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adaptation query flood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Ad Hoc Network에서 Neighbor Topology을 고려한 Dynamic Adaptation Query Flooding (Dynamic Adaptation Query Flooding Considering Neighbor Topology in Ad Hoc Networks)

  • 이학후;안순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691-693
    • /
    • 2004
  • Mobile Ad hoc network은 stationary infrastructure의 도움 없이 이동 노드들이 필요 시 multi-hop wireless links network 형태를 구성하여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network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의 개발이 중요한 issue인데 최근에는 routing overhead가 적은 on-demand 프로토콜이 주목을 받고 있다. On-demand 프로토콜은 새로운 route을 구성하기 위해서 query packet을 broadcasting하게 되는데, 특히 노드들의 mobility가 많은 mobile ad hoc network(MANET)의 경우에는 더욱더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blind broadcasting은 neighbor 노드들 간의 radio transmission region overlap에 의해 redundancy, contention, collision 같은 broadcast storm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논문은 on-demand 프로토콜의 broadcast storm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eighbor Topology을 고려 한 Dynamic Adaptation Query flooding scheme을 제시한다. 또한 Dynamic Adaptive Query flooding scheme은 broadcast storm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network의 congestion을 감소시켜 data packet의 성능 향상에도 기여 할 것이다.

  • PDF

Ad Hoc Network에서 라우팅 성능 향상을 위한 이웃 노드 정보를 이용한 적응성 경로 구성 전송 방식 (Adaptive Query Flooding using Neighbor Information for Routing Performance Enhancement in Ad Hoc Networks)

  • 이학후;강상욱;안순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6호
    • /
    • pp.673-684
    • /
    • 2004
  • 무선 이동통신이 실생활에 널리 보편화되면서, 무선 이동 기술은 휴대 무선 통신 장비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와 한께 통신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무선 이동통신 기술 중 특히 기존의 통신 인프라의 도움없이 임시적으로 무선 이동 노드들끼리 네트워크론 구성하는 mobile ad hoc network (MANET)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다. 더욱이, ad hoc network의 특성을 고려할 때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의 설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라우팅 프로토콜 중에서 on-demand 프로토콜이 낮은 라우팅 부하로 주목을 받고_ 있다. 그러나, on-demand 프로토콜은 경로 구성을 위해 경로 구성 패킷(query packet)을 broadcasting 하는 방식, 즉 flooding 방식, 을 사용하여 많은 수의 경로 구성 패킷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flooding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또한 broadcast storm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broadcast storm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ynamic Adaptation Query flooding Using Neighbor Topology(NT-DAQ) 방식을 제안판다. 경로 구성 과정에서, 각 이동 노드들은 이웃 노드들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경로 구성에 참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제안 방식은 경로 구성 패킷의 수를 최소화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 시진 수 있으며, 또한 시험을 통해 제안한 방식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