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6초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변화 추이 분석(2004-2019) (Trend in Paternal Childcare Tim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from 2004 to 2019)

  • 이정은;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3호
    • /
    • pp.103-120
    • /
    • 2021
  • 본 연구는 맞벌이와 외벌이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의 변화를 파악하고 아버지의 자녀돌봄 활동의 특성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돌봄의 하위활동영역을 각각 필수돌봄, 발달돌봄, 기타돌봄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자료 중 2004, 2009, 2014, 2019년의 4개 연도 15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평일(근무일)의 아버지 자녀돌봄시간과 참여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가 미취학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증가 추이를 나타냈다. 특히, 맞벌이 아버지는 2004년과 비교하여 2019년에 자녀돌봄시간이 24분 증가하여 15년 동안 2배 가량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돌봄유형을 분석한 결과, 2004년에는 생존과 직결되지 않고 간헐적 참여가 가능한 발달돌봄 참여율이 자녀의 생존과 건강유지를 위한 필수돌봄에 참여율보다 적었으나, 2019년에는 외벌이 아버지는 필수돌봄과 발달돌봄 참여율이 유사하였고, 맞벌이 아버지는 필수돌봄 참여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아버지의 연령, 교육수준, 성평등의식, 시장노동시간, 출퇴근시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시장노동시간은 모든 조사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성평등의식은 외벌이 아버지 집단에서 최근까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맞벌이 아버지와 외벌이 아버지 모두 자녀돌봄시간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발달돌봄뿐아니라 필수돌봄에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부모의 공동양육 책임이 실현되는 방향으로의 긍정적 변화를 시사한다. 또한, 이는 지난 15년간의 아버지 자녀돌봄 행태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가족친화 정책의 구체적 과제를 제안하고 지역사회 등에서 아버지 대상 자녀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 일부 지역 유아의 스트레스가 식습관, 식품 기호도 및 식품 섭취 빈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ss on Food Habits, Preference and Frequency in Young Children at Kyungbuk Area)

  • 박경애;김선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4-18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and effects of stress on dietary habits, food preferences and food frequencies of young children in Kyungbuk province. The study subjects were 271 children, aged $3\sim5$, and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within the Kyungbuk are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stress, food preferences, and food frequencies of the young children were assessed, as we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ir parent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chi^2-or$ t-tests employing the SPSS program packag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heir level of stress. One hundred and nine of the subjects had high stress(HS) and 162 had low stress(LS). The male HS group ate breakfast more regularly, skipped meals more frequently and ate protein-containing foods everyday compared to the male LS group. The female HS caught colds more easily and were more constipated than the female LS group. The preferences for chicken and hamburgers were higher in the male HS group than LS group; whereas, those for noodles and soybean milk were lower in the male HS than LS group. The preferences for soybean milk was higher in the female HS than LS group. The frequencies for stir-fried foods and spinach were higher in the male HS than LS group; whereas, those for curried rice, noodles, apples and soybean milk were higher in the male LS than HS group. The frequency for kimbab was higher in the female HS than LS group; whereas, those for steamed foods, shells and mushrooms were lower in the female HS than LS group.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ir parents, need better dietary habits and strategies for actively coping with stress to maintain health.

  • PDF

취학 전 미디어 노출과 어머니의 우울이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주의집중문제의 매개효과 (Longitudinal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Media Exposure and Maternal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during First Grade: Mediating Effect of Attention Problem)

  • 서보림;한희수;김태련;조진실;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267-278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media exposure and maternal depression on first-grad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ttention problem. Longitudinal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was used to examine this hypothetical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2,150 children (1,091 boys and 1,059 girls) and their mothers across 2013 (5 yrs.) through 2015 (7 y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stimated using SPSS 25.0 and Amos 2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level of preschool children's media exposure and maternal depression were related to higher attention problems after a year and lower level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during first-grade. Second, preschool children's media exposure and maternal depress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first-grad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via attention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upporting evidence to many educators and par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effective practices for first-grade children to enhance their school adjustment.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isk of indiscriminate media exposure during early childhood on first-grade's school adjustment.

가정환경 변인과 학업성취에 관한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유아의 사교육 실태에 미치는 영향 (Contributor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Preschool Children: Focused on Home Environment Factors and Maternal Belief about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 한유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1-90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tributor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preschool children focusing on home environmental factors(financial capital,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nd maternal belief about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child's effort, child's ability, teacher's instruction, and maternal teaching). One hundred and seventy three mothers whose preschool children we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Kinlaw et al.(2001)'s Importance of Effort/Ability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belief about th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Stipek et al.(1992)'s Activities Sub-scales was revised to measure a social capital, that is the mother's formal and informal activities providing to their preschool child. Educational level was utilized as human capital and monthly income was considered as financial capital. Also, using open ended questions,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numbers of extra-curricula activities their child was presently attending, and when he or she began to attend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general, the mothers provided informal activities to their preschool child more than formal activities. Also, they believed the teacher's instruc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child's ability the least important in their child's academic achievement.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predicted by mothers' formal activities and their belief on their child's ability. The age of star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explained by mothers' formal activities and their educational level.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서안정성, 대인관계 스트레스,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Sensitivity of Infant Classes in Childcare Centers: Focus on Emotional S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Work Environment Variables)

  • 정유정;김진욱
    • 아동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5-218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in Educare Center teachers and teacher sensitivity, by classifying their personal psychological, socio-psychological, and work environment variables. Furthermore, it aimed to inquire the extent to which these variables influence teacher sensitiv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236 Educare Center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working in infant-caring facilities. Based 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significance test was conducted for each variable. Results: Firstly, according to the correlations regarding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for sensitive interaction, emotional st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colleagues,and parents; mean working hours in other places; and mean daily personal time. For insensitive inter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stability and mean daily break time,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colleagues, and parents. Secondly, regarding the influences on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for sensitive interactio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consisted in th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parents. On the other hand, for insensitive interactio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were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emotional stability. Conclusion: Redu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increasing the emotional stability of Educare Center teachers will increase their sensitivity level. Furthermore, the quality of care will be improved.

연령 증가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 발생율 군집화 연구 (A Clustering Study of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and Occurrence Rate through Age 2 to 5)

  • 유수옥
    • 아동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7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rate of occurrence of challenging behaviors in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increase in age.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ponses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N=246). They were asked which 38 types of challenging behavior occur most among ages 2, 3, 4, or 5 in young children's classroom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ccurrence rates of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5 clusters; decreased(Cluster 1, Cluster 2, Cluster 3), maintained(Cluster 4), or increased(Cluster 5) according to increases in their respective ages. Second, the behaviors such as throwing tantrums and biting, evident in Cluster 1, decreased very rapidly from a very high occurrence rate by age 3. The classroom culture maladjustment behaviors such as running aimlessly around the classroom and shouting, apparent in Cluster 2, had decreased rapidly from a high occurrence rate by age 4. The intentional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s such as dropping objects to create noise and the peer culture maladjustment behaviors studied in Cluster 3 decreased gradually from a rate of medium occurrence by age 5. These results revealed the discontinuity which a few young children exhibit. Third, hurting others, observed in Cluster 4 maintained a low occurrence rate from age 2 until age 5. Using inappropriate language and threatening others in Cluster 5 increased gradually from a low occurrence at 2 to a high rate of occurrence at age 5. By carefully examining the change of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on the basis of objective data in terms of the continuity/discontinuity and increased/decreased rate of diverse challenging behaviors, we will be better able help teachers and parents to plan the instruc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소아청소년 비만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서정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2호
    • /
    • pp.1311-1320
    • /
    • 2009
  • 소아청소년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가정에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 하며, 태아기부터 영아기, 걸음마기에 올바른 음식섭취와 생활습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양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요약하였다. 건강한 생활습관 1) 일상생활에서 부지런히 움직인다. 계단으로 올라가기, 학교나 학원을 빠른 걸음으로 걸어가기, 텔레비전 시청 시 제자리 걷기나 스트레칭하기, 심부름하기, 틈만 나면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기, 밥 먹고 바로 눕지 않기, 누워서 텔레비전 보지 않기, 식탁에서만 먹기 등이다. 2) 매일 30-60분 이상 활동한다. 운동은 이상적으로는 매일 60분 이상 하여야 하지만 따로 시간내기가 어려울 때에는 10-15분씩, 2-3번 이상 일과 중에 틈틈이 운동한다. 3) 텔레비전 시청과 컴퓨터 사용시간을 2시간 이하로 한다. 4) 가족이 함께하는 즐거운 운동을 계획한다. 5) 고지방 고탄수화물 음식을 제한한다. 통곡물, 살고기를 선택하며, 달콤한 탄산음료나 과일향 음료보다는 물과 저지방 우유(하루 400 mL)를 권한다. 6) 식사 때가 되어서 먹는 것이 아니라 배고플 때 천천히 먹는다. 7) 식사는 가족과 함께 즐겁게 천천히, 여러 종류의 식품을 골고루 먹는다.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둔 개인적인 비만 중재나 가족과 지역사회의 노력만으로는 비만 유병율을 변화시키는 데 제한이 있다. 비만의 유병율을 감소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비만의 근본적인 예방이다. 국가와 지역사회에서 더 높은 단계에서, 정책적으로 비만의 근본적인 예방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병원, 학교를 연계하는 대단위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自我象) 연구 (A Study on the Self-image of Fathers having Young Children)

  • 전연우;조희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3-363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P시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2012년 8월 7일에서 2012년 8월 30일까지 주 1회씩 총 3회, 회당 1시간에서 1시간 30분의 길이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은 크게 '나는 가족에게 내 마음같이 못해주는 아버지', '나는 아직 성공하지 못한 아버지', '나는 의무와 책임감 속에서 고독한 아버지', '나는 가족의 행복을 위해 희생하는 아버지', '나는 현대판 아버지' 등의 다섯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보다 바람직한 자아상에 관해 논의하였다.

취업모의 일-어머니 역할 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on Parenting Stress: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atisfaction)

  • 김안나;권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375-384
    • /
    • 2014
  • 본 연구는 취업모가 지각한 일-어머니 역할 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직장에 다니는 만 2-5세의 자녀를 둔 취업모 515명이었다. 조사는 2013년 2월 15일부터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일-어머니 역할 갈등, 부모역할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어머니 역할 갈등과 부모역할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어머니 역할 갈등은 부모역할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어머니 역할 갈등은 부모역할만족도를 매개로 양육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서 보육정책의 정착을 통하여 일-어머니 역할 갈등을 낮추고 부모역할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영재 캠프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들의 정서 변화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during mathematics gifted camp program)

  • 이승훈;이세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07-122
    • /
    • 2010
  • 중학생 수학영재들에게 적합한 캠프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학생 수학영재들의 캠프프로그램에서의 정서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수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입교생 4명에 대한 면담을 통해 겨울학교 기간 동안 수학영재들에게서 보이는 정서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수학영재들이 보이는 정서 변화의 특징이 수학영재 캠프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혔다. 수학영재들은 기쁨과 자랑스러운 마음으로 겨울학교에 입교하였으며, 입교 당시 기쁨으로 가득 차있던 마음은 모의고사 성적의 상대적 비교결과에 따라 큰 변화를 겪는다. 모의고사의 성적이 저조한 경우에 큰 실망은 하지만 더욱 큰 노력을 통해 실망감을 극복해내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들의 수학적 재능과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는 모의고사 결과의 좋고 나쁨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매우 안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캠프기간 동안 수학영재들이 보이는 정서 변화의 특징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능력별 집단편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둘째, 능력별 집단 편성 교육 시 정서적 측면의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며, 셋째, 또래간의 교류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숙달목표지향성에 초점을 두도록 유도하는 방안 필요하며, 다섯째, 수학에 몰입하는 것을 도와주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