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sgeusia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구강점막질환증상자의 성격유형검사(MBTI) (Personality Type Test(MBTI) of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Symptoms of Oral Mucosa Disease)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7-17
    • /
    • 2013
  • 구강점막질환과 성격유형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경기도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393명(평균연령 $21.2{\pm}3.1$세, 남자 184명, 여자 209명)을 대상으로 MBTI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각이상(p<0.05)과 구강 건조증(p<0.01)은 외향성(E)보다 내향성(I)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헤르페스성 구내염,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 설염, 미각이상, 구강 작열감 증후군, 구강 건조증은 직관형(N)보다 감각형(S)에서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16가지 성격유형 중 NF를 포함하는 유형은 구강점막질환 증상 발생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구강점막질환 증상 발생 시 대처 방법에 있어서는 저절로 낫기를 기다리며 그냥 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p<.0001), 이 응답자 중 헤르페스성 구내염(p<0.01)과 미각이상(p<0.05) 경험자의 경우 내향성(I)이 외향성(E)보다 많았다. 5. 성격이 예민한 편이거나 신경질적인 경우가 구강점막질환 증상 발생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구강점막질환 치료시 환자의 개별적인 성격 유형에 맞는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미각 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aste Disorders)

  • 이은진;박원규;남진우;윤종일;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341-351
    • /
    • 2009
  • 사람들은 미각을 통해 음식물의 영양분과 안전성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식욕이 자극되고 만족되므로 미각은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미각이 상실되거나 왜곡된 환자들의 경우 섭식 양상에 변화를 일으켜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 미각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며 미각의 장애 양상 또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미각은 주관적인 감각으로 다른 감각들과는 달리 객관적으로 평가하기가 까다로우며, 맛을 느끼는데 있어서 미각뿐 아니라 후각, 촉각, 온도감각, 심리 상태 등 여러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받으므로 미각 이상을 나타내는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실제 임상적 상황에서 미각장애의 평가를 위해서는 무엇 보다도 신중하고 철저한 병력청취와 임상적 증상의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미각은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다른 감각에 비해 그 동안 주목을 받아오지 못한 분야였으나,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삶의 질을 중시하게 됨으로써 최근 미각 장애로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각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미각 장애를 주소로 2005년 1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50명(남 12명, 여 38명, 평균 연령 $53.6\;{\pm}\;14.7$ 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담을 통하여 현재 미각 장애의 증상과 관련된 사항들과 그 밖의 의과적 치과적 병력, 투약, 미각 장애 외의 구강 증상들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구강 검진, 설문지 작성, 방사선 사진 촬영, 혈액검사, 타액분비율 측정 검사 등의 임상적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각 장애 환자들 중 구강 점막의 통증 혹은 작열감을 호소한 환자가 36명(72%)이었다. 이들 중 구강점막에 특별한 병소를 보이지 않는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는 18명(36%)이었다. 2. 전체 환자들 중 19명(38%)의 환자가 주관적 구강건조감을 호소하였으며, 타액분비율 측정 결과 비자극시 타액분비율이 0.1 mL/min 이하인 환자는 14명(28%)이었고, 자극시 타액분비율이 0.5 mL/min 이하인 환자는 17명(34%)이었다. 3. 미각 장애의 종류로는 미각감소(hypogeusia)가 25명(50%)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각왜곡(dysgeusia)이 18명(36%), 환상미 각 (phantogeusia)이 15명(30%), 미각과민(hypergeusia)이 10명(20%), 미각상실(ageusia)이 5명(10%) 이었다. 전체 50명 중 19명(38%)의 환자가 두 가지 이상의 미각 장애의 종류를 나타내었으며, 가장 많은 조합은 미각왜곡과 미각감소를 같이 보이는 경우였다. 4. 미각 장애의 원인이나 관련요인은 병력조사와 임상검사를 토대로 평가하였으며, 구강점막질환이나 원인불명인 경우가 각각 9명(18%)으로 가장 많았다. 그 밖에 심인성이 8명(16%), 약물이 7명(14%), 구강건조증이 6명(12%)으로 나타났으며, 이 5가지의 항목이 전체의 78%를 차지하였다.

설염의 침 치료 : 증례 보고 (Glossitis treated with Acupuncture: case series)

  • 노현민;박승구;박히준;정하민;김지원;조은희;박민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7-207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patients suffered from glossitis.Methods : Total five Korean patients suffering from glossitis, 60 and 37 years old male patients, 61, 71 and 49 years old female patients were participated. Each patient received acupuncture treatment(heart hangyeok) twice to five times in same part of the body.Results : We attained meaningful results which show recovery from pustules, ulcers, redness and swelling in visual symptoms and the relief of acute and chronic pain, recovery from paraesthesia, and dysgeusia in subjective symptoms.Conclusions : In this study, acupuncture treatment(heart hangyeok) was effectively controlled inflammation status of glossiti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ustatory Profiles in Patients with Subjective Taste Complaints

  • Kim, Seo-Yeong;Byun, Jin-Seok;Jung, Jae-Kwang;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4권3호
    • /
    • pp.103-111
    • /
    • 2019
  • Purpose: Patients with taste complaints presenting with various abnormal perceptions and alterations in gustatory function are often encountered in dental clinics. Since taste perception is thought to be influenced by numerous factors including neur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gustatory profiles of patients complaining of taste abnormalities should be very different. However, the gustatory profiles based on the clinical subtypes of taste complaints have not been fully studied. This study aimed to better understand the gustatory profiles depending on the clinical subtypes of taste complaints. Methods: Clinical data from 169 patients with complaints of altered taste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to analyse their clinical and gustatory profiles. These complaints were subdivided into hypergeusia, hypogeusia, and dysgeusia for each taste quality according to the clinical types of these complaints. The gustatory profiles were then established by analysing the detection and recognition thresholds for each taste quality depending on the clinical subtypes of taste complaints. Results: Clinical analysis revealed that patients with taste complaints had widely diverse clinical profi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with taste complaints in the prevalence rates of symptoms like dry mouth, tongue coating, and burning sensation. While hypogeusia (76.3%) was the most frequent type of taste complaint, it was revealed that the taste thresholds were not always consistent with the patient's description of gustatory symptoms. Conclusions: Patients with taste complaints exhibited diverse clinical profiles with sex difference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the taste complaints, the quantitative gustatory testing methods can be valuable to differentially evaluate the presence and intensity of altered taste in patients with these complaint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Tongue-Related Diagnoses of Patients with Tongue Symptoms

  • Park, Jae-Man;Kim, Ji Hoo;Park, Hyun-Jeong;Ahn, Jong-M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3호
    • /
    • pp.109-11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tongue-related diagnoses in patients with tongue symptoms. Methods: The subjects were patients who visited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tongue symptoms from January 1, 2021, to December 31, 2021. We analyzed 491 patients (139 males and 352 females) with tongue-related diagnostic code names in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KC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Dentopinformation Technology Co., Seoul, Korea). Results: On analyzing the diagnoses of tongue diseases using the KCD, glossopyrosis (44.8%) and painful tongue (15.2%) showed high rates. Of the 491 patients, 139 (28.3%) were males and 352 (71.7%) were females, and the average age was 58.1 years. As for systemic diseases, there were many patients with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27.0%) and endocrine, nutritional, and metabolic diseases (13.7%). Tongue symptoms were discomfort in 58 patients, pain in 329 patients, paresthesia in 10 patients, burning sensations in 222 patients, dysgeusia in 25 patients, dryness in 110 patients, fissures in 57 patients, and other symptoms in 72 patients. Areas with tongue symptoms were the anterior area in 102 patients, the lateral area in 140 patients, the posterior area in 12 patients, the dorsal area in 140 patients, the ventral area in 42 patients, and which area in 126 patients overall.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nd oral candidiasis had significantly more tongue symptoms. Conclusions: Patients with tongue symptoms exhibited a variety of tongue diseases. Tongue symptoms were more common in women over 50 years of age and were frequently see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nd oral candidiasis.

Long COVID의 주요 증상에 대한 한의학적 고찰과 치료 제안 (Korean Medicine Review and Treatment Suggestions for the Main Symptoms of Long COVID)

  • 황요순;이은아;김형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55-162
    • /
    • 2022
  • Even after testing negative for COVID-19, some patients continue to struggle with a variety of symptoms such as fatigue, shortness of breath, gastrointestinal problems and neurological problem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ed long COVID (Post COVID-19 conditions) as "A disease occurs in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probable or confirmed SARS-CoV-2 infection, usually 3 months from the onset of COVID-19 with symptoms that last for at least 2 month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an alternative diagnosis." As a possible pathological mechanism of long COVID, three hypotheses are proposed: the persistence of the infectious state due to the residual virus, the persistent inflammatory response, and the autoimmune response. The main symptoms of long COVID are shortness of breath (dyspnea), abdominal pain and dyspepsia, fatigue, cognitive problems (brain fog), anosmia and dysgeusia, and chest pain, palpitations and tachycardia. In the Chinese guidelines, COVID-19 patients were divided into mild, moderate, severe, and recovery, and prescriptions with effective therapeutic effects were summarized to encourage combined treatment of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Globally, only symptomatic therapy is recommended for long COVID, but a specific treatment has not yet been proposed. Recently, morbidity code for post COVID-19 conditions was created, and it is planned to announce guidelines for long COVID treatment and management in the first half of 2023. In line with this trend,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needs to make efforts to prepare treat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long COVID.

구강건조증에 대한 필로카핀 구강양치액의 효과 (Effect of Pilocarpine Mouthwash on Xerostomia)

  • 김지현;박주현;권정승;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1호
    • /
    • pp.21-24
    • /
    • 2011
  • 구강건조증이란 주관적인 구강 내 건조감으로 정의되며, 이는 약물, 타액선 질환, 방사선 치료, 쉐그렌 증후군, 심리적 요인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다. 구강 건조증 환자 중 현저한 타액선 기능 감소가 존재하는 경우 구강캔디다증,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미각변화, 구취 등의 병발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구강건조증의 치료로는 우선적으로 구강건조를 유발하는 원인요소를 제거하거나,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증요법이 주가 되며 실제로 타액 분비 기능이 감소된 경우 이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와 타액분비를 자극할 수 있는 약물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이 중 타액분비를 촉진시키는 약물인 필로카핀은 구강건조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발한작용, 비뇨기 및 위장관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유도,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대한 위험 등의 부작용이 있어 천식, 만성폐질환, 심혈관계 질환자에게는 주의 깊은 사용이 요구되며, 특히 조절되지 않는 천식환자의 경우 필로카핀의 절대적 금기증으로 사용이 금지된다. 이처럼 구강건조증 치료에 있어 필로카핀은 부작용으로 인해 전신적인 투여에 많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필로카핀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소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인 필로카핀 양치액을 이용하여 치료한 증례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한 모설의 치료 ($CO_2$ Laser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the Hairy Tongue)

  • 정다운;조은애;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97-101
    • /
    • 2013
  • 모설(hairy tongue)은 혀의 사상유두(filiform papillae)가 과도하게 신장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혀의 배면후방 1/3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혀의 측면과 첨부에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섭취하는 음식물과 색소유발 박테리아 등에 따라 백색에서 갈색, 검은색까지 다양한 색의 착색을 보인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환자들은 주로 심미적인 문제로 병원을 찾으며, 드물게 오심, 구취, 미각이상, 불쾌한 느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구강위생 관리 소홀, 구강 내 세균총의 변화, 감염, 방사선치료, 항생제, 면역 억제제 등의 사용, 과도한 음주, 흡연, 타액분비 감소 등이 소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임상 소견이 매우 전형적이므로 육안으로도 진단이 충분히 가능하며, 생검은 필요하지 않다. 모설의 치료는 기본적인 유발요인들을 찾아서 제거해 주며, tongue cleaner 등을 이용해 혀를 부드럽게 닦아주도록 교육하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keratolytic agent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설 치료에 외과적 술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유발 요인 제거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호전이 없는 모설 환자에서,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Trigger point를 이용(利用)한 구안와사 환자(患者) 10례(例)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Clinical investigation studies on 10 cases of patient with Bell' palsy using Trigger point treatment)

  • 정영돈;이준구;김영일;박태균;신영일;황재연;이현;이병렬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5-165
    • /
    • 2002
  • From July 1th 2001 to October 31th 2001, the Clinical investig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10 cases of patient with Bell' palsy using Trigger point treatment group, who had been treated in Han-seung Oriental Medical Clinic. The results were like below: 1. The distribution of sex : Male were 4cases. female were 6case and the female to male ratio was 1.5 : 1. 2. The distribution of contributing factor : Unknown reason was most predominant 4 cases, and then were revealed to labor too hard. mental stress(3 cases), trauma common cold(1 case) in turn. 3. The distribution of perid to fall ill : Under a week was the most number 6cases, and then were revealed a week under two weeks(3 cases), over two weeks(1 case) in turn. 4. About period of treatment : The Trigger Point treatment group is shorter than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5. The distribution of grade on admission in descending order : Gr I was the most number and then GrII, GrIII in turn. 6. The distribution of clinical symptoms on admission : Mastoid pain was the most number 9 cases and then lacrimal gland disorder 8 cases, dysgeusia 4cases, hyperacusis 2 cases, the others 2 cases in turn. 7. About effect of treatment : The Trigger point treatment group is more excellent than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8. The more patient age is young, the more effect of treatment was excellent, had nothing to do with both groups. 9. The more perid to fall ill is short, the more effect of treatment was excellent. had nothing to do with both groups. 10. About period of improved frontal belly : The Trigger point treatment group is more excellent than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