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5초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Parental Expectation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cusing on Mathematics)

  • 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701-7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PISA 학부모 설문의 수학과 관련한 설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때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ESCS와 자녀의 성별은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부모의 수학에 대한 학업적 직업적 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부모의 기대는 자녀의 내적 동기, 도구적 동기, 수학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적 관계를 발견하였다. 즉, 부모가 수학의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자녀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수학 점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진로를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투입 변수 중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는 도구적 동기였으며, 그 다음은 내적 동기, 부모의 수학에 대한 기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수학 성취에 대해 부모의 영향이 있다하더라도 학생 스스로가 가진 동기를 넘어서지 않음을 보여준다.

수학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 측면에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내실화 방안 탐색 (How to Mak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Better for Managing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99-220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ulcorner}$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lrcorner}$를 교육 프로그램 평가 연구로 규정하고, 그 연구의 주요 목적 중에 하나인 '교육과정의 질 관리' 목적을 위해 평가 방법과 결과 분석 방법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질 관리라는 측면에서 국가수준 성취도 평가 연구의 현황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그에 바탕을 둔 내실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수학 교육 내용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 평가와 관련하여, 성취수준의 의미를 교과 차원에서 좀더 구조화하고 명료화하여야 한다. 둘째, 내용 영역 간 학생들의 이해 정도 비교 평가와 관련하여,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출제 문항 수를 현재보다 늘리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셋째, 성취수준별 수학 학력 특징에 관한 정보 수집과 관련하여, 평가문항 개발 단계에서부터 각 성취수준별 특징이 드러나도록 문항을 개발하고, 또한 그 방안을 구체화하여야 한다. 넷째, 수학 교육 내용 적정화에 활용 가능한 기초 자료 수집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의 질 관리만을 목적으로 한 문항군을 별도로 개발하고, 수행평가로부터 유의미한 심층 분석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표집 대상학생 전체가 아니라 일부만을 대상으로 수행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 PDF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업성취 결과 분석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by Apply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

  • 김희경;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289-314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Fusion 모형이라는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수학교과에서 학교급별, 성취수준별, 성별에 따른 인지요소 숙달 양상과 다문화가정의 인지요소 숙달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6은 12개의 인지요소에서 '귀납적으로 추론하기', 중3은 10개의 인지요소에서 '연역적으로 정당화하기', 고2는 10개의 인지요소 중 '사칙계산'이 가장 높은 숙달 비율을 보였다. 성취수준별로 인지요소의 숙달 양상을 분석한 결과, 초 중 고 모두 우수학력 집단은 전체 인지요소에서 94%이상의 숙달률을 보였으나, 기초학력이하 집단 학생들은 거의 모든 인지요소에서 초6과 중3의 경우 미숙달 비율이 70%이상이었고 고2는 99%이상이었다. 또한, 초6, 중3까지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의 인지요소 숙달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으나 고2에서는 대부분의 인지요소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숙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학생 집단과 일반가정 학생 집단 간 인지요소의 숙달 양상은 학교급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 PDF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EM Integration Education Using Educational Robo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 Attitude)

  • 송정범;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22
    • /
    • 2011
  • 이 연구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2개반 73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을, 통제집단은 교과서 중심의 분과형 수업을 12차시 동안 처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인지적 영역인 수학 과학 학업성취에 있어서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은 교과서 중심의 분과형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특히, 학업성취 하위요인인 지식, 이해, 적용 영역으로 사후 검증한 결과 지식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해와 적용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의적 영역인 교과 태도 수준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은 현행 수학 과학 교과의 정의적 영역인 흥미를 보완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을 이용한 미국과 한국의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이 수학성적에 미치는 효과 비교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Mathematics Activiti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e TIMSS for the United States and Kore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Cyu-Pan Cho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87-205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제3차 국제 수학 과학 연구(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database를 이용하여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 그 결과를 미국과 한국간에 비교하는데 있다. TIMSS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 학생들의 수학성적은 연구에 참가한 약 45개국 중에서 거의 최상위권이었지만 미국 학생들의 수학성적은 중위권이었다. 많은 선행연구에 따르면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은 학생들의 수학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므로 이들 두 요인들이 이들 두 나라에서 어떻게 달리 학생들의 수학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정해봄으로써 두 나라간의 수학성적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한 주요 연구문제는 첫째,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들은 무엇인가와 둘째,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이 미국과 한국에서 어떻게 달리 수학성적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의 수학태도와 수학 활동은 수학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수학활동과 수학성적간의 관계는 두 나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학태도와 수학성적 간의 관계는 한국 학생들이 미국학생들보다 훨씬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들의 수학태도가 긍정적으로 높을 때 높은 수학성적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수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도구 개발 연구 -국민공통교육기간을 중심으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최승현;황혜정;신항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45-162
    • /
    • 2002
  •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seven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specify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and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also developed to differentiate students' levels of achievement at school mathematics.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on the following guidelines; 1) to present the minimum standard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2) to develop the standards based on the order of curriculum, 3) to suggest the minimum but ultimate achievement target, 4) to comprise not only of the intellectual but also of psychological spheres such as knowledge, function, attitude, aptitude, etc., and 5) to suggest the standards comprehensively and concretely. The standard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middle areas of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order not to be too comprehensive, nor to be too detailed. Learn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were provided for the assistance of instructions with emphasis on creativity rather than on the routine instruction.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1) to establish the assessment methods, contents, and situations which are to be used for assessment, 2)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classifying the assessed into the upper, intermediate and lower levels, 3) to develop the assessment standards in a proportionate balance to achievement standards, 4) to establish the intermediate level as a standard, and 5) to establish the minimum level in the contents, concepts, values and attitudes of basic learning.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exemplary test items including short-answer and open-ended questions while putting emphasis on students' real performance to increase their ability in solving problems rather than in calculating. In addition to the test items, it introduced the grading system developed to grade the items with concrete guidelines and to report students' achievement on doing mathematics.

  • PDF

초.중.고등학생의 수학과 내용 영역별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2003~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Classifying by Content Area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이봉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9-8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근거 자료는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 동안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먼저, 2003년부터 2008 년까지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이용된 모든 선다형 문항을 내용 영역별로 분류하여 문항별 정답률을 조사하고 연도별 평균 정답률이 가장 낮은 내용 영역들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표시한 내용 영역별 문항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6년 동안 출제된 모든 문항에 대하여 전체 학생의 내용 영역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함으로써 학교급별 학생이 가장 어려워하는 내용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문제제기 전략을 강조한 수업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분석: 방정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s of problem posing strategi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 전미라;허혜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709-722
    • /
    • 1998
  • This thesis is to see if the classes using problem posing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tudents' grades in math. So I set up research subjects as follow. 1. Do the classes focused on problem posing have any influence on the students' achievement\ulcorner 2. Do the classes focused on problem posing have any different influence on the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levels\ulcorner 3. Do the classes focused on problem posing have any different influence on the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categories in math\ulcorner I close four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K middle school in Kangnung, Kangwon province for this thesis. First I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two classes. One is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is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ken classes using problem posing. The comparative group was taken classes by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then I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achievement between two group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 First, the classes focused on problem posing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chievement Second, both the classes using problem posing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doesn`t affect to the advanced students. Third, the classes using problem posing is more effective to the intermediate students and lower level students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Especially it is very effective in teaching the students the linear equation.

  • PDF

수학 자기효능감과 수학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 잠재성장모형의 분석 -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in the Relation of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Latent Growth Model Analyses)

  • 염시창;박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1호
    • /
    • pp.103-118
    • /
    • 2011
  •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learning strategies, using latent growth model analyses. It was also examin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ARCL) panel model for testing the stability and change in the relation of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y over time. The study analyzed the first-year to the third-year data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KELS). The result of ARCL panel model analysis showed that earlier mathematics self-efficacy could predict later learning strategy use. There were linear trends in mathematics self-efficacy, learning strateg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Specifically, mathematics achievement was increased over the three time points, whereas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nalyses of latent growth models,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were overall supported. That is, both of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of rehearsal strateg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of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However, in elabor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only the initial status of each variable showed the indirect relationship.

문자와 식, 함수 영역에서 보이는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바탕으로 (Analysis of Errors by Response Assessment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2013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 조윤동;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281-30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서답형 문항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살펴보기 위하여 236개 학교 8007명의 답안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문항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 서답형 문항으로 내용 영역은 '문자와 식', '함수'이고 행동 영역은 '문제해결'과 '계산'이다. 두 문항 모두 주어진 문제 상황에 알맞은 식을 세우고 조건에 맞는 결과를 산출하는 문제이다. 분석 결과 각 문항에 따라 문제 상황을 파악하여 식을 세우고, 풀며, 결과를 기술하는 세가지 과정에서 다양한 오류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여 교수학적 시사점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