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dutainment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sign of Augmented Reality System based on Multi-Block Layer Illumination Environment for Edutainment (에듀테인먼트를 위한 다중 블록 레이어 조명환경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설계)

  • Kim, Donghyun;Yang, Shuo;Arimbuyutan, Reya;Lim, Jae-hyun;Kim, Seo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7-428
    • /
    • 2015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교육 패러다임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스마트 러닝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에듀테인먼트 시스템들은 암묵적 지식습득률 향상을 위하여 증강현실 기술을 도입한 다양한 시스템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스템들은 실환경의 조명과 가상환경의 조명환경의 부조화로 인하여 영상 합성시 실감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증강 객체, 웹캠을 통해 입력된 영상, 가상의 배경 영역으로 구성된 단일 레이어를 3차원 조명환경 정보를 포함한 블록 레이어로 변환하고 변환된 블록 레이어를 합성하는 에듀테인먼트를 위한 증강현실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Edutainment content production utilizing the leap motion device (립모션 장치를 활용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제작)

  • Bak, Seon Hui;Lee, Jeong Bae;Sin, Hy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5-346
    • /
    • 2015
  • IT서비스 기술이 융 복합 형태의 모습으로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콘텐츠를 사용함에 있어 새로운 방식의 인터페이스들이 나타났다. 본 논문은 기존의 단순한 인터페이스인 키보드와 마우스를 벗어나 사람의 모션을 인식하여 게임, 교육, 음악 등 다양한 분야를 컨트롤할 수 있는 립모션을 활용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콘텐츠 방식은 학습을 단계별로 진행하고 글자 맞추기, 글씨쓰기 등 게임을 하여 정답을 맞추면 점수를 획득하는 방식이다. 제작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는 단순한 교육이론 학습이 아닌 학습자가 직접 체감할 수 있어 더욱 학습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of an Edutainment Content for Comprehend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tructure (전통건축 목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게임형식의 교육용 콘텐츠 제작)

  • Ahn, E.Y.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4-315
    • /
    • 2012
  • 최근에 전통건축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옥마을 조성 등으로 인한 관련 산업의 수요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문가 육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설계전문가라 하더라도 전통건축을 처음 접하는 경우에는 부재간의 연결 관계를 명확하게 인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의 발달된 인터넷 환경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 개발에 관한 것이다. 부재의 결합규칙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통건축의 목구조 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한다. 디지털화된 전통건축 정보를 활용하여 부재간의 연결과 이음방식을 점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플랫폼에 자유로운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한다.

  • PDF

Development of Mobil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Edutainment (에듀테인먼트를 이용한 모바일 학습 컨텐츠 개발)

  • Park, Mi-Jung;Ahn, Chi-Hyun;Woo, Jo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73-1377
    • /
    • 2007
  • 국내에서 통신 산업과 게임 산업은 다른 기술 산업 분야에 비해 급격하게 성장 하였으며, 현재 국내산업 분야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통신과 게임 산업의 성장은 교육 분야에 새로운 학습 컨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그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개발이 이루어 졌으나 통신비용이 높고 학습자의 흥미유발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켓 통신을 사용하여 요금을 절감하고, 학습자가 흥미롭게 학습 할 수 있도록 에듀테인먼트 요소를 적용한 휴대폰 기기용 학습 컨텐츠를 제안한다.

  • PDF

An Quality Evaluation and Analysis of on Line Edutainment Software (온라인 에듀테인먼트 품질 평가 및 분석)

  • Lho, Young-Uhg;Park, Sang-Won;Jung, Deo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537-542
    • /
    • 2007
  • 에듀테인먼트는 여러 가지 소재와 다양한 기술이 결합된 종합적인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에듀테인먼트에서 사용하는 시각적인 매체와 청각적인 매체에 대한 선호는 주관적인 성향이 강하므로 소프트웨어 품질을 평가하듯이 어떤 기준에 따라 평가하기 어려운 요인이 있으므로 에듀테인먼트용 품질평가는 지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에듀테인먼트를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중학생들에게 인기가 높은 온라인 에듀테인먼트를 대상으로 개발된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Requirements and Core elements Function Game (기능성 게임이 가져야 할 필수 요소에 관한 연구)

  • Bae, Jae-Hw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1 no.5
    • /
    • pp.28-36
    • /
    • 2006
  • Recently, not only Korea online game industries have developed, but also looming larges are the side effects of the games. So, It takes lots of effort to make a variety of game contents in order to prevent negative criteria(assessment) of some games. Therefore, this subject checks a normal function game and further suggests ideas about core elements of the function games.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e-Based Humanity Education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게임형 인성교육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 Kang, Jong-Bum;Jun, Woo-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09-312
    • /
    • 2002
  • 인성교육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필요한 과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인성교육은 학생들에게 큰 흥미를 주지 못하고 경직된 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핵심을 기본생활습관형성으로 간주하여 힘든 숨관화의 과정을 Edutainment 개념을 활용하여 좀더 즐겁고 재미있는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에듀테인먼트의 개념을 알아보고, 인성교육의 활용실태와 접근방법을 동해 시사점을 고찰한 후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기본생활습관과 관련된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형 인성교육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Design of a Motivation Model Using Edutainment Strategy on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에듀테인먼트 전략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의 동기 모형 설계)

  • Kim, Chang-Gyu;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17-324
    • /
    • 2007
  • IT강국의 선진한국으로 도약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현재 웹을 이용한 학습을 넘어 휴대인터넷 (WiBro)과 UMPC (Ultra Mobile PC)를 비롯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학습도 활발해지고 있다. 더불어 요즘 세대의 학생들은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 보다는 상호작용하며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게임적 요소에 큰 관심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Keller의 동기 유발 이론에 기초한 게임 전략을 접목시킨 새로운 동기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동기 모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에 맞는 장르 및 형태를 기획분석 단계에서부터 결정하여 개발 효율성을 추구하였다. 둘째, 에듀테인먼트 요소를 콘덴츠 제작 절차에 삽입함으로써 학습활동에 대한 능동적 반응과 흥미를 얻도록 하였다. 셋째, 체계적인 모바일 교육용 게임 설계를 위해 게임 시놉시스, 시나리오 작성 단계를 삽입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모바일 동기전략과의 통합을 추구하였다. 넷째, 개발된 콘텐츠를 수업안에 바로 적용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Contents with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적용한 영어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oung-Mi;Kim, Ji-Hye;Jeon, Jeong Yeon;Song, Eun-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549-550
    • /
    • 2014
  • 21세기 현대사회는 다양한 가상현실 미디어에 둘러싸여있다. 영화, 드라마, 광고 등 대부분의 영상에 거의 필수적으로 컴퓨터 그래픽 작업이 들어가며, 가상현실의 대표적인 콘텐츠인 게임의 경우 100억 달러 규모의 거대 시장이 형성되어있다. 단순히 오락적 요소로만 여겨지던 이 가상현실이, 최근에는 교육과 연계되어 연구되기 시작했다. 한국인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특히 영어교육에는 한 해 평균 19조원을 투자할 정도로 영어 교육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여전히 영어를 어려워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의 몰입감과 체험이라는 특징을 영어교육과 접목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Eon Studio툴을 이용하여 개발한 영어교육게임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Edutainment Contents to Prevent Dementia (치매 예방을 위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개발)

  • Song, Mi-Young;Baek, Jumin;Se, Jia;Kim, Joo Hye;Choi, Jiwon;Hwang, Sube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7-3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현장형 교육으로 이루어졌던 치매 예방 교육을 보다 접근하기 쉽도록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한다. 기존의 보드 게임이나 카드게임 형식으로 되어 있는 치매 브레인트레이닝 게임을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구현하고, 보호자의 조호 지침을 시각화하여 이해를 돕는 콘텐츠를 개발을 통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게임은 물론 치매 예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가족들이 치매 예방 교육의 원활한 진행 상황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