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earning

검색결과 3,289건 처리시간 0.029초

Evolution of a New Learning Ecology: From E to M-Learning

  • Atienza, Theresita V.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698-1703
    • /
    • 2007
  • The paper focuses on a new 'learning ecology' that is evolving and the challenges that educators must confront. It looks at e-learning as not just another add-on, but a technology that is transforming our educational institutions. How teaching and learning is conceptualized and experienced to generate a determined community of inquiry that integrates social, cognitive, and teaching presence in a manner that will take full advantage of the distinctive assets of e-learning is discussed. Likewise, the possibility of mobile learning is put forward.

  • PDF

이 러닝의 질적 우수성에 대한 재고(再考)무엇이 질을 결정하는가? (Reconsidering of critical factors for high quality e-Learning)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50
    • /
    • 2005
  • 지난 수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이 러닝은 특히 기업을 중심으로 빠른 시간에 확산이 되었으며, 양적으로 팽창한 만큼 질적인 부분에 대한 의구심이 팽배한 것이 사실이다.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에 비하여 이 러닝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는 이유는 그 동안 급속도로 발전된 이 러닝이 학습자들에게 훌륭한 학습경험을 주지 못하였고, 생각보다 결과가 저조하였으며, 무엇보다 투자된 비용에 비해 효과성이 저조하였다는 지적이 많기 때문이다 . 그동안 이 러닝에서의 많은 경험은 오랜 세월동안 익숙해왔던 오프라인수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왔으며, 이 러닝에 종사하는 많은 전문가들도 대부분 오프라인에서의 교수-학습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러닝의 체제를 이해하여 왔다. Dublin&Cross (2003)에 의하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러닝에 대한 공통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들이 단지 문제없이 이 러닝에 접속하여 끝까지 기술적인 문제없이 도달하는데서 끝나지 않고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 러닝이 의도한 학습과정에 흡수되는 가를 분석해 낼 수 있는가에 따라 이 러닝의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고 한다. 본 논문은 이 러닝의 확산속도에 맞추어 질적 향상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 러닝의 현상을 분석해보고 이 러닝의 질적 발전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하는 요소들은 무엇이 있으며 이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이 러닝이 질적으로 우수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자발적 학습에서 개인특성과 주관적 규범이 e-learning 수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 Norm on User Acceptance of e-Learning for Voluntary Studies)

  • 이태환;서창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4호
    • /
    • pp.99-127
    • /
    • 2008
  • E-learning becomes an important part of education these days in Korea. Students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e-learning when the e-learning was used as a supplementary learning tool within a traditional class or a stand-alone distance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tudents' intention of e-learning acceptance for voluntary studies. In voluntary study, students have the rights to adopt the e-learning or not for their personal study. We us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the external variables of TAM to explain user acceptance of e-learning for voluntary studies and examined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user's beliefs. Research model and nine hypotheses were set up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based on investig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The theoretical model is tested with questionnaires from 420 users who accept e-learning for voluntary studies. We tested the measurement and research models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using the AMOS 5.0. Overall, the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the model as explaining acceptance of an e-learning system. Most path coefficients in the research model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usefulness and enjoyment and subject norm were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 of students using e-learning. In addition, usefulness and subject norm were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students using e-learning. The results show innovation and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perception of ease of use. Self-efficacy als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user's perception of usefulness.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의 보충 지도 과정에서 블렌디드 e-러닝과 개별화 교수체제의 효과 비교 분석 (The comparison on the learning effect of low-achievers in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 송다겸;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2호
    • /
    • pp.161-1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n low-achievers in mathematics who studied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fter school. Blended e-learning is defined as the management of e-learning using the e-study run by the education office in local.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was proceeded as follows; (1) all students are given a syllabicated learning task and a study guide, (2) students study the material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ir own p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3) the teacher strengthens the students' motivation through grading and feedback after students study a subject and solve the evaluation problem. The learning materials for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re re-edited the offline education contents provided by the blended e-learning to the level of students. The 118 $7^{th}$ grade students from the D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achievement tests before and after the study, as well as survey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lended e-learning has more positive impacts than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Third, both types utiliz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have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here is not their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이러닝 특성이 학습자의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on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 이헌철;구본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01-209
    • /
    • 2009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교육공학 관점과 정보기술 관점의 통합적 연구모형을 통해 이러닝 특성과 이러닝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시스템 품질, 이러닝 콘텐츠 특성, 상호작용 등을 독립변수로, 이러닝 학업성과를 종속변수로, 학습동기를 매개변수로 설정,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212명의 사이버 대학 재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이러닝 특성 중 기술적 품질 컨텐츠 품질 학사지원 등이 학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이러닝 특성과 학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습 동기는 양자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 향후 이러닝 이용자들의 학업성과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이러닝 학습자들의 다양한 수준과 목적을 고려한 강좌 및 강의내용이 적절히 제공되고, 학습자와 이러닝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기능이 적극 제공된다면 이러닝의 실질적 유효성을 훨씬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e-러닝 시스템 특성이 학습자 몰입과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Learning System Characteristics on Learner Committment and Satisfaction)

  • 장정주;고일상;정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1호
    • /
    • pp.99-116
    • /
    • 2008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s of e-learning system characteristics on learner committment and satisfaction by surveying the firms utilizing e-learning systems for learning. In the study, we have, first, drawn the key factors and instruments to measure e-learning system characteristics through intensive literature review. Second,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increasing learner'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Finally, we hav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r's commitment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system and learner satisfaction. We have conducted a survey on the employees having experience in using e-learning systems for learning, and collected a total of 93 responses. The results of a statistical analysis show the following: First, expression and interaction affect the learner's commi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a learner should engage in e-learning and ultimately be more committed on it when there is a coherence in desig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when the system offers various multimedia options including audio, sound, image, graphics, etc. Second, leaner's commitment leads to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Finally, our results show that the commitmen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expression, control, and trust) and learner satisfaction.

  • PDF

e-Learning에 기반을 둔 진보된 기술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vanced Technical Education based on e-learning)

  • 박춘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9-670
    • /
    • 2012
  • 디지털화된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은 교수 미디어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과거의 일방적 지식전달방식에서 탈피하여 피교육자 스스로 선택적으로 강의를 찾아다니면서 본인의 능력에 맞도록 수업을 할 수 있으며, 각종 e-Learning 컨텐츠의 활용은 물론 피드백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기술 분야의 교과목에서 도입중인 e-Learning을 중심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 및 효율적인 학습방법과 그 활성화 방안의 한 가지를 제시하였다.

  • PDF

e-Learning 서비스 이용자의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for Acceptance of e-Learning Service Users)

  • 이병찬;윤정옥;홍관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4호
    • /
    • pp.31-49
    • /
    • 2008
  • 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biggest change in educational paradigm is apparent in the shift that the emphasis of education is layed on from teachers to learners. E-learning education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is less restricted in the respect of time and places in comparison with off-line education. Therefore e-Learning is spreaded rapidly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at is needed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oretical research was performed firstly and framework of the study was constructed. After establishment of hypotheses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by the learners of e-Learning an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by the SPSS version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quality of e-Learning service influences significantly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of users. Secondly, perceived usability and perceived easines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luences significantly to the intention of reuse of users of e-Learning services. Lastly, the playfulness of the Flow theory influences significantly to the intention of reuse of users of e-Learning services.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respect of the numbers of variables, parameters, or sampl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e-Learning service by providing the acceptance factors of e-learners.

과학 교과에서 학습 동기 전략을 활용한 4E&E 순환학습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4E&E Learning Cycle Model using Learning Motivation for School Science)

  • 하태경;심규철;김현섭;박영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27-545
    • /
    • 2008
  • 본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학습동기 요소를 활용한 4E&E순환학습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모형은 동기설계와 수업설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4E&E순환학습모형은 유인(Engage), 탐색(Exlpore), 설명(Explain), 확장(Expand) 등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평가(Evaluate)와 feed-back을 통해 순환적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4E&E순환학습 모형은 수업과정 중에 평가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으로 학습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고 있어 효과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특히, 4E&E순환학습 모형은 학습동기유발전략을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실시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매력도를 높이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어 과학교육에서 매우 효과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다.

e-러닝 환경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행동양식에 관한 연구 (A Survey Study on Learning Behavioral Styles of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 윤자룡;김연진;남승권;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7-12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의 학습행동양식에 적합한 e-러닝 교수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중 e-러닝 경험이 있는 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e-러닝 학습행동양식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학습행동양식, 성별, 학년별, 그리고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른 e-러닝 학습행동양식을 검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에 차이가 있다. 영재학생은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환경의존적 자기주도학습행동형(EDSLBS)의 비율은 높았으며, 독자적 자율 학습행동형(EISLBS)의 비율은 낮았다. 이를 통해 영재학생들을 위한 e-러닝 환경을 설계할 때에는 학생들이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교수자와 항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 학년별,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영재교육 기관에서 e-러닝 교육을 할 때에는 일반적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할 때와는 달리 영재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한 후 각 영재학생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영재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소극적 학습행동형(PLBS)이 가장 많았으며, 그 비율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e-러닝 환경을 설계할 때 특히 소극적 학습행동형 학생을 가장 많이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