비율은 기러기알>고센란>청둥오리알>일반란>천연란 순으로 기러기알이 가장 높았고, 지질중 TG 비율은 일반란>고센란>천연란>청둥오리알>기러기알 순으로 일반란의 TG함량이 가장 높았다. Cholesterol함량은 난황 1 g당 일반란이 14.14mg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13.30 mg으로 가장 낮았고, total lipid에 대한 cholesterol함량은 일반란이 4.5%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기러기알이 3.3%로 가장 낮았다. 방사구란과 비방사구란을 중성지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중성지질은 방사구란에 비해 비방사구란이 더 높았고, 당지질과 인지질의 경우에는 반대로 비방사구란보다 방사구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란의 경우 중성지질 함량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이 더 낮았고, 두 종류 모두 달갈류보다 더 낮은 값이였다. 또한 당지질과 인지질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고, 두 종류 모두 달걀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분획한 중성지질과 당지질, 인지질 모두 TLC에 의한 정성반응을 통해 성분 확인을 하였다. 필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inoleic acid 함량은 기러기알에서, linolenic acid 함량은 고센란에서 가장 높았다. Arachidonicacid와 EPA함량는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갈류에서는 EPA값이 측정되지 않았다. DHA함량은 기러기알>천연란>일반란>고센란>청둥오리알 순으로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Aspergillus oryzae 접종 잔반사료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Aspergillus oryzae Inoculant Food-waste Diets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황보 종;홍의철;이병석;배해득;김원;노환국;김재황;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5-279
    • /
    • 2005
  • 본 시험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 건조 잔반을 AO 배양물로서 산란계에 급여하여,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평균 체중이 $1.5\pm0.5kg$인 50주령 산란계(ISA-Brown)를 공시하였고, 기초사료로 산란계 중기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시험사료는 대조구(Control), 잔반사료(FW)와 AO 배양물사료(AFW)를 각각 $25\%,\;50\%,\;75\%$씩 기초사료를 대체하여 총 7처리구, 3반복, 반복당 8수씩 168수를 공시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료섭취량에서 전처리구간 차이는 없었으나, FW구의 $50\%$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했고, 산란률에 있어서는 대조구 $89.8\%$에 비해 AFW $25\%$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음수량은 잔반 사료의 대체 수준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난중,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전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호우유니트와 난황색에서는 남은 음식물 사료의 첨가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50\%$ 이상의 첨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남은 음식물사료의 첨가에 따른 난황내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전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잔반 사료는 산란율을 떨어뜨리지만, 난질 개선에 효과가 있고, 산란계 사료의 첨가제로서 AO 접종 잔반 사료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and non-fermented brown algae by-produc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profile in laying hens

  • Choi, Yongjun;Lee, Eun Chae;Na, Youngjun;Lee, Sang Ra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0호
    • /
    • pp.1654-1659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and non-fermented brown algae by-products on the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relative organ weight, and blood profile of laying hens. Methods: Hy-Line Brown chickens (n = 180; 70-week-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with 4 replicates per group (3 hens per cage, 4 cages per replicate), and fed with 5 experimental diets, namely the basal control diet (CON) or the control diet supplemented with 0.5% brown seaweed (BS), 0.5% seaweed fusiforme (SF), 0.5% fermented brown seaweed (FBS), or 0.5% fermented seaweed fusiforme (FSF), for 4 weeks. Results: Egg production rate and egg mass were greater in the BS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and the SF and FSF groups had greater egg production than the control group (p<0.05). Egg weight was higher in the BS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ggshell color, egg yolk color, eggshell strength, or eggshell thickness among th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Haugh units among the treatment groups, except for the FSF group, which had a significantly lower value (p<0.05). The non-fermented groups had greater relative organ weights, particularly the liver and cecum, than the other groups (p<0.05). Regarding blood profile, the supplemented-diet groups had higher albumin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The FBS group had highe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p<0.05). The BS and FBS groups had higher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p<0.0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ietary brown algae supplementation can improve egg-laying performance; however,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seaweeds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egg-laying performance of hens.

생균제 및 Colistin® 복합 첨가제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Mixture of Probiotics and Colistin®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윤지연;김재영;김지숙;이보근;안병기;황용배;강성기;김동건;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3-162
    • /
    • 2008
  • 본 연구는 산란계에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lis와 Aspergillus oryzae 및 colistin의 복합 첨가제를 급여하였을 때 난 생산성과 난질 및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과 장내 미생물 조성, 계분 암모니아 발생량 및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조사하였다. 50주령의 Hy-Line Brown 산란계 160수를 공시하여 일반 사료(Control) 또는 0.2% 복합균종 생균제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T1, Bacillus subtilis + Aspergillus oryzae + Lactobacillus plantarum; T2, Bacillus subtilis + Aspergillus oryzae; T3, Bacillus subtilis + Aspergillus oryzae + colistin)를 8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 난 생산성 및 간의 중량 그리고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색은 처리구 간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Haugh unit는 처리구가 Contro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HDL 콜레스테롤은 Control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맹장 내 암모니아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Control에 비해 T1 처리구와 T3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총 균수와 lactic acid bacteria는 맹장 및 분내 모두 Control과 처리구간 큰 차이가 없었고, 맹장 및 분내의 coli forms은 Control에 비해 복합 생균제 처리구가 유의하게 낮거나(P<0.05) 낮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4 주차와 8주차의 난황 콜레스테롤 농도는 복합 생균제 처리구가 Control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난황 중성지질과 인지질의 농도는 Control과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을 통해서 생균제인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lis, Aspergillus oryzae 그리고 항생제인 colistin으로 이루어진 복합제의 급여는 생산성과 혈액 성상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이 난황 콜레스테롤과 분내 암모니아 농도를 감소시키고, 장내 coli forms를 저하시키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Colistin이라는 항생제는 생균제의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 없이 생균제로만 이루어진 첨가제와 같은 효과를 내었으며, 장내 미생물 균총 조절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합 생균제를 급여함으로 장내 균총과 산란계 사양에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colistin의 병용도 생균제의 이점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토종닭 계란의 성분조성에 미치는 감귤부산물 급여의 영향 (Effects of Feeding Citrus Byproducts on Nutritional Properties of Korean Native Chicken Eggs)

  • 양승주;정인철;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41-846
    • /
    • 2008
  • 본 연구는 감귤부산물을 급여한 토종닭 계란의 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토종닭 계란은 감귤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것(T0구), 그리고 감귤부산 물을 4% 급여한 것(T1구)으로 나누어 각각 54수씩 3반복 사육하고 $29{\sim}30$주령에 산란한 것을 시료로 하였다. 난백과 난황의 일반성분, 구성 아미노산 총량,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모두 T0구 및 T1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황의 무기질, 비타민 및 xanthophyll 함량은 모두 T0구 및 T1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감귤부산물급여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T0구의 1,207 mg/100 g보다 T1구의 1,168 mg/100 g이 유의적으로 낮으며 난백의 유리아미노산 중 L-glutamic acid 함량은 T0구의 39.22 ppm에 비하여 T1구의 58.54 ppm가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므로 감귤부산물은 양계사료에 첨가하여 토종닭에 급여할 수 있으며 이는 효율적인 감귤부산물 처리 방안이 될 수 있겠다.

계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양송이 사료의 식이효과 (Dietary Effect of Agaricus bisporus Feeds on Characteristics of Eggs)

  • 신경옥;김대곤;이상일;오승희;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95-1201
    • /
    • 2009
  • 양송이분말을 혼합한 사료로 사육한 산란계(Hy-Line brown) 계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Control), 양송이분말 0.3% 혼합식이군(M-0.3) 및 양송이 분말 0.6% 혼합식이군(M-0.6)으로 구분하여 군당 100마리씩으로 12주간 사육하였다. 그 결과 난각의 두께는 유의차가없었다. 난중과 농후난백의 높이로 산출한 Haugh unit는 양송이분말 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18.3$\sim$27.6%가 높았다. M-0.3 및 M-0.6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난백과 난황의 $L^*$값과 $b^*$값은 낮은 반면 $a^*$값은 높았으며 난황의 총인지질 함량은 4.5$\sim$13.9%가 높았다. 또한 실험식이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난황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29.4$\sim$31.9%가, 중성지질 함량은 51.9$\sim$52.4%가, LDL-cholesterol 함량은 49.1$\sim$53.5%가 각각 낮았으나 HDL-cholesterol 함량은 86.1$\sim$87.0%가 높았다. 각 실험군 간의 지방산조성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양송이분말 급여군의 계란은 비린내가 적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양송이분말은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반면 인지질의 함량을 높임과 동시에 계란의 비린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기능성 사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Diethylnitrosamine에 의한 계배 간 조직 손상 및 지질 성분의 변화 (Diethylnitrosamine Induced Tissue Damage and Change of Lipid Components in the Chick Embryo Liver)

  • 박정현;강성조;강진순;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0-66
    • /
    • 1999
  • Diethylnitrosamine (DEN) is known as a potential hepatic carcinogen by single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effects of DEN-induced cell damage on the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liver, excluding dietary effects. Fertilized chicken eggs, 10 days before hatching,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n=20) and each egg was injected 10 ${mu}ell$ of corn oil (vehicle control), 5 $\mu\textrm{g}$ of DEN/10 ${mu}ell$ of DEN/10 ${mu}ell$ into yolk via air sac. After 48 hr and 96 hr incubation, the damage of the chick-embryo liver cell was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y an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lipid components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For eggs administered 10 $\mu\textrm{g}$ of DEN and incuvated 96 hr, in hepatocyte, the nucleus membrane was roughed, the size of nucleolus was apparently increased and euchromatin was accumulated. Mitochondria were condensed and cristae, located mitochondiral inner membrane, were obscured. Additionally, the leave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lass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epend on the amount treated with 10 $\mu\textrm{g}$ DEN at 96 hr, but phospholipids component of cell membrane, were decreased with significance. As a conclusion, carcinogen induced hepatic lesion was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lipid component of liver.

  • PDF

청둥오리 난황유에서 분리한 인지질이 쥐 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hospholipid separated from Duck Egg Oil on the Rat Brain)

  • 정인택;문윤희;류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2-69
    • /
    • 2006
  • 인지질의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체중이 $180{\sim}220g$ 되는 Sprague-Dawley계 암컷 랫드를 사용하여 대조군(식이 제한군)과 청둥오리 인지질의 투여군으로 실험하였다. 대조군은 전 실험기간 동안 먹이를 주었고 청둥오리 인지질 첨가군은 임신 중에 임의로 주고 수유 3주 동안 제한사료를 주었다. 생후 3주에 새끼 쥐들을 어미 쥐로부터 분리시켰으며, 이후 4주 동안 임의로 사료를 먹도록 하였다. 각 군에서 0, 1, 2, 3, 5 및 7주에 새끼 쥐의 체중을 측정하고 희생하여 뇌 무게, 뇌의 protein, phospholipid, cholesterol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은 생후 1, 2, 3주에 대조군 및 인지질 첨가군 간에 체중이 증가하여 매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생후 5주까지 그 차이가 나타났으나, 후기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뇌 무게는 생후 2, 3, 7주에 증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뇌의 protein 함량은 생후 2주부터 대조군과 인지질 첨가군 사이에 증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차이는 식이회복 기간 중에도 나타냈다. 뇌의 phospholipid, cholesterol 함량은 생후 2, 3주에 두 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식이 회복 후기인 생후 7주에는 phospholipid(PL) 만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한 수동 회피 검사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Duck-PL 및 Pig-PL 첨가군의 수동 회피율이 우수하였다.

Comparative Study on the Nutritional Value of Pidan and Salted Duck Egg

  • Ganesan, P.;Kaewmanee, T.;Benjakul, S.;Baharin, B.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
    • /
    • 2014
  • Pidan and salted duck eggs are of nutritional rich alternative duck egg products which are predominantly consumed in China, Thailand, South Korea and other Chinese migrated countries. Both eggs are rich in proteins, lipid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minerals. A Pidan whole egg contains 13.1% of protein, 10.7% of fat, 2.25% of carbohydrate and 2.3% of ash, whereas the salted duck egg contains 14% of protein, 16.6% of fat, 4.1% of carbohydrate and 7.5% of ash. The fresh duck egg contains a range of 9.30-11.80% of protein, 11.40-13.52% of fat, 1.50-1.74% of sugar and 1.10-1.17% of ash. Proteins, lipids, and ash contents are found to be greatly enhanced during the pickling and salting process of pidan and salted duck eggs. However, the alkaline induced aggregation of pidan leads to degradation and subsequent generation of free peptides and amino acids. Very few amino acids are found to be lost during the pickling and storage. However, no such losses of amino acids are reported in salted duck eggs during the salting process of 14 d. Phospholipids and cholesterol contents are lower in pidan oil and salted duck egg yolk oil. Thus, the pidan and salted duck eggs are nutritionally rich alternatives of duck egg products which will benefit the human health during consumption.

된장분말을 첨가한 두유마요네즈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Milk Mayonnaise Containing Soybean Paste Powder)

  • 박혜덕;이상선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03-210
    • /
    • 2009
  • 본 연구는 마요네즈 제조 시 유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난황이 콜레스테롤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였고, 된장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마요네즈의 저장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유화제 종류와 된장분말 첨가가 마요네즈의 품질특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페놀함량은 E1이 97.92 mg%, E2는 131.15 mg%, E3는 172.81 mg%로 증가되었고, S1은 56.87 mg%, S2는 111.39 mg%, S3는 152.75 mg%로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2) 전자공여능은 E1이 20.49%에서 E2는 34.32%, E3는 50.95%로 증가되었고, S1은 9.59%, S2는 16.02%, S3는 38.77%로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p<0.001). 총 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된장분말을 6% 함유한 E3, S3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색도 측정 결과 L값(명도)은 E군이 S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a값(적색도)는 S군이 높았고, b값(황색도)는 E군이 높게 나타났다. 된장분말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01). 4) 콜레스테롤 함량은 E군이 152.87-156.62 mg/100 g, S군은 2.87-8.29 mg/100 g으로 나타나 두유로 만든 마요네즈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매우 낮았다(p<0.001). 5) 관능검사 결과는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의 점수는 낮았고 신맛, 짠맛, 발림성은 증가하였다. E군은 S군보다 기름 냄새와 느끼한 맛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전반적인 결과로 볼 때 향, 전체적인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된장분말 3%를 함유한 두유마요네즈 S2가 가장 적당한 마요네즈라고 사료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고 된장을 3% 첨가한 마요네즈에서 관능검사 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콜레스테롤은 150 mg/100 g에서 10 mg/100 g로 낮출 수 있었다. 비록 두유보다 난황을 사용한 마요네즈가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지만 저장성 실험을 한 결과 두유마요네즈가 더 높은 저장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마요네즈가 개발된다면 계란의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함유량을 낮출 수 있으며 계란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된장 분말이 항산화작용을 하는 점을 이용하여 식품의 보존제로 첨가하여 식용유지의 산화를 방지하고 우리의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을 서양요리에 접목 시킬 수 있어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을 세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