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membran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6초

Meloidogyne incognita 알을 제어하는 Paecilomyces lilacinus의 현미경적 관찰 (Microscopic observation of Paecilomyces lilacinus that have control over Meloidogyne incognita eggs)

  • 이광배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3호
    • /
    • pp.27-33
    • /
    • 2007
  • M. incognita are plant-parasite nematode that cause severe damage to the crops. P. lilacinus are renowned for inhibitation of development of M. incognita's egg. We make a study for enzymatic examining the cause closely that P. lilacinus suppress development of M. incognita's egg by parasiting. The research result is explained the place below. 1. The egg that is exposed to co-enzymes which are cultured in the broth culture starts to change the membrane of egg from 3days. And in 10days, that membrane completely disappear. These are observed through light microscope. Therefore, we know that M. incongnita are controlled by extracellular lytic enzymes that are produced by P. lilacinus. 2.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 can find that the egg that is attacked by P. lilacinus loses it's membrane gradually, and that loss of the membrane causes transform, which suppresses the development of egg.

한국 재래닭의 난각 및 난각막의 두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ickness of Eggshell and Eggshell Membrane of Korean Native Chicken)

  • 하정기;박준규;이정규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7
    • /
    • 199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0 days( from July 21 to August 10, 1996)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ickness of eggshell and eggshell membrane in Korean native chicken. All the eggs were purchased from a farm located in Chinju area. All eggs were categorized into Treatment I (34.89~51.39 g), H (53.32~60.70 g), and III (34.89~60.70 g) according to their weights. Eleven items were measured in all three treatments, i.e., egg weight, egg length, egg width, breaking strength, eggshell thickness of large end(STLE), eggshell membrane thickness of large end(SMTL), eggshell thickness of small end (STSE), eggshell membrane thickness of small end(SMTS), eggshell thickness of middle part(STMP), and eggshell membrane thickness of middle part(SMTM).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gg weight and eggshell weight, among eggshell thickness of large end, small end and middle end and eggshell weight were significant (P<0.01).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gg weight and large eggshell membrane were nega-tively significant(P<0.01). Breaking strengths were higher in Treatment I than in Treatment H.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ickness of eggshell and eggshell membrane at each point at 3 parts of large end, small end and middle end were not significant.

  • PDF

메추리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ickness of Egg Shell Membrane and Egg Shell in Quail Eggs)

  • 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7-53
    • /
    • 1980
  • 본 시험은 메추리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해서, 공시난 520개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메추리 란의 외모색에 따라 구분한 사종의 난각은 그 색에 따라서 대반점백색난각. 대반점난각, 소반점보라난각, 소반점베이지난각으로 구분되고, 그 평균 란중은 8.993g, 8.866g, 8.403g, 8,109g이었다. 2) 사종 난각의 평균 두께는 대기점백색락각이 0.171mm, 대반점각이 0.169mm. 소반점베이지난각이 0.160mm, 소반점보라난각이 0.156mm였다. 3) 사종의 난각막의 평균 두께는 대반점 난각이 0.0449mm. 대연점백색난각이 0.0431mm, 소반점베이지난각이 0.398mm 소반점보라난각이 0.0397mm였다. 4)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간에서 빈의 상관계수가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5) 일반적으로 난각의 두께가 닭에 비하여 매우 엷었다. 그러나 난각막의 두께는 대동소이했다.

  • PDF

난각막 분해물의 식품 소재로서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 as a Food Material)

  • 전태욱;박기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7-273
    • /
    • 2002
  • 본 연구는 난각막(egg shell membrane)에 keratinase를 생성하는 Bacillus licheniformis를 배양하여 제조한 효소분해 난각막분해물(enzyme-degradation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 EESMH)과 IN NaOH-Ethanol로 분해한 알칼리분해 난각막분해물(alkalic-degradation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 AESMH)을 제조하여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성분분석 및 분해물의 유화성, 거품형성력, 항산화력 등의 식품학적 기능을 확인하였다. 즉, EESMH의 생산수율은 약 15% 였고 AESMH의 경우 약 70%의 수율로 가수분해물이 생성됐으며 아미노산 분석 결과 EESMH와 AESMH의 아미노산 구성은 주성분이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ine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EESMH의 경우 histidine이 18.69%로 AESMH의 2.56%에 비해 6배 정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단백질의 기능적 특성 측면에서 용해성은 EESMH와 AESMH 모두95%이상의 높은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유화 활성의 경우 EDESDBB가 더 효과가 있었으며, 유화 안정성도 EESMH가 AESMH보다 약 8% 안정하였다. 거품 형성력은 AESMH가 EESMH보다 모든 pH범위에서 약 2배 정도 높았으며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항산화력의 경우AESMH가 항산화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고 EESMH의 경우 전체적으로 매우 약하게 나타났다.

난각 칼슘염의 종류와 난막의 존재유무가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s of Egg Shell Calcium Salts and Egg Shell Membrane on Calcium Metabolism in Rats)

  • 노경희;이상현;;;김재철;김묘정;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53-859
    • /
    • 2006
  • 본 연구는 난각 칼슘염의 종류와 난막의 존재유무가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난각에서 탄산칼슘을 용해시켜 난각 칼슘유무에 따른 칼슘급원으로서의 생기적 유용성을 확인하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칼슘보충제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식이는 난각분을 유기산에 용해시켜 제조한 난각 칼슘염(초산염, 글루쿠론산염)과 난각분을 각각 난막 분리와 난막 미분리로 나누어 급여하였다. 1군은 난막 미분리 난각분{ES(M+)}을, 2군에게는 난막 분리 난각분{ES(M+)}을, 3군에게는 난막 미분리 초산염{AC(M+)}을, 4군에게는 난막 분리 초산염{AC(M-)}을, 5군에게는 난막 미분리 글루쿠론산염{GC(M+)}을, 6군에게는 난막 분리 글루쿠론산염{GC(M-)}을 칼슘농도 0.2%로 조정하여 4주간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칼슘염 중 초산염이 글루쿠론산염보다 대퇴골의 무게를 향상시켰으며 난막존재시 대퇴골 무게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난각 칼슘염의 종류와 난막유무에 따른 interaction은 없었다. 대퇴골의 체중 100 g당 Ca함량은 난막 미분리군에서는 난각 칼슘염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체중 100 g당 대퇴골의 Ca함량은 난막 미분리군에서는 글루쿠론산염군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난막 분리군에서는 초산염군으로 나타났다. 난막 분리군에서는 난각 칼슘염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칼슘염이 난각 분말 형태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Ca 흡수율과 보유량은 난막 미분리군에서는 GC(M+)>AC(M+)>ES(M+)의 순서였으며 난막 분리군에서는 AC(M-)ES(M-)의 순으로 난막분말 형태보다는 난각 칼슘염의 형태에서 높은 수준을 보여 난각 칼슘염의 형태가 Ca 흡수율과 보유량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LP의 활성은 난막유무에 관계없이 각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느나 글루쿠론산염의 형태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초산염의 형태가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난각분으로 공급하기보다는 난각 칼슘염 형태로 공급하는 것이 칼슘대사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난각의 $CaCO_3$를 이온화하여 칼슘급원으로 공급하거나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여 기능성을 부가한 건강증진 제품으로 개발하는 것은 한국인의 칼슘섭취수준을 향상시키고 칼슘부족으로 인한 질병예방 및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폐자원으로부터 고부가가치제품을 개발함으로써 농가 소득 및 국가경제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골계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ickness of Egg Shell and Egg Shell Membrane in Silky Fowl)

  • 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1983
  • 본 시험은 오골계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변화를 구명하기 위해서 공시란 120개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시험의 조사항목은 12개로서 그 평균 성적은 다음과 같았다. 오골계의 란중은 36.58$\pm$0.446g, 난각중량은4.53$\pm$0.079g. 첨단부의 난각 두께는 0.32$\pm$0.006mm, 중단부의 난각두께는 0.32$\pm$0.047mm, 순단부의 난각두께는 0.30$\pm$0.056mm, 첨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0$\pm$0.001mm, 중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0$\pm$0.001mm, 둔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3$\pm$0.001mm, Breaking strength는 3.06kg$\pm$0.010, 란의 세로길이는 4.80$\pm$0.024cm, 란의 가로길이는 3.82$\pm$0.010그리고 세로/가로는 1.26$\pm$0.005이었다. 2) 12개 조사항목간에서 상관계수를 구하고, 그 유의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난각막의 항목만 제외한 타 항목은 모두 고도의 유의성을 가졌으나. 특이하게 난각막은 타 항목과 유의성이 없었고, 그 계수는 부상관의 수치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PDF

미니돼지 정액 동결 시 Methyl-Beta-Cyclodextrin (MBCD)이 냉각 충격과 막 콜레스테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Beta-Cyclodextrin (MBCD) on Cold Shock and Membrane Cholesterol Quantity during the Freezing Process of Miniature Pig Spermatozoa)

  • 이성영;이용승;정희태;양부근;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65-271
    • /
    • 201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effect of methyl-beta-cyclodextrin (MBCD) on cold shock and membrane cholesterol quantity of sperm during the freezing process in miniature pigs. For this study, semen ejaculated from PWG M-type miniature pig was diluted that freezing solution (with egg yolk group) and m-Modena B (without egg yolk group) treated with 0, 1, 5, 10 and 20 mM MBCD before freezing process. The diluted semen was monitored sperm ability at room temperature, after cooled until $5^{\circ}C$ and after forzen-thawed for cold shock test of spermatozoa. Also, membrane cholesterol of sperm was extracted by folch solution at the same time sperm ability was assessed for viability and acrosomal status. The membrane cholesterol quantity was measur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method. The result,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in semen diluted without egg yolk groups were decreased at all temperature range by increasing of MBCD concentration. In particular, sperm of egg yolk group was showed that significantly higher viability and lower acrosome damage when treated with 5 mM MBCD (p<0.05). The results of TLC experiment, cholesterol amounts were increased with MBCD cocentration in egg yolk, and decreased with MBCD concentration in m-Modena B. In cryopreservation efficien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viability, and acrosomal state of sperm in 5 mM MBC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acrosome damage than other groups (p<0.05). Therefore, the addition MBCD in egg yolk was protected spermatozoa from cold shock injury. This protective effect of MBCD may be due to addition of sperm membrane cholesterol.

Effect of Hen Weight on Egg Production and Some Egg Quality Characteristics in Pheasants (Phasianus colchicus)

  • Kirici, Kemal;Cetin, Orhan;Gunlu, Aytekin;Garip, Mustaf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5호
    • /
    • pp.684-687
    • /
    • 2004
  •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ive weight of pheasants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characteristics. A total of 48 ring-necked pheasants were divided into control, heavy, middle and light BW groups. Live weights of the control were 1,187 g, 1,352.92 g for heavy group, 1,247.92 g for middle group and 1,003.33 g for light group. Egg production of groups were found as 47.32, 42.82, 45.79 and 46.51% respectively, in 10 weeks of perio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n egg production among the groups. The effect of live weight on egg weight, shape index, specific gravity, shell weight, shell thickness, Haugh Unit, yolk weight and albumen weight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effect of live weight on albumen index, membrane weight and membrane thickness were found not important (p>0.05). On the other hand, other important factors to be effective on the egg quality of pheasants should b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live weight of pheasant hens is not an important factor to obtain high egg production in pheasants. But, body conformation of breeding materials should be in good conditions.

우리 나라 농장 사육 타조 알의 난질 조사 (Investigation on the Egg Quality of the Ostrich Farming in Korea)

  • 송광택;오홍록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1호
    • /
    • pp.44-54
    • /
    • 2002
  • 이 실험은 우리나라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타조(African ostrich) 신선란의 내 외부적인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타조의 난형은 장경 15.1~16.1cm, 단경 12.1~13.6cm로, 난형지수는 평균 81.0의 값을 나타내었고, 난각색은 계란보다 광택이 좋은 백색을 나타내었다. 계산식에 의한 난각강도와 난표면적 은 각각 $41.155kg/cm^3$$804.7cm^2$이었다. 타조 난의 난각두께는 난각막을 포함하여 1.89mm로, 각 부위별 난각두께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난각막 두께는 0.10mm로, 적도부가 두껍고 둔단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각 기공수는 19.77개/$cm^2$으로, 첨단부의 기공수가 대체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 알의 총기공수는 약 15241개 정도로 측정되었다. 타조 알의 각 부위의 난중에 대한 비율은 난황 25.1%, 난백 58.2% 그리고 난각은 16.7%이었고, 난백에 대한 난황의 비율(Y/W)은 0.43을 나타내었다. 타조의 알에 대한 난백과 난황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난액에 있어 직경과 높이는 각각 19.7cm 와 13.2mm로 난백지수는 0.07 이며, H.U는 -69.7, pH는 8.3이었으며, 난황에 있어서는 직경이 14.4 cm, 높이 29.4 mm로 난황지수는 0.20으로 나타났고, pH는 6.6 이었다. 또한 난황색은 두터운 난황막으로 인하여 계란보다는 엽은 황색을 보였다.

  • PDF

A Study of Fouling in Egg-white Concentration by Ultrafiltration with Tubular Module

  • Chio, Nam-Seok;Kim, In--Chul;Tae- Hyun Bae;Kim, Jong--Ho;Tae- Moon Tak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3권1호
    • /
    • pp.17-23
    • /
    • 2001
  • Polyethersulfone (PES) and cellulose acetate (CA) ultrafiltration (UF) membranes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s were prepared by immersion precipitation method by changing the compositions of easting solution. Egg white solution was concentrated to volume concentration ratio 4 in tubular UF with membranes made of moderately hydrophobic PES and hydrophilic CA. The process Parameters such as pressure and fluid velocity were controlled in order to apply successfully for egg white solution and to investigate the pressure dependency. The resistance values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fouling and concentration polarization effect on membrane performance. During concen- tration of egg white solution by UF, the fouling layer appeared to contribute little resistance to flux compared to that of polarized lay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