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robot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2초

미니 서보 모터를 이용한 교육용 로봇 제작 (A Design of Education Robot Using Mini Servo Motor)

  • 이종혁;김기환;이영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B
    • /
    • pp.886-889
    • /
    • 2003
  • In this paper a design of educational robot based on a PC and/or a microprocessor is discussed. The educational robot has 5 DOF and Is made with Swiss Mini Servomotor and Motor Controller IC LM629N. Also, a GUI(Graphical User Interface) is programmed by Visual Basic. This system is completed to consider control properties of the educational robot with 5-DOF that can be changed the parameter of controller by software.

  • PDF

두리틀 로봇 프로그래밍 일원화를 위한 로봇 객체 설계 (Unifing Robot Control Programming Language And Dolittle Using Robot Objects)

  • 권대용;염용철;유승욱;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3-32
    • /
    • 2005
  • 두리틀은 프로그래밍을 통해 컴퓨터 과학의 원리 및 개념의 학습을 돕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이다.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두리틀과 로봇 제어용 언어는 명령어나 언어체계, 실행체계가 다르다. 따라서 학습자는 로봇제어를 위해 사실상 두 가지 언어를 습득해야 하므로 두리틀의 교육용언어로써의 장점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리틀 거북객체 명령어를 로봇 제어 명령어로 변환하여 주는 parser를 이용하여 두리틀과 로봇 로봇제어용 언어의 일원화를 시도하였지만, 거북객체와 로봇의 속성이 다름으로 인해 적용 가능한 명령어가 일부분에 그치는 제약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리틀 표준객체군에 로봇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로봇객체를 추가함으로써 두리틀과 로봇 제어용 언어 일원화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여 로봇을 포함한 두리틀의 다양한 객체를 동시에 제어하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하여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Robot and Scratch-based Programming

  • Lee, Young-Dae;Kang, Jeong-Jin;Lee, Kee-Young;Lee, Jun;Seo, Yo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2호
    • /
    • pp.8-17
    • /
    • 2016
  • Scratch-based programming has come to be known as an effective programming tool because of its graphic instruction modules, which are designed to be assembled like the famous LEGO building blocks. These building block-like structures allow users to more easily program applications without using other more difficult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C or Java, which are text-based. Therefore, it poses a good opportunity for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especially in primary schools.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approach to developing an educational robot for use in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we present the method for scratch programming based on the external modules need for the implementation of robot motion. Lastly, we design a systematic curriculum, titled "Play with a Robot," and propose guidelines to using the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Scratch.

감성 상호작용을 갖는 교육용 휴머노이드 로봇 D2 개발 (Design and implement of the Educational Humanoid Robot D2 for Emotional Interaction System)

  • 김도우;정기철;박원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777-1778
    • /
    • 2007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humanoid robot, With Educational purpose, which can collaborate and communicate with human. We present an affective human-robot communication system for a humanoid robot, D2, which we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a human through dialogue. D2 communicates with humans by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emotion using facial expressions, voice, gestures and posture. Interaction between a human and a robot is made possible through our affective communication framework. The framework enables a robot to catch the emotional status of the user and to respond appropriately. As a result, the robot can engage in a natural dialogue with a human. According to the aim to be interacted with a human for voice, gestures and posture, the developed Educational humanoid robot consists of upper body, two arms, wheeled mobile platform and control hardware including vision and speech capability and various control boards such as motion control boards, signal processing board proceeding several types of sensors. Using the Educational humanoid robot D2, we have presented the successful demonstrations which consist of manipulation task with two arms, tracking objects using the vision system, and communication with human by the emotional interface, the synthesized speeches, and the recognition of speech commands.

  • PDF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한 교육용 로봇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Robot for Programming Learning)

  • 문채영;류광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497-25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한 교육용 로봇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작된 로봇은 센서와 프로세서 그리고 모터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웨어와 교육용 로봇 제어 소프트웨어, 로봇 구조물 제작용 기계부품 그리고 교육내용과 제작 매뉴얼이 포함된 교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작된 로봇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로봇에 직접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는 로봇 교육에 있어서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교육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결과가 로봇의 움직임으로 나타나므로 기존의 정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교육의 한계를 넘어 동적인 프로그램 교육이 가능하다. 그리고 간단한 하드웨어 지식과 기초 명령어만으로도 로봇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함수화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로봇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 하였다.

전방향 이동 메커니즘 기반의 교육용 로봇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Robot Platform Based on Omni-directional Mobile Mechanism)

  • 주백석;성영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161-1169
    • /
    • 2013
  • In this paper an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is suggested for educational robot platform. Comparing to other robots, a mobile robot can be easily designed and manufactured due to its simple geometric structure. Moreover, since it is required to have low DOF motion on planar space, fabrication of control system is also simple. In this research, omni-directional wheels were adopted to remove the non-holonomic characteristic of conventional wheels and facilitate control system design. Firstly, geometric structure of a Mecanum wheel which is a most frequently used omni-directional wheel was demonstrated. Then, the organization of the mobile platform was suggested in aspects of mechanism manufacturing and electronic hardware design. Finally, a methodology of control system development was introduced for educational purpose. Due to an intuitive motion generating ability, simple hardware composition, and convenient control algorithm applicability, the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 promising educational platform.

교육용 로봇 수요자 분석을 통한 기능 도출 (Function derived through analysis of educational robot user)

  • 김명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7-670
    • /
    • 2009
  • 교육용로봇시장의 발전과 함께 이용자들의 요구사항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제품이기 보다는 technical push 형태의 제품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 이용자들의 특성과 Kano 모형을 활용하여 수요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교육용 로봇 기능을 도출함으로써 로봇시장을 창출하는데 기반이 되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기능으로는 학생 원격 통제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교육 콘텐츠 검색 기능, 학습 진도 관리 기능은 제공될 경우 호감이 상승하는 매력적 평가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 PDF

r-Learning에서의 로봇보조학습 (Robot-Assisted Learning in r-Learning)

  • 한정혜;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97-508
    • /
    • 2009
  • 최근 지능형 교육서비스로봇을 이용한 교육적 효과가 입증되면서, 유치원에 상용화가 시작되었으며, 2010년에는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영어수업을 위한 기술 개발과 필드 적용 연구가 진행되어 로봇보조학습, 즉 서비스로봇에 의한 r-Learning 패러다임의 본격적인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의 개념과 종류를 정의하고,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비스 로봇에 의한 로봇보조학습으로서의 r-Learning의 특성을 살펴보고, u-Learning과의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로봇보조학습의 콘텐츠와 서비스에 대해 정의하였으며, 로봇보조학습 서비스 모델과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관람 진화적인 측면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로봇보조학습 서비스 시장을 위하여 교육 및 연구기관, 정부기관, 로봇산업체가 준비해야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PDF

교육용 AVR 로봇의 자바기반 플랫폼 (Java based Platform for Educational Robots on AVR)

  • 이이섭;김성훈
    • 지능정보연구
    • /
    • 제15권3호
    • /
    • pp.17-29
    • /
    • 2009
  • C 언어는 AVR사의 ATmega128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용 로봇 팔의 주 프로그래밍 언어다. C 언어는 교육용 로봇 팔을 제어하고 프로그램 학습하기 원하는 중학교 또는 고등학생들에게는 매우 어렵고 복잡하였다. 더구나, 통합개발환경, 디버딩 및 테스팅 환경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용 로봇을 위한 자바 기반의 통합 개발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이 플랫폼은 교육용 로봇 팔을 위한 최신의 초소형 자바 가상 머신(NanoVM), 이클립스 플러그인을 사용한 통합개발환경, 실제 로봇을 연결하지 않아도 테스트 및 디버깅을 할 수 있는 3차원 시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바 개발환경은 어린 학생들이 매우 용이한 교육용 로봇 팔 학습환경을 제공하게 되었다.

  • PDF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로봇에 대한 유아의 경험과 인식 (The Usability of a Robot as an Educational Assistant in a Kindergarten and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obot)

  • 현은자;박현경;장시경;연혜민
    • 아동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7-28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ability of a robot in kindergartens and the children's perceptions of that robo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field study, picture drawing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twelve days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Our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ere likely to use the robot in a group and girls tended to use it more than boys. Children's affection towards the robot was positive and they perceived the robot mostly in terms of a friend. Finally, the picture drawing activity differed according to the usability level. Children who were in the high usability level grouping engaged more with educational content and storytelling while the low usability level grouping utilized the robot for singing in a larg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