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earning 성과

Search Result 944,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Attitude of 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e-Learning에 대한 태도가 e-Learning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Han Jin-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6
    • /
    • pp.100-10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f the attitude of 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and the antecedents of e-learning. For this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had attended a cyber lecture at university.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attitude of e-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learning effectiveness. Second, ease of us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motivation, information quality of learning contents has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e-learning, but usefulnes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has no effect on the attitude of e-learning. Therefore, the former consist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contents and information quality that are provided by e-learning and the latter means learning motivation.

  • PDF

e-Learning의 학습효과 및 실무전이에 관한 연구: 학습조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eong, Yun;Seo, Byeong-Mi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1078-1083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훈련의 전이(transfer of training)모델을 e-Learning상황으로 재해석하여 기업이 e-Learning을 도입하고 운영함에 있어서 보다 실질적인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며, 또한 오늘날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기업 경쟁력의 원천인 지식자본의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e-Learning이 되기 위해서 학습조직 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앞으로 기업이 학습조직의 향상 방향으로 e-Learning을 도입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전통적 교육훈련의 전이모델과 e-Learning의 성과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에서의 e-Learning의 학습효과 및 실무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추출하는 연구모형을 통해 각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와 실무전이에 대하여 학습효과를 매개로 하는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e-Learning의 학습효과 및 실무전이에 관한 영향 관계를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밝히고자 하며, 다음으론 e-Learning이 기업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와 실무전이에 영향을 미칠 때 학습조직이 상황적 요인으로 추가되면 e-Learning의 학습효과와 실무전이 성과를 Leverage할 수 있는지 각 요인별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여 실증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Attitude of 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e-learning에 대한 태도가 e-learning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Han, J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2-9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f the attitude of 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and the antecedents of e-learning. For this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school where e-learning was students of cyber lectur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attitude of e-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learning effectiveness. Second, ease of us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motivation, information quality of learning contents has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e-learning, but usefulnes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has no effect on the attitude of e-learning. Therefore, the former consist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contents and information quality that are provided by e-learning and the latter means learning motivation.

  • PDF

e-Learning 컨텐츠 및 서비스 품질과 성과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학습자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대율;성행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12a
    • /
    • pp.296-304
    • /
    • 2005
  • 본 연구는 e-Learning 컨텐츠 품질과 서비스 품질 차원을 분류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e-Learning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e-Learning 컨텐츠 품질 차원을 교수설계, 내용성, 주의성으로 분류하고, 마케팅 분야의 정보 품질 모형 중에서 Parasuraman이 제시한 SERVQUAL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e-Learning 서비스 품질 차원을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확신성, 공감성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요인들이 e-Learning 성과(학습만족과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정적으로 검정하고자 한다. 이들 요인들 간의 매개적 역할을 하는 많은 요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경험적, 태도적, 행동적 특성과 자기효능감과 같은 학습자 특성의 매개 효과에 주목하고 한다.

  • PDF

Why don't people adopt e-learning? (e-learning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Yun, Suk-Ja;Kwon, Soo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232-249
    • /
    • 2006
  • e-learning은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반복학습이 가능하며, 비용이 저렴하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말 도입되어 6년 이상 경과되었으나 아직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이 갖는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왜 채택이 저조한가에 대한 원인을 찾고, 보급을 확산시킬 방안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learning 채택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e-learning 채택자와 미채택자에 대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유용성, 지속성: 재미, 반복성, 비용, 접근성, 학습동기, 즉시성 요인이 e-learning 채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델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비용과 접근성은 기존 선행연구들과 반대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즉, e-learning은 오프라인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그리고 반복해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을 미루게 되어 오히려 채택을 저해한다는 것이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즉시성은 채택되지 않았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그리고 반복해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e-learning을 채택하게 된다고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은 성립되지 않고 기존 연구가설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대상이 e-learning을 사용해본 경험이 비교적 많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생각된다. 향후 e-learning을 6개월 이상 사용해본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

A Stud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rporate e-Learning in Quality, Users'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Orientation in Hotel Industry (호텔 e-Learning의 품질 및 사용자 학습특성과 고객지향성과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Ji, Yun Ho;Park, Tae Soo;Kim, Minsun;Moon, Yun 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575-577
    • /
    • 2013
  • The research was aimed at the hotel industry's employees in order to test the efficiency of e-Learning, which is emerging as the alternative training system to the conventional on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quality of e-Learning, including the qualities of the system, contents, and service of e-Learning, and the learning characteristic factor, including the quality factor of e-Learning, the self-efficacy of the user, learning motivation, and the flow of learning. Furthermore, the intervening variables are its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satisfaction factor of the user known as the so-called utility of e-Learning, continuous intention to use in terms of efficaciousness, and the spread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dependent variable is customer orientation, known as the ultimate efficaciousness of corporate e-Learning.

  • PDF

Design of e-Learning Content for Biodiversity Study (생물다양성학습을 위한 e-Learning 콘텐트 설계)

  • An, Bu-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835-83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산재한 생물다양성정보를 e-Learning에 활용하기 위하여 KISTI에서 구축한 생물다양성 데이터베이스 현황과 e-Learning의 기술요소 등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에 구축된 생물다양성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일반인과 학생을 위한 e-Learning 생물다양성 학습 콘텐트를 기획하고 설계하였다. 본 설계를 바탕으로 생물다양성 콘텐트를 개발한다면, 국토가 좁고, 네트워크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사이버공간상의 학습의 장으로서 일반인과 학생들에게도 양질의 e-Learning 학습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Efficiency of e-learning Education in University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학습의 지식전달 효율성에 대한 연구)

  • 정정회;김영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4.06a
    • /
    • pp.41-46
    • /
    • 2004
  • e-learning을 통한 교육은 이제 대학 내뿐 만 아니라 중ㆍ고등학교나 기업체 등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교육비의 과대지출로 중ㆍ고등학교에서의 e-learning을 통한 교육은 이제 교육사업에 커다란 부분을 차지해 갈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기업체 또한 기업 내 인력양성을 위한 모든 교육을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는 e-learning을 통한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미 많이 이루어졌고 앞으로 더욱 많아지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사교육이나 기업 내 추가적인 인력양성 교육에서의 e-learning의 도입을 통한 교육의 성과보다는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교육이 일반 대학생들이 오프라인 수업의 보조학습이 아닌 대체학습으로서 과연 대학 내 대표적인 e-learning 수업진행을 맡고 있는 OCU를 기본모델로 현재 e-learning을 통한 OCU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학습에 얼마나 많은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오프라인에서의 수업과 e-learning을 통한 수업의 이해도와 만족도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실증분석 해 보려 한다. 이 결과로 앞으로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학습에 문제점이 있다면 분석하여 오프라인의 보조학습이 아닌 대체학습으로 나아가는데 지식전달의 효율성 측면에서 나아갈 방안에 대해서 연구해 보려 한다.

  • PDF

The effects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on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이러닝 특성이 학습자의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Heon-Chul;Goo, Bon-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5
    • /
    • pp.201-209
    • /
    • 2009
  • R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stipulate the relation between e-learning characteristics and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through the integrated study model of perspective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e-learning system quality, e-learning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motivation as mediator,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wo hundreds and twelve undergraduates in cybe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filled out questionnaires related to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content's quality, technical quality and the support of school affai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Second, Learning motivation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characteristics and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The meaningfu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o improve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we have to offer e-learners more customized various learning plans, learning contents and interaction between e-learners and e-learning systems.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Buy of Adolescents Toward e-Learning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dolescents's Conformity- (청소년들의 e-Learning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들의 동조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Suh, Mun-Shik;Cho, Sang-Lee;Noh, Hye-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1
    • /
    • pp.376-390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intention to buy e-Learning web site, expecially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dolescents's conform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bility, personalized service, easy for service search,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service revival for joining e-Learning sites affect intention to buy e-Learning web site through perceptual usefulness, except for entertainment. Second, perceptual usefulness has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buy. Third, According to conformity, personalized service has different effect on perceptual usefulness. The result shows higher in high conformity group than low conformity group. It means e-Learning companies should focus on reference group or special group to effect their marketing strategy on adolescents. Lately, preceded studies investigated using SERVQUAL or SERVERF which were suit to offline. But, this study found e-Learning factors which are suitable to online. So, the factors and the results are more useful to e-Learning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