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sphagia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32초

비디오 투시조영 검사를 통한 높은 점도의 음식 삼킴 훈련이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wallowing training of high viscosity bolus on swallow function based o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문종훈;김희진;서진영;홍덕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909-916
    • /
    • 2016
  • 본 연구는 높은 점도의 음식을 삼키는 훈련이 뇌졸중 후 삼킴장애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종합병원에 입원 중인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9명씩 무작위 배치되었다. 실험군은 높은 점도의 음식을 반복해서 삼키는 훈련을 받았고, 대조군은 전통적 삼킴치료를 받았다. 평가는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 침습흡인척도, 미국 언어 청각협회 삼킴척도를 측정하였다. 두 그룹 모두 중재 전과 후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의 변화량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p<.05). 높은 점도의 음식을 삼키는 훈련은 뇌졸중 후 삼킴장애 환자의 삼킴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a Zero-Profile Device Concerning Reduced Postoperative Dysphagia after Single 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 Son, Doo Kyung;Son, Dong Wuk;Kim, Ho Sang;Sung, Soon Ki;Lee, Sang Weon;Song, Geun S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2호
    • /
    • pp.103-107
    • /
    • 2014
  • Objective : This study analyzed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a zero-profile anchored spacer (Zero-P) and conventional cage-plate (CCP) for single 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to compare the incidence and difference of postoperative dysphagia with both device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our experiences of single level ACDF with the CCP and Zero-P.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3, 48 patients who had single leve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were operated on using ACDF, with CCP in 27 patients and Zero-P in 21 patients. Patients who received more than double-level ACDF or combined circumferential fusion were excluded. Age, operation time, estimated blood loss (EBL), pre-operative modified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mJOA) scores, post-operative mJOA scores, achieved mJOA scores and recovery rate of mJOA scores were assessed. Prevertebral soft tissue thickness and postoperative dysphagia were analyzed on the day of surgery, and 2 weeks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 The Zero-P group showed same or favorabl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compared with the CCP group. Postoperative dysphagia was significantly low in the Zero-P group. Conclusions : Application of Zero-P may achieve favorable outcomes and reduce postoperative dysphagia in single level ACDF.

The effectiveness of moxibustion on dysphagia after stroke; A Case Series

  • Cho, Ki-Ho;Kim, Tae-Hoon;Jung, Woo-Sang;Park, Seong-Uk;Moon, Sang-Kwan;Park, Jung-Mi;Ko, Chang-Nam;Kim, Young-Suk;Bae, Hyung-Sup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7권5호
    • /
    • pp.579-582
    • /
    • 2008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oxibustion on dysphagia after stroke. We conducted his study in the Department of Cardiovascular and Neurologic Diseases (Stroke Center),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Medical Center, from May 1, 2005 to August 1, 2006. After recruiting dysphagia patients after stroke, we applied the Direct Moxibustion ($1.2\;{\times}\;1.4\;cm$) to the Chon-Jung acupoint 5 times, and assessed its effect on swallowing reflex by Swallowing Provocation Test (SPT) before and 30 min after treatment. Effectiveness of the swallowing reflex was assessed by the Latency Time of Swallowing Reflex (LTSR) which was checked from test starting to the onset of swallowing reflex. Thirty four subjects with dysphagia were treated with moxibustion. The mean of the latency time in swallowing reflex was shortened from $2.2\;{\pm}\;0.9$ to $1.5\;{\pm}\;0.5$ seconds after moxibustion, which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01). We suggest that moxibustion at Chon-Jung could be useful for dysphagia after stroke. Further study wit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ed to placebo is needed to confirm this suggestion.

연하장애를 동반한 중풍환자 3례에서의 두침 및 전침의 효과 (A Clinical Study of 3 Cases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reated by Simultaneous Scalp-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 백경민;김민지;이현의;임승민;안정조;유호룡;조현경;김윤식;설인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32-644
    • /
    • 2007
  • Objectives : Although dysphagia is a common complication in stroke patients, there are few studies or reports about its treatment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s of scalp-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Methods : Thre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hospitalized in our hospital were treated by scalp-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simultaneously every day, 5 times a week for 4 weeks. Results : All of them showed constant improvement during the four weeks. Not only did their objective measures improve, but also their subjective symptoms such as throat discomfort, sputum, swallowing disturbance etc. Conclusions : This suggests that scalp-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are quite effective when treating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More clinical data and studies are to be done for efficient application.

  • PDF

K-means 알고리즘을 통한 연하 곤란 환자의 심각도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check the severity of dysphagia patients using the K-means algorithm)

  • 최동규;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4-107
    • /
    • 2019
  • 현대인들은 과거에 비해 풍부한 먹거리와 다양한 삶의 형태를 가지게 되었으나 바쁜 생활 속에 아침을 거르게 되고, 제 시간에 식사를 하지 못하는 등의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식습관은 장기간 유지되면서 소화기관 장애로 이어지게 된다. 그에 가장 쉽게 발생하는 증상이 역류성 식도염과 삼킴 장애라고 불리는 연하 곤란이 있으며, 그 중 연하 곤란은 다양한 합병증의 형태로 발전하거나 위암, 후두암등의 전조증상으로 확인되기도 하여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요구된다. 이에 따른 진단 결과는 현재도 의사가 수동적으로 판단하며 그 결과가 제각각이다. 여기서 말하는 진단 결과는 중증 정도를 말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치료법이나 합병증을 파악할 때의 잘못된 진단으로 과한 치료나 부족한 대처로 이어지게 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하 곤란의 심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연하 곤란 진단 과정에서 식도로 이어지는 구간에 후두개곡과 이상와 부에 남는 잔여 음식물을 확인하기 위한 X-ray 이미지 처리에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 PDF

Prevalence and influencing factors of dysphagia in elderly patients

  • Son, Hyo-Jin;Park, Yu-Mi;Yim, Sun-Young;Heo, Yu-Ri;Son, Mee-Kyoung
    • 구강생물연구
    • /
    • 제42권4호
    • /
    • pp.208-21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of dysphagia among patients that visited prosthodontics department, and evaluate the difference in risks arising from oral conditions and disease in order to preliminarily intervene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f dysphagia.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patients that were aged 65 years or older who visited the prosthodontics department between September to December 2017.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t-test, $x^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75 years. Out of 300 patients, 206 patients (68.7%) had a risk of dysphagi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n-risk and risk groups, which included the number of natural teeth, total number of teeth including prosthesis, denture use, denture discomfort, number of tooth brushing, oral dryness, digestive system disease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these, oral dryness was a risk factor while the total number of teeth, including natural teeth and prostheses, served as a protective factor. More than half of the elderly patients were at risk of dysphagia. Oral dryness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and it should continuously be managed. Patients should fully recover their masticatory function by preserving the remaining teeth and compensating for the missing teeth. A dental practitioner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risk of dysphagia in elderly patients and be able to intervene and offer proper patient health care in advance through treatment guidelines and education.

중풍환자(中風患者)의 연하장애(嚥下障碍)에 전중혈 구치료(灸治療)가 미치는 효과(效果) (The Effect of Moxibustion at Chonjung(CV17, Shanzhong) on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Stroke)

  • 나병조;이준우;이차로;박영민;최창민;선종주;정우상;문상관;박성욱;조기호;김태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53-359
    • /
    • 2005
  • Objectives: Dysphagia is a common in stroke patients. Dysphagia often affects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by increasing the risk of nutritional deficits and aspiration pneumonia. Despite the proliferation of physical therapies including swallowing training, much controversy remains regarding the application and benefit of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linical effect of moxibustion at Chonjung(CV17, Shanzhong) on post-stroke dysphagia were assessed using Swallowing Provocation Test(SPT). Methods: Dysphagia subjects were selected by Dysphagia Screening Test. Swallowing function was tested by Swallowing Provocation Test(sec). Direct moxibustion was applied to the acupoint, Chonjung, five times and Swallowing Provocation Tes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30 minute. The Latency Time of Swallowing Reflex (LTSR) was checked by SPT. To find factors related with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Cold-Heat and Excess-Deficiency Diagnosis were considered. Results: A total of 42 patient were included, but two of them were excluded due to severe coughing. Overall, the swallowing reflex improved significantly. In subgroup analysis on brain lesion, non-brain stem lesion patients significantly improved. Moxibus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cold group than in the heat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Excess and the Deficiency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clinical study suggest that moxibustion at Chonjung(CV17, Shanzhong)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the dysphagia patients after stroke, especially in non-brain stem lesion and the cold diagnosed patients.

  • PDF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wallowing Training with Biofeedback on Swallowing Function and Satisfa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문종훈;김규용;원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3-7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식이수준,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삼킴장애 환자 16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8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군은 4주간 주 5회, 하루 30분의 전통적 삼킴장애 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을 30분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은 삼킴훈련을 30분 수행하였다. 평가는 삼킴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와 침습-흡인 척도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식이수준은 기능적 구강 섭취 척도를 이용하였다. 중재 후, 각 치료 만족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상사 만족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중재 전과 후로 삼킴기능과 식이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중재 후, 두 군간의 치료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식이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은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식이수준 향상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전국 요양시설과 장애인시설의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식사 실태조사 (Survey of dysphagia meal management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 이현정;최귀정;박영숙;신원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5-42
    • /
    • 2022
  • 본 논문은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식사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국 요양시설과 장애인 시설의 영양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시설의 일반 현황, 영양사 일반 사항 및 지식수준,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식사 제공 실태와 점도증진제 사용 현황, NCP 직무 표준의 업무내용 수행수준으로 이루어졌으며, 온라인 링크를 통해 총 268개의 설문지가 응답되었다. 그동안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는 점도증진제의 사용에 관한 내용이 미흡하였고, 장애인 시설의 연하장애를 겪고 있는 입소자를 대상으로 한 식사에 대한 조사 또한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영양사의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업무의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하여 최우선 개선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연하장애 환자 영양관리에 있어 업무의 우선 순위와 필요한 지원을 파악하였다. Lee와 Lim(2020)에 따르면 요양병원의 연하장애 환자의 의료 비용은 타 의료기관에 비해 높게 측정되고 있으며 연하장애 환자 중 영양불량이 동반된 경우, 재원일수와 의료 비용이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연하장애 환자들의 예후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식사 관리가 필요하며, 영양사 인력 확충과 연하장애 환자 관리에 필수적인 영양 교육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의료기관에서 연하장애 환자 영양관리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연하장애 환자의 영양관리 실태조사가 요양시설 및 장애인시설에 국한되어 있어, 추후 다양한 병원급에서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의 연하장애 유무와 양상 (Presence and characteristics of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without awareness of dysphagia)

  • 신중일;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94-300
    • /
    • 2011
  • 본 연구는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에서 연하장애의 유무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P 재활의학병원을 내원한 뇌졸중 환자들 중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11명의 환자(남자 4명, 여자 7명)들을 최종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조사,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 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neuro- 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뇌졸중 환자들 중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환자들은 모두 연하장애를 동반하였다. 동반되는 연하장애의 양상으로는 구강기의 문제들과 인두기의 삼킴반사 지연이 있으며 인지적 특성에 있어서는 NCSE 항목 중 구성력, 기억력, 유사성이 다른 항목들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와 NCSE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남력과 판단력이 삼킴반사 지연과 언어이해가 구강 내 식괴의 잔여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이 연하장애를 가질확률이 높다. 따라서 연하장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작업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뇌졸중 환자들에게 조기에 연하장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