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ing index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초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Unbongsan in the basalt areas, Korea)

  • 김중현;박환준;이경의;김진석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71-387
    • /
    • 2020
  • 본 연구는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56속 364종 7아종 33변종으로 총 40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운봉산은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신갈나무 - 소나무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운봉산에서 새로이 확인된 식물은 193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은 6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40분류군이며, 귀화율 9.9%로 나타났다. 운봉산은 다양한 식물들과 지형 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화강암, 현무암 애추, 건조한 능선, 계곡, 웅덩이, 습지, 하천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종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Methodology effects on determining the energy concentration an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components in diets fed to growing pigs

  • Huang, Chengfei;Li, Ping;Ma, Xiaokang;Jaworski, Neil William;Stein, Hans-Henrik;Lai, Changhua;Zhao, Jinbiao;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315-1324
    • /
    • 2018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diet formulations: F1 (Two complicated basal diets containing different crude protein levels plus tested feedstuff) vs F2 (A simple corn soybean meal [SBM] basal diet plus tested feedstuff) combined with total collection (TC) or chromic oxide ($Cr_2O_3$) marker or acid-insoluble ash (AIA) marker method, and freeze-dry or oven-dry (OD) technique on estimation of nutrient digestibility in diets fed to growing pigs. Methods: In F1, twelve barrows were allocated to two $6{\times}4$ Youden Squares. The treatment diets included a high protein basal (HPB) diet, a low protein basal (LPB) diet, a corn diet and a wheat bran (WB) diet formulated based on the HPB diet, and a SBM diet and a rapeseed meal (RSM) diet formulated based on the LPB diet. In F2, eight barrows were allocated to two $4{\times}4$ Latin Squares. The treatment diets included a corn basal diet, a SBM basal diet formulated based on the corn diet, and a WB diet and a RSM diet formulated based on the SBM diet. Results: Concentration of digestible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an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ash,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determined by $Cr_2O_3$ marker method were greater than those determined by TC and AIA marker methods in HPB, LPB, and RSM diets formulated by F1 and in corn diet formulated by F2 (p<0.05). The DE values in WB and both DE and ME values in SBM and RSM estimated using F1 were greater than those estimated using F2 (p<0.05). Conclusion: From the accuracy aspect, the AIA marker or TC method combined with OD technique is recommended for determining the energy concentr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components in diets fed to growing pigs.

부추의 증숙처리가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 blanching pretreatment on quality of spray-dried powders prepared from pressed juice of garlic chives)

  • 정헌식;김한수;김동섭;이영근;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85-391
    • /
    • 2015
  • 부추를 활용한 가용성 분말 제조에 적합한 공정 개발의 일환으로, 부추원료의 증숙처리 유무와 착즙액의 분무건조 부형제 종류에 따른 분말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부추를 세척, 탈수, 절단 후 증숙처리($100^{\circ}C$, 3분)하거나 무처리한 다음 착즙하여 액을 얻고 여기에 부형제로 dextrin(DE=10)이나 ${\beta}$-cyclodextrin를 5% 첨가하고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각각 제조하였다. 부추의 증숙처리는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L^*$값은 높게 하였지만 $-a^*$값, $b^*$값, $C^*$값, $h^o$값은 낮게 하는 효과를 보였다. 분말의 수분함량과 수용성지수는 증숙처리와 부형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입자크기는 증숙처리와 dextrin 첨가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말의 클로로필, 총페놀, 비타민 C 함량은 증숙처리구보다 무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부형제 종류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증숙처리에 의해 낮아지며 무처리구에서는 ${\beta}$-cyclodextrin 첨가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증숙처리구의 관능적 색, 냄새, 종합 기호도는 무증숙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부형제의 영향은 크게 보이지 않았다. 이로써 부추 착즙액의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은 착즙 전 증숙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추 고유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유지에는 무처리가, 관능적 기호도를 고려할 경우에는 증숙처리가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Replacing Sucrose with Various Sugar Alcohols on Quality Properties of Semi-dried Jerky

  • Jang, Sung-Jin;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Kim, Yong-Jae;Ham, Youn-Kyung;Lim, Yun-Bin;Jeong, Tae-Jun;Kim, Si-You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22-629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placing sucrose with sugar alcohols (sorbitol, glycerol and xylitol)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emi-dried jerky. Total 7 treatments of jerkies were prepared as follows: control with sucrose, and treatments with 2.5 and 5.0% of sucrose replaced by each sugar alcohol, respectively. Drying yield, pH, water activity, moisture content, shear force,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MFI),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 sugar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were evaluated. Xylitol slightly decreased the pH when compared to the other sugar alcohols (p>0.05). The water activity of the semi-dried jerk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glycerol and xylitol (p<0.05). The moisture content of semi-dried jerky containing various sugar alcoho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while replacing sucrose with glycerol yielded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The shear force of semi-dried jerky containing sugar alcoho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sorbitol and glycerol treatments, but that replacing sucrose with 5.0% xylitol demonstrated the lowest shear force (p<0.05). The TBARS values of semi-dried jerkies with sugar alcohol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p<0.05). The sugar content of the semi-dried jerkies containing sorbitol and glycerol were lower than the control and xylitol treatment (p<0.05).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the 5.0% xylitol treat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ensory evaluation (p<0.05). In conclusion, semi-dried jerky made by replacement with sugar alcohols improv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hile xylitol has applicability in manufacturing meat products.

열풍건조 황색 양파분말과 자색 양파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Hot-Air Dried Yellow and Red Onion Powder)

  • 이정옥;이성아;김경희;최종진;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42-347
    • /
    • 2008
  • 황색 양파와 자색 양파의 소비 촉진을 위한 양파분말 가공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열풍건조 양파분말을 제조하여 물리적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황색 양파분말 및 자색 양파분말을 1, 3, 5, 10% 첨가한 양파쿠키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반성분 측정 결과 황색 양파분말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이 자색 양파분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말의 색도는 양파 고유색 때문에 황색 양파분말에서 L값, b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색 양파 분말은 a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갈변도 측정결과에서는 황색 양파분말의 갈변도가 자색 양파분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측정 결과에서는 황색 양파분말의 페놀함량이 자색 양파분말보다 높았고, 총당 함량은 자색 양파분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반죽의 pH는 양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밀도는 대조군에 비해 양파분말 첨가군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성 후 쿠키의 경도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해 양파분말 첨가군이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색 양파분말 첨가군의 경도가 황색 양파분말 첨가군의 경도보다 단단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쿠키의 관능적 특성은 자색 양파분말 3% 첨가군이 양파 냄새, 양파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뒤를 이어 황색 양파분말 5% 첨가군이 좋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열풍건조 황색 양파분말의 경우 5% 첨가군, 열풍건조 자색 양파분말의 경우 3% 첨가군이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증숙 횟수에 따른 고려인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during Repeated Steaming Process)

  • 홍희도;김영찬;노정해;김경탁;이영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22-229
    • /
    • 2007
  • 국내 인삼은 대부분이 수삼 또는 백삼, 홍삼 등의 1차 가공제품으로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서는 인삼의 효능 및 성분 강화를 위하여 발효, 가압처리, 고온처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5년근 수삼을 이용하여 9회의 증숙과 열풍건조를 반복 수행하면서 중량, 색도, 갈변도, 수분, 당류, 산성다당체, 총 페놀화합물, 조사포닌 및 주요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분의 경우 초기 73.4%에서 3회 처리 시 21.2%까지 감소하고 이후 9회 처리 시 13.7%까지 감소하였다. 최종 중량수율은 약 21.0%, 건물기준 최종수율은 79.0%이었다. 색의 경우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갈변도는 3회 증숙처리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총당은 초기 55.4%에서 9회 처리 시 38.6%로 감소한 반면 산성다당체 함량은 4.4%에서 6.8온까지 증가하였다. 총페놀함량은 초기 0.4%에서 3회 처리 시 0.9%로 9회 처리 시에는 3.6%까지 증가하였다. 물포화부탄올 추출물 즉 조사포닌 함량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주요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ginseno-side $Rb_1$, $Rb_2$, $Rg_1$, Re 등의 함량은 감소하고 $Rg_2$, $Rh_1$, $Rg_3$ 등의 홍삼 특이성분 함량은 5번 증숙처리 이후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UNEP와 MDM 기후지수의 추세 및 변동 특성 분석: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rend and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UNEP and MDM climate indices: the case study of Chungcheong-do province)

  • 조현곤;최경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999-1009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기상 현상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기후조건을 평가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사전에 관리하고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도 지역의 기후지수를 산정하여 지역 기후의 추세변화와 최근 20년간 기후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10개 종관기상관측소의 1973년-2020년 동안의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연도별, 월별 UNEP-MP 지수, UNEP-PM지수과 MDM지수를 산정하고 K-S 검정 통한 정규성 분석, Pearson기법과 Spearman기법을 적용하여 기후변화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충청남도 지역이 충청북도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습한 기후로 평가 되었으며 연 기후지수 추세 변화는 청주, 충주 등의 지점에서 건조 기후 추세를 보인반면 서산, 부여 등의 지점에서는 습윤 기후 추세를 보였다. 월별 추세변화 분석 결과 여름과 가을에 습윤 기후 경향을 보인 반면 봄과 겨울에는 건조 기후 경향을 보였다. 과거 10년(2001년-2010년)과 최근 10년(2011년-2020년) 동안 기후지수의 비교에서는 과거 10년보다 최근 10년 동안에 평균 기후지수가 감소하였으며 추세 변화 또한 건조기후 추세를 보였다.

건조기 소나무 수관부 부위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Crown of Pine Trees in the Drying Season)

  • 권혁;이종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46
    • /
    • 2023
  • Pine trees, which account for 23% of the forested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highly vulnerable to fire in comparison to broad-leaved trees due to the presence of consistent water tube sections throughout the year and resin that is composed of approximately 20% oil. In addition, the pattern of forest fires is determined by weather, topographic conditions, and fluctuation in moisture content. Therefore, when fire breaks out in pine tree forests during the dry season (January to March), it is difficult to extinguish, and it quickly spreads.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s, pine cones, and pine branches in the water tube sections of living pine tre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moisture content as per the ISO 5660-1. The monthly moisture content was analyzed from January to March, and it was found to be the lowest in March, with 53.6% for pine needles, 51.9% for pine branches, and 10.9% for pine cones. In particular, pine cones were more vulnerable to fire as compared to pine needles and pine branches because their moisture content was more than five times lower than that of pine needles and branches. The ignition time, which affects the speed of flame propagation, was the most rapid in March, and the fastest ignition time was for pine cones, at 19 seconds, followed by 34 seconds for pine needles, and 256 seconds for pine branches. The pine branches were the last to be ignited due to the effect of density,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specific gravity of the specimen. The peak heat release rate, which is a measurable index of fire intensity, was analyzed for pine cones and found to be 184.28 kW/m2 , while the mean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was 19.79 MJ/kg, and the total heat release rate was 39.7 MJ/m2 , and these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of pine branches and pine needles. Thus, we determined that the flame propagation speed and fire intensity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risk of fire to the water tube section of pine trees. It is suggested that because of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pine cone in March, that is when the forest is most vulnerable to fires.

$C_5$계 수소불화에테르를 기반으로 하는 배합 세정제의 CFC 대체세정제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_5$ Hydrofluoroether-based Formulated Cleaning Agents as CFC-Alternatives)

  • 민혜진;배재흠;장윤상
    • 청정기술
    • /
    • 제16권3호
    • /
    • pp.172-181
    • /
    • 2010
  • CFC 세정제의 제3 세대 대체세정제로 평가되는 수소불화에테르(hydrofluoroether; HFE)는 불소분자를 함유하고 있어 표면장력이 낮고 습윤지수가 커서 미세입자제거와 불소계 오염물 제거에 우수하고 인화점이 없고 건조성이 뛰어난 물성을 가지고 있지만, 유기물의 용해력은 떨어져 유기 오염물 제거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C_5$계 HFE인 HFE-7100 [$CF_3CF_2CF_2CF_2OCH_3$]와 HFE-mec-f[$CF_3CHF=CF_2OCH_2CF_3$]에 유기물질의 용해력이 비교적으로 뛰어난 isopropyl alcohol (IPA), ethyleneglycol monoether (EG), propyleneglycol monoethylether (PM)를 인화점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량을 각각 첨가하여 $C_5$계 HFE 기반의 배합세정제를 제조하여 물성과 여러 종류의 플럭스, 비수용성 절삭유, 불소계 오일에 대한 세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C_5$계 기반의 배합세정제는 단일 불소계 세정제의 여러 가지 물리적 성질의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_5$계 기반의 배합세정제는 첨가된 용제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플럭스, 비수용성 절삭유, 불소계 오일에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어 여러 산업세정 분야에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스팀 및 동결 전처리가 건조 감잎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t-water leachate prepared from persimmon leaf dried after steaming or freezing treatment)

  • 정헌식;윤광섭;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83-990
    • /
    • 2023
  • 감나무(Diospyros kaki T.) 잎의 유효활용을 위한 가공저장 기술개발의 방편으로, 생잎의 건조 전 스팀 열처리나 동결처리가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떫은 감잎을 무처리, 스팀 데치기(100℃, 30 sec) 또는 동결처리(-20℃, 15일)하고 열풍 건조(50℃, 12 h) 후 열수 추출(80℃, 10 min)하여 얻은 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기계적 색도 중 L*값(lightness)은 무처리구와 동결 처리구보다 스팀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a*값(redness)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스팀 처리구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흡광도로 측정한 갈변도는 대조구보다 동결 처리구에서는 높았지만 스팀 처리구에서는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스팀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동결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유리당으로 sucrose, glucose, fructose가 검출되었으며, 스팀 처리구에서는 sucrose 함량이 동결처리구에서는 glucose와 fructose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보였다. 총폴리페놀 함량과 DPPH 유리기 소거능은 대조구보다 스팀 처리구에서는 높았고 동결 처리구에서는 낮았다. 이로써, 감잎의 수확 후 스팀 및 동결 전처리는 건조 감잎 열수 추출물의 수율, 색, 항산화능 및 성분 특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결처리는 분해와 갈변반응 촉진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