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sts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5초

서울시 지하철 구내의 공기중 분진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irborne Dust and Asbestos Concentrations in Subway Stations in Seoul Area)

  • 백남원;박두용;장익선;신용철;이정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
    • /
    • 1988
  • Airborne dust and asbestos fiber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 subway stations located in Seoul area. Two stations, such as Eulchiro 4-Ka Station of Line #2, constructed during a period of 1980-1984 and Hyehwa Station of Line #4, opened in 1985,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Daily time-weighted average (TWA) concentrations of airborne dusts from 07:00 to 20:00 hours in Line #2 and Line #4 were 0.43$\pm$0.08 mg/m$^3$ and 0.37$\pm$0.12 mg/m$^3$, respectively. Thus, the dust levels in Line #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s in Line #4 (p < 0.05). 2. Dust levels in the morning (07:00-11:00 hours), noon (11:00-16:00 hours) and in the evening (16:00-20:00 hours) in Line #2 were 0.47$\pm$0.17 mg/m$^3$, 0.37$\pm$0.08 mg/m$^3$, and 0.46$\pm$0.07 mg/m$^3$ respectively. Thus, dust levels in the morning and evening (i.e., during rush hou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levels in the noon (p < 0.02). However, there was no such difference in dust levels by time in Line #4. 3. Airborne total dust concentrations were well below the occupational health standard of 10 mg/m$^3$, however, the levels were exceeding the ambient air standard recommended by the Korean Environment Administration. 4. All of airborne asbestos fiber concentrations were equal to or below 0.005 fibers/cc. The levels are within both occupational health standards and U.S. EPA criteria. 5. A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improvements of cleaning methods (such as use of vacuum cleaning instead of brushing) and the existing ventilation (such as more air change and filtration of supply air) for a reduction of dust levels. 6. It is recommended that routine monitoring of airborne dusts and asbestos fibers be conducted because more dusts and asbestos fibers can be produced in the air due to the deterioration of facilities by age and water damage in future.

  • PDF

2018년 4월 6일과 15일 황사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in April 6 and 15, 2018, Korea)

  • 정기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3-111
    • /
    • 2018
  • 황사(아시아 먼지)의 광물학적 특성에 대한 장기 관측의 일환으로, 2018년 4월 6일과 15일 황사 현상시에 채집한 두개의 황사시료에 X선회절(XRD)과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XRD 분석결과, 두 시료는 시기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광물학적 특성은 유사하다. 층상규산염 점토광물의 총함량이 62 wt% 정도이었으며, 이 중에서 일라이트-스멕타이트류 점토광물의 함량이 55% 정도로 가장 높았고, 녹니석과 캐올리나이트가 각각 3% 및 4% 정도씩 함유되어 있었다. 그 외 비층상 규산염광물로서 석영 18%, 사장석 9%, K-장석 3%, 방해석 3%, 석고 2-4%가 함유되어 있었다. 개별입자의 SEM 화학분석으로 구한 황사의 광물조성도 XRD 정량분석결과와 부합한다. 황사의 주요 광물인 일라이트-스멕타이트류 점토광물은 $1{\mu}m$ 이하 초미세입자들로서 응집체 입자를 형성하거나, 석영, 사장석, K-장석, 녹니석, 방해석 등의 큰 입자들을 피복한다. 방해석은 종종 나노크기의 섬유상 집합체로, 그리고 석고는 납작한 자형결정으로 점토와 함께 황사입자를 형성한다. 2018년 4월 황사시료의 광물학적 특성은 2012년 시료와 비교하면 점토함량이 높지만, 다른 예년의 시료들과 유사하다.

천연섬유분진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iton Properties of Natural Fiber Dust)

  • 이창우;김정환;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10
    • /
    • 1999
  • 천연섬유분진의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국내 방적공장의 집진기에서 직접 포집된 천연섬유분진을 열시차 및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분해 특성을 조사하였고, 자연발화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의 입도분포 및 시료량에 따른 천연섬유의 연소특성을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또한 자연발화 시험기 내부의 공기흐름에 따른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송풍과 무풍 상태에서의 자연발화 또는 훈소특성을 조사하였다. 열분석 결과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발열개시온도가 현저히 낮았고 발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천연섬유 분진은 시료량과 입도가 증가할수록 발열개시온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연소형태는 모두 훈소 상태를 보였다. 시험기 내부가 송풍상태일 때 보다 무풍상태로 실험하였을 때 발열개시온도가 약간 낮으며, 발열량도 크게 나타났다.

  • PDF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유연탄 분진의 폭발특성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Coal Dusts in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 김원회;이승철;승삼선;김진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57-263
    • /
    • 2008
  • 시멘트제조 공정에 사용하는 유연탄 분진의 폭발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의 열적특성과 폭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열적특성은 열중량 분석기(TGA)와 시차주사 열량계(DSC)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무게 감량과 발열량을 측정하였다. 또 입도별 발화온도와 비표면적을 합께 조사하였다. 하트만식 폭발실험 장치를 직접 제작하여 분진의 농도를 변화시켜가며 분진폭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TGA, DSC 및 발화온도 분석결과 실험범위의 입도에 따른 열적 특성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비표면적은 입도가 작을수록 큰 것을 확인하였다. 폭발실험에서 폭발확률은 입도가 감소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입도별 최저 폭발하한계 농도를 함께 구하였다. 시멘트 제조공정에 표준적으로 사용하는170/200mesh에서 최저 하한계 농도는 $0.3mg/cm^3$이었으며 $0.9mg/cm^3$이상에서는 100% 확률로 폭발이 발생하였다.

서울 일부지역의 도로변 대기중 분진 및 납 농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SP and Pb Concentration in Atmosphere in Seoul)

  • 김지선;박석환;정문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21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TSP, Pb and street dust Pb in Kuro, Chongro, Namsan Tollgate and kwachun from August 15 to September 15, 1990.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verage airborne TSP concentrations in chongro and Kuro were 460$\mu$g/m$^{3}$ and 440$\mu$g/m$^}3}$, respectively, and exceeded the Korean air quality standards of 300$\mu$g/m$^{3}$. Average airborne TSP concentrations in Namsan Tollgate and Kwachun were 270$\mu$g/m$^{3}$ and 80$\mu$g/m$^{3}$, respectively, and didn't exceeded the Korean air quality standards of 300$\mu$g/m$^{3}$. The airborne TSP concentrations between Seoul area(Kuro, Chongro and Namsan Tollgate) and Kwachun a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2. Average airborne Pb concentrations in Chongro, Kuro, Namsan Tollgate and Kwachun were 1.07, 0.55, 0.84 and 0.16$\mu$g/m$^{3}$, respectively. All the airborne Pb concentration at four area were below the Korean air quality standards of 1.5$\mu$g/m$^{3}$. The airborne Pb concentrations between Seoul area (Kuro, Chongro and Narnsan Tollgate) and Kwachun a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3. Pb contents in street dusts in Kuro, Chongro, Namsan Tollgate and Kwachun were 9.30, 15.25, 18.17 and 3.16$\mu$g/g, respectively. The Pb contents in street dusts between Seoul area(Kuro, Chongro and Namsan Tollgate) and Kwachun a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4. The airborne TSP and Pb concentrations were highly correlated(r=0.68), but the Pb concentrations in street dusts and atmosphere were poorly correlated(r=0.22).

  • PDF

마그네슘의 폭발특성에 미치는 평균입경의 영향 (Effect of Mean Diameter on the Explosion Characteristic of Magnesium Dusts)

  • 한우섭;이수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3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Mg)분진의 폭발특성에 미치는 평균 입경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L분진 폭발시험장치와 10 kJ의 에너지를 갖는 화학 점화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Mg분진은 평균입경이 서로 다른 3가지 시료(38, 142, $567{\mu}m$)를 대상으로 분진농도를 $2250g/m^3$까지 조사하였다. Mg분진의 폭발하한농도(LEL)는 평균입경 38, $142{\mu}m$에 있어서 각각 30, $40g/m^3$ 이 얻어졌다. LEL은 입경 증가에 의해 감소 경향을 나타냈는데 Mg분진은 입경이 증가할수록 폭발 확률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최대폭발압력($P_m$)과 폭발지수($K_{st}$)는 입경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지만, 평균입경 $567{\mu}m$의 Mg분진의 경우에는 5 kJ의 착화에너지에서는 폭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분진발생지역의 현장실측과 분석을 통한 위험성 평가 (A Risk Assessment in According to Spot Measures and Analysis in Dust Generation Area)

  • 송길목;김영석;김종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03-110
    • /
    • 2008
  • 전기안전 측면에서 전기설비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국내규정에 맞도록 개선하기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분진발생지역에서 현장실측과 분석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분진은 절연재료 표면에 부착되어 사고의 원인이 된다. 분진에 의한 전기사고의 메커니즘에 있어서 분진이 전기설비에 쌓이던, 누설전류가 흐르고, 표면이 탄화된다. 이후 줄열에 의해 전기화재가 발생한다. 실태조사결과, 보호 장치 또는 분전함에서 분진이 발견되었으며, 포집된 분진은 포집량과 도전율이 각각 달랐다. ICP-AES에 있어서 대체로 나트륨성분이 검출되었고 고무재생공장의 경우에는 아연과 칼슘성분이 검출되었다. 하수처리장에서는 나트륨, 마그네슘, 철, 칼슘, 알루미늄 등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현장실측과 분진의 분석은 분진발생지역에서의 전기적 위험성 평가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중기 플라이스토세 전이기 전후 북태평양 중앙 해역 퇴적물에 기록된 풍성 퇴적물 입자 퇴적 양상 변화 복원 (Reconstruction of Changes in Eolian Particle Deposition Across the Mid-Pleistocene Transi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Pacific)

  • 이소정;서인아;형기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275-288
    • /
    • 2019
  • We investigated flux, grain size distribution, Nd-Sr isotope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and trace metal composition (REEs and Sc) of inorganic silicate fraction (ISF, mainly Asian dust with an unrestricted amount of volcanic materials) deposited during 600~1000 ka across the Mid-Pleistocene Transition at core NPGP 1401-2A (32°01'N, 178°59'E, 5205m) taken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Pacific. Our results reveal about a 2-fold increase in ISF flux after 800 ka, which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La/Sc and a decrease in mean grain size. Asian dusts are finer than volcanic materials and La/Sc increases with the enhanced contribution of Asian dusts. Thus, increased flux after 800 ka can be explained by the increased contribution of Asian dusts relative to volcanic materials, likely due to an intensified Westerly Jet (WJ) and the drying of the Asian continent after the MPT. Mean grain size of ISF varies systematically in relation to glacial-interglacial cycles with a decrease during glacial stag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ults in the study area. Such a cyclical pattern is also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Asian dusts over volcanic components in glacial stages due to intensified WJ and drying of the Asian continent.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climate changes that had occurred across the MPT were similar to those of interglacial to glacial transitions at least in terms of the dust budget. Different from the Shatsky Rise, however, compositional changes associated with glacial-interglacial mean grain size fluctuations are not observed in Nd-Sr isotope ratios and trace element composition in our study of the Hess Rise.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location of the study site far (> 4,000 km) from the volcanic sources. The volcanic component at the study site comprises less than 10% and varies within 3% over glacial-interglacial cycles. Such a small variation was not enough to imprint geochemical signals.

부유 및 퇴적의 분체 조건이 화재폭발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wder Condition on the Fire and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and Deposited Dusts)

  • 한우섭;서동현;최이락;임진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229-236
    • /
    • 2022
  • 동일 분체특성의 분진이 평균입경, 농도, 분진조건(부유 또는 퇴적) 변화에 따른 화재폭발 위험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L분진폭발시험장치, 열중량분석장치, 연소속도시험장치(UN시험법)를 사용하였다. 4종 분진(Sugar, Mg, Al, Zr)의 입경이 서로 다른 8개 분진 시료에 대하여 부유 분진의 폭발특성과 화염전파속도(FPV), 그리고 퇴적분진의 화염확산속도(FSV)를 조사하였다. 부유 분진 조건에서 Mg 및 Al 분진은 입경이 감소하면 폭발 위험성이 증가하였지만, Sugar는 입경 변화에 따른 폭발 위험성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부유 분진의 화염전파속도(FPV)는 마이크로 범위에서의 입경 변화보다 마이크로에서 나노로 입경이 감소하면 크게 증가하였다. 퇴적층의 화염확산속도(FSV)는 수평면(기울기 0°)보다 경사면(기울기 30°)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경사면(기울기 30°) 퇴적층 조건에서는 상방 전파가 하방 전파보다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