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검색결과 10,316건 처리시간 0.03초

Study of Habitat Environment and Species Diversity-based on Alien Plant, Phytolacca americana L. in Korea

  • Choi, Dong-Hui;Ryu, Tae-Bok;Kim, DeokKi;Kim, Dong-Eon;Lee, Jung-Hyo;Kim, Nam-You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321-337
    • /
    • 2018
  • The characteristics of 124 Phytolacca americana present areas and 88 surrounding absent areas over the country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rom July 2016 to Sept 2017. The Phytolacca americana was confirmed as having been nationally distributed and is usually found in roadsides at an altitude of 380 m (26%), forest edges (24%), forests (19%), sunny spots (60%), dry soils (53%), sandy loams (31%) and sand+gravel soils (22%). 321 taxons consisting of 79 families, 209 genera, 289 species, 2 subspecies, 26 varieties and 4 cultivars and 286 taxons consisting of 76 families, 195 genera, 256 species, 2 subspecies, 24 varieties and 4 cultivars were found in the Phytolacca americana present areas and the absent areas, respectively. The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 was found highest in the Phytolacca americana (100) followed by Robinia pseudoacacia (29.4), Humulus japonicus (8.8) and Artemisia princeps (6.0) in the present areas, while it was found highest in Robinia pseudoacacia (100) followed by Humulus japonicus (44.4), Artemisia princeps (35.9), Pueraria lobata (18.6) and Setaria viridis (12.3) in the absent areas. The Raunkier's life form in the present/absent areas was found highest in the therophytes (34%/34%), followed by hemicryptophytes (17%/18%), megaphanerophytes and mesophanerophytes (18%/17%), nanophanerophytes (11%/11%) and geophytes (9%/1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es diversity between the present (2.141) and the absent (2.124) areas. However, the allelopathic agent and light blocked-out by the Phytolacca americana could possibly inhibit germination and the development of other species; especially, where a difference in species diversity was found high in forests, compared to other habitats (p=0.0605).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o review possible disturbances of native species habitats in shady spots including forest gaps, although the effect of Phytolacca americana on the ecological system in the suburban open and disturbed areas is not large.

광역생태축과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활용한 지자체 광역생태네트워크 구축 방안 (Method of Developing the Regional Ecological Network for Local Government using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and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 김근한;공석준;김민경;이명진;송지윤;전성우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3호
    • /
    • pp.3-19
    • /
    • 2014
  •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대규모의 개발들은 산림, 농지 등 넓은 면적의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의 훼손 및 단절을 유발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의 자연생태계를 하나의 유기체로서 인식하고, 생태적으로 우수한 서식지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하여 자연생태계를 보전해야 한다. 특히 지자체에서는 생태적 연결성뿐만 아니라 환경생태적 우수성까지 고려한 광역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자체 개발관련 계획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토의 생태적 연결성을 평가한 광역생태축과 우리나라의 환경생태적 가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도인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지자체 광역생태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경상남도 사례로 지자체 광역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구축 결과 기존에 구축되었던 광역생태축의 핵심지역 $2,986km^2$과 완충지역 $2,940km^2$가 확장되어 핵심지역은 $4,049km^2$, 완충지역은 $3,006km^2$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개발계획 시 이러한 광역생태네워크의 참조는 지자체 생물다양성 증진과 생태계 보호를 포함한 지자체 통합적 환경관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동양 전통 생태사상의 현대적 전환을위한 비판적 고찰 - 유학의 생태사상을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 on Modern Change of Ecological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

  • 한성구;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6호
    • /
    • pp.235-258
    • /
    • 2013
  • 기존의 생태철학에서, 환경 위기의 원인이 인간과 자연의 분리에 있으므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인간과 자연의 친화가 필요하다고 한다. 우리는 동양사상이야말로 그런 합일성의 전형이라고 주장해 왔다. 실제로 동양의 전통문화 중에는 생태적 의의를 갖고 있는 사상적 내용이 적지 않게 들어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그것이 얼마만큼의 활력과 의미를 갖고 있는지는 말하기 쉽지 않다. 다른 한 편으로 우리가 환경파괴의 주범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서양의 사상이 생각만큼 반생태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좀 더 근본적인 곳에서부터 문제를 제기하고 답을 찾아 나가기 위해 "서양의 자연관은 반생태적인가?"라는 물음과 "동양의 자연관은 생태적인가?"라는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해 다시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 특히 전자의 물음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후자의 물음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면 동양 생태 사상의 현대적 전환과 실천적 의의를 찾을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생태문제는 이론의 문제라기보다는 실천의 문제이다. 어떻게 실천을 가능하게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개인과 국가, 기업 모두 어떻게 사는 것이 궁극적으로 가치 있는 삶인지 자각하지 못한다면 생태문제의 해결은 요원하다. 한 사람만의 자각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며 생태문화의 사회적 조성과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환경 이해 방식과 사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봐야 할 필요성이 생기는 것이다. 동양 전통 문화가 담고 있는 풍부한 생태 사상적 요소의 보편적 가치는 그것이 현대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현시켜 줄 수 있는 기초가 된다. 그러나 보편적 가치만으로 그것이 현대적 이론으로 전환되어 실천과 연결될 수 있는지는 별도의 문제이다.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생태 사상은 이론 문제이기 이전에 실천문제이다. 아무리 훌륭하고 잘 갖추어진 이론이라 할지라도 실천과 연결될 수 있는 현실적 길을 찾지 못한다면 그것은 아무 쓸모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동양 전통 생태사상이 현대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생태사상의 문제는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며,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이기 때문에 미리 답안을 정해놓고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 아닌 오늘날의 입장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고 답안을 찾으려 할 때 동양 생태사상의 현대적 전환은 어느 정도 가능성을 보게 될 것이다.

대도시 도심의 생태적 연결성 및 연결망 분석 (Ecological Connectivity and Network Analysis of the Urban Center in a Metropolitan City)

  • 차재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503-515
    • /
    • 2023
  •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태공간의 단절과 파편화는 생물다양성의 위협 요소이다. 특히 개발 압력이 높은 도심은 생태공간이 부족하여 연결성이 매우 낮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도시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사업이나 도시관리 수준에서 생태적 연결성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도시의 생태적 연결성 현황 파악과 개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도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의 도심이 가진 생태적 연결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도심은 외곽이나 도시 전체와 비교해 연결성이 낮았다. 그리고 종분포모델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대전을 대상으로 수행한 생태적 연결망을 분석하여 1ha 이상 산림을 이어주는 최적 경로 510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의 생태적 연결성 개선 목표 제시에 필요한 정량적 수치와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지역 특성에 따른 연결망을 도출한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환경영향평가나 도시관리에서 생태적 연결성을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 체계를 구축하는 데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 31개 시·군의 도시생태계 현황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Ecosystem Assessment for 31 Cities & Counties around the Capital)

  • 성현찬;황소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65-176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t urban ecosystem assessment indicators, assess the status of the urban ecosystems in 31 cities & counties in the capital region and based on which, to examine an improvement plan to resolve problems and raise quality and quantity of urban ecosystems. The study showed that the ecological base of 31 cities & counties was 48% on average, which indicates that their ecological property is the middle class. Their natural-ecological function was 63% and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was 25%, showing that environment-control function was poor. Therefore, going forward, urban ecological base should be further improved. When securing an ecological base, creation techniques should be able to further enhance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 along with natural-ecological function. Also, additional effort should be made to conserve areas with high ecological value as much as possible and increase vegetation vitality by replacing tree species.

생태공원에서 환경해설자의 교육적 효과 -길동자연생태공원을 대상으로- (The Environment Interpreter's the Educational Effects at Ecological Parks -In the Case of the Gil-Dong Ecological Park-)

  • 성수진;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2-61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ccompanying with environment interpreter in the ecological parks, and providing fundamental knowlege on the effective management method of the ecological parks by reviewing the effects of accompanying environmental parks in the ecological parks. We had done a field experimental design in the Gil-Dong ecological park, and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effects, used types and satisfaction by the educational types - one is control groups, i.e., accompanying without environment interpreter and the other is treatment groups, ie., accompanying with environment interpreter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observation surve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respect of the effect of knowledge conveyance of the environmental interpreter, there appears higher educational effects of environment and ecology to the visitors of Gil-dong ecological park with an environment interpreter. 2) Accompanying with environment interpreter made the visitors reduce the depreciative behavior but no difference at environmental attitude and satisfaction. This results provide us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 interpreters. And more theoretical study is required in the future research.

  • PDF

고령화 사회를 위한 생태 공동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 미 서부 생태 공동주거 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Eco-Villages for Aging Society - Focused on the Cases of the Environmental Co-Housings in Western America -)

  • 구재오
    • KIEAE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111-116
    • /
    • 2010
  • Ecological villages should be designed not only for simply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 such as energy saving and alternative energy use, resource conservation and circulation,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nature, but also for encouraging social contact and community activities with the residents, especially the aged peopl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ecological and social design elements for the ecological village planning derived through case studies. The case studies are selected from the environmental Co-housings in Western America, surveyed in the years of 2008 and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cological design element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size and type, were found to be basically applied in every ecological villages. 2. The community activities are actively conduc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based on a variety of programs. The two main purposes of the community activities are strengthening the residents' familiarity with each other and the volunteer services to the local community where they bel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