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film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비지 단백질로 제조한 가식성필름의 기계적 및 물질투과특성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Protein Films)

  • 조승용;박장우;이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6
    • /
    • 1999
  • 두부생산시 부산물로 다량 생산되는 두부비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이로부터 가식성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가소제로서 glycerol과 sorbitol을 사용하였을때 필름형성용액의 pH와 가소제의 농도가 가식성필름의 기계적특성(인장강도와 신장률), 수분투과도, 산소투과도 및 유지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건조하지 않은 두부비지에 10배의 물을 가하여 pH 11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단백질을 추출한 후, 등전점(pH 4.3) 처리하고 동결건조하여 농축단백질 시료를 만들고, 이로부터 solution casting 법으로 가식성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용액의 pH를 10으로 조절하여 제조한 가식성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된 가식성필름의 인장강도는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15.0 MPa에서 2.9 MPa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sorbito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보였으며. 수분투과도는 첨가된 가소제의 양과 종류에 따라 $0.48{\sim}0.83nm{\cdot}m/m^2{\cdot}s{\cdot}Pa$의 범위를 보였으며 많은 양의 가소제가 사용될수록 수분투과도가 높았다. 또한 가소제로서 sorbitol을 사용하였을 때가 glycerol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수분투과에 대한 차단효과가 전 가소제 농도 범위 ($0.4{\sim}0.8g$ plasticizer/g protein)에 걸쳐 우수하였다. 또한 이들 필름들은 낮은 산소투과도($29.5{\sim}61.1aL{\cdot}m/m^2{\cdot}s{\cdot}Pa$)와 유지투과도를 보여 산소와 유지의 투과에 대한 차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탈지 겨자씨로 제조한 가식성 생고분자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 혼합체, 초음파, 그리고 방사선 처리의 효과 (Effects of a Carbohydrase Mixture, Ultrasound, and Irradiation Treatme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efatted Mustard Meal-based Edible Films)

  • 양희재;노봉수;김재훈;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0-38
    • /
    • 2011
  • 대부분의 고분자 분쇄 처리는 WVP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일부 조건에서 WS를 개선시켰으나 그 개선 정도가 변수 크기와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았다. 인장특성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처리들에 의해 개선되지 않았으며, 초음파 처리의 경우에는 오히려 인장특성을 저하시키기도 하였다. 고분자 분쇄가 DMM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지만 향 프로파일을 제외한 DMM 필름의 특성들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건에서의 고분자 분쇄 처리에 의해 대체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필름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그 영향 정도가 고분자 분쇄의 공정 변수 크기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초음파와 방사선으로 처리된 탈지 겨자씨 필름은 공정 변수의 크기와 필름의 특성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것은 아마도 순수한 단일 생고분자로 구성된 필름의 고분자 네트워크와 복합 생고분자로 구성된 농산물 가공 부산물인 탈지 겨자씨 필름의 고분자 네트워크의 차이 때문이라고 사려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단일 생고분자 필름의 특성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분쇄 기술과 처리 변수들의 값들이 복합 생고분자인 탈지 겨자씨 필름에는 그 필름의 특성 개선에 효율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 결과는 다른 복합 생고분자(농산물 가공 부산물)로 가식성 필름을 제작 시 본 연구에 사용된 고분자 분쇄 처리들이 그 필름의 물리적 특성들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말해주기도 한다. 차후 탈지 겨자씨 필름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른 고분자분쇄 기술(예, high pressure homogenization)을 이용해보거나 composite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식용버섯과 진균 교차 배양을 활용한 플라스틱 필름의 생물학적 분해효과 (Biodegradation effect of cross-cultivated fungi and edible mushrooms on plastic films)

  • 최두호;이은지;안기홍;이강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36
    • /
    • 2024
  •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분해를 위한 연구의 한 종류로 버섯균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유도를 위해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주변에서 구하기 쉽고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낮은 식용 버섯을 활용하여 인체 안정성을 더한 플라스틱 분해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31 종의 버섯균들을 대상으로 플라스틱 PE, PS, PET 필름에 대한 분해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4종의 버섯(종이비늘버섯, 영지버섯, 갈색먹물버섯, 느타리)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진균과의 교차 배양을 통해 플라스틱 분해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해당 확인 과정에서 PS에 대한 분해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진균 Asp. nidulans의 작용에 의한 것이었다. 그러나 Asp.nidulans가 가진 유해성 (Henriet et al., 2012)으로 인해 인체에 무해한 식용버섯균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비록 버섯균만을 활용한 분해 결과는 저조하나 진균과 버섯균을 교차 배양한 분해 효과는 Asp. nidulans에 의한 분해 효과에 근접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ET에 대해서는 오히려 PT_2822_nig의 사례와 같이 교차 배양한 샘플이 더 높은 수치의 플라스틱 분해 효과를 보였다. 비록 두 실험 결과값들이 유의성을 보이지 못해 추가적인 보완실험이 요구되고 있으나 해당 실험을 통해 버섯균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유도 또한 세균, 진균, 밀웜 등을 활용한 분해 유도 과정과 비교하여 경쟁성을 보이고 있다.

Chitosan/whey Protein (CWP) Edible Films Efficiency for Controlling Mould Growth and on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During Storage of Göbek Kashar Cheese

  • Yangilar, Filiz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6-224
    • /
    • 2015
  •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chitosan and chitosan/whey protein on the chemical, microbi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Göbek Kashar cheese during ripening time (on 3rd, 30th, 60th and 90th d). Difference in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between sampl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0.05) during ripening period. Cheese samples with edible coating had statistically lower mould counts compared to the uncoated samples. Furthermore the highest and lowest mould counts were determined in control (4.20 Log CFU/g) and other samples (<1 Log CFU/g) at 60th and 90th d of storage. All samples exhibited higher levels of water soluble nitrogen and ripening index at the end of storage process. At the end of 90 day storage period, no signicant dierences in salt and fat values were observed among the cheeses studied. The edible coatings had a beneficial effect on the sensory quality of cheese samples. In the result of sensory analysis, while cheese C and the chitosan coated cheese samples were more preferred by the panellists, the chitosan/whey protein film-coated cheese samples received the lowest scores. This study shows coating suggests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ese during ripening time.

Effect of Edible Coatings Containing Soy Protein Isolate (SPI) on the Browning and Moisture Content of Cut Fruit and Vegetables

  • Shon, Jin-Han;Choi, Yong-Hwa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90-196
    • /
    • 2011
  • Effectiveness of edible coatings containing soy protein isolate (SPI), in reducing oxidative browning and moisture loss during storage ($4^{\circ}C$) of cut apples, potatoes, carrots, and onions was investigated. The SPI coatings were shown to have antioxidative activity. Furthermore, addition 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to the formulations significantly improved its antioxidative activity. Oxidative discoloration, as determined by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color scale, was significantly reduced (p <0.05) by SPI coating treatments over a storage time of 120 min. Loss of lightness was reduced by SPI coatings with and without CMC. These respectively showed 4.03 and 3.71% change of $L^*$ value compared to 8.56% for control. Browning of the control in cut potato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106.6% in contrast to 34.3 and 35.2% for SPI coatings with and without CMC, respectively. The $b^*$ values also reflected effectiveness of SPI. Moisture barrier effect was significantly better for the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SPI coatings reduced moisture loss in apples and potatoes, respectively, by 21.3 and 29.6% over the control. Cut onions did not show any treatment effect both in terms of browning and moisture loss. SPI coatings prove to be good moisture barrier and antioxidative property.

어육 단백질을 이용한 가식성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Edible film from Fish Protein)

  • 송기철;목종수;강창수;장수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7-252
    • /
    • 2002
  • 어육 단백질로부터 가식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명태와 고등어로부터 최적 단백질 추출조건을 구명하고, 필름 제조용 용액의 단백질 농도, pH 및 온도가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명태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79.62\%$, 조단백질 $18.2\%$, 조지방 $0.6\%$, 회분 $1.3\%$였으며, 고등어는 수분 $69.1\%$, 조단백질 $20.1\%$, 조지방 $9.5\%$, 회분 $1.3\%$로서 명태가 고등어에 비하여 수분함량은 높고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낮았다. 또한, 황함유 아미노산인 cysteine과 methionine 함량은 명태 771mg/100 g, 고등어 746mg/ 100 g 으로서 이들 아미노산의 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명태와 고등어로부터 가용성 단백질의 추출률은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pH 2, 11의 순이었고, 중성부근에서는 추출률이 낮았다. 한편 추출된 가용성 단백질을 등전점 분리시켰을 때, 단백질의 회수율은 명태는 pH 4.8 ($79.8\%$)에서, 고등어는 pH 5.0 ($64.1\%$)에서 가장 높았다. 어육 단백질 필름은 증류수 100mL에 단백질 4g (glycerol 1.6g) 을 첨가하여 pH 10.0로 조정한 다음 $90^{\circ}C$로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이 물리적 특성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Physical Properties of Gelidium corneum Films Treated with Cinnamaldehyde - Research Note -

  • Ku, Kyoung-Ju;Seo, Yung-Bum;Song, Kyu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122-125
    • /
    • 2007
  • Gelidium corneum films were prepared using cinnamaldehyde as a cross-linking agent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Tensile strength (TS) value of the film containing 0.01% cinnamaldehyd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by 8.31 MPa. However, increasing cinnamaldehyde from 0.01% to 0.1% significantly decreased TS from 9.54 MPa to 0.03 MPa, and no film was formed at 1% cinnamaldehyde. On the contrary, when cinnamaldehyde content was increased from 0.01% to 0.1%, % elongation was increased from 1.44% to 2.75%. Water vapor permeability (WVP) of the film containing 0% and 0.01% cinnamaldehyde were 1.64 ng m/m$^2$sPa and 1.42 ng m/m$^2$sPa,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unter values among treatment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revealed that both cinnamaldehyde and control films had similar surfa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1.5% Gelidium corneum treated with 0.01% cinnamaldehyde should be the most suitable condition for film formation.

천연물 유래 항균물질을 포함한 가식성 Pullulan 필름의 충치유발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Edible Pullulan Film Containing Natural Antimicrobial Material on Cariogenic Bacteria)

  • 김기명;황권택;유상권;이웅수;정경환;문성권;최원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66-1470
    • /
    • 2009
  • 천연항균물질인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폴리라이신(polylysine) 및 프로폴리스(propolis)의 충치유발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가식성필름에 첨가 천연고분자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충치예방 및 구강청결 등의 치의적 상품개발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Disc method를 이용한 예비 항균활성실험 결과, 자몽종자추출액의 경우 10%(w/w)의 농도에서 Streptococcus mutans 균에 대해 확실한 항균활성이 나타나, 이를 pullulan 필름제조 용액에 첨가하여 항균성 가식필름을 제조하였다. Pullulan 10$\sim$15%(w/w)의 농도와 사용된 pullulan 양의 40$\sim$50%(w/w)의 sorbitol 농도에서 적절한 항균필름이 제조되었다. 자몽종자추출액 50 ppm을 함유한 pullulan 필름은 Streptococcus mutans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몽종자추출액을 함유한 가식성 항균필름은 충치예방상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한 Gelatin Film의 항균 효과 (Preparation of Gelatin Fil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Its Antimicrobial Effect)

  • 임금옥;홍윤희;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4-137
    • /
    • 2009
  • 자몽종자 추출물(GSE)을 0.02, 0.05, 0.08, 0.1%의 농도로 첨가하여 제조한 gelatin 필름의 물성과 항균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필름의 인장강도는 0.1% GSE를 첨가하였을 경우 10.28 MPa로 대조구의 8.68 MPa에 비하여 1.60 MPa 증가하였으나, GSE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투습계수는 GS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대조구의 2.48 ngm/m2sPa 에 비하여 0.1% GSE의 첨가 시 2.18 ng $m/m^{2}sPa$이었다. GSE 첨가한 gelatin 필름의 항균활성의 경우, 0.1% GSE를 첨가 했을 때 E. coli의 경우 2.67 log CFU/g, L. monocytogenes 경우 3.15 log CFU/g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GSE를 첨가한 gelatin 필름이 가공식품의 포장재로써 식품에서 일부 위해미생물을 억제 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Functional and Film-forming Properties of Fractionated Barley Proteins

  • Cho, Seung-Yong;Rhee, Ch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889-894
    • /
    • 2009
  • Barley proteins are expected to have unique functional properties due to their high content of alcohol soluble protein, hordein. Since the barley proteins obtained by conventional isoelectric precipitation method cannot represent hordein fraction, barley proteins were fractionated to albumin, globulin, glutelin, and hordein with respect to extraction solvents. Functional properties and film-forming properties of solubility-fractionated barley proteins were investigated to explore their potential for human food ingredient and industrial usage. The 100 g of total barley protein comprised 5 g albumin, 23 g globulin, 45 g glutelin, and 27 g hordein. Water-binding capacities of barley protein isolates ranged from 140-183 mL water/100 g solid. Hordein showed the highest oil absorption capacity (136 mL oil/100 g), and glutelin showed the highest gelation property among the fractionated proteins. In general, the barley protein fractions formed brittle and weak films as indicated by low tensile strength (TS) and percent elongation at break (E) values. The salt-soluble globulin fraction produced film with the lowest TS value. Although films made from glutelin and hordein were dark-colored and had lower E values, they could be used as excellent barriers against water trans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