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er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7초

늙은 호박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Effec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 from Different Aerial Parts)

  • 김민지;홍충의;남미현;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5-19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늙은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의 부위별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잎과 과피, 과육과 씨 네 부분으로 나누어 일반성분을 측정하고, 환류 추출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분말을 얻은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호박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은 잎이 $29.62{\pm}0.88mg$ GAE/g D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잎이 가장 높고 과피, 과육, 씨의 순서로 측정되어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radical 소거 활성에서 SC50값을 측정하였을 때는 잎에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DPPH: $1.27{\pm}0.14$, ABTS: $2.28{\pm}0.05$).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실험한 결과에서도 잎에서 가장 높은 환원력이 관찰되었다. 한편, 생리활성적인 측면 중 tyrosinase 효소 억제 활성 능력은 대조군인 koj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같은 농도인 0.1 mg/mL에서 20.70%이었던 반면 실험군인 잎은 49.58%, 과육은 40.20%을 보였고, 과피는 41.30%, 씨는 36.79%가 관찰되어 모두 이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므로 kojic acid 보다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억제 효능에서는 잎(65.85%), 과피(50.14%), 과육(13.72%), 그리고 씨(11.18%)의 순서로 관찰되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씨 부분의 저해활성이 63.58%로 67.28%를 나타낸 대조군 0.06 mM acarbose에 근접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편자 고형엘릭실제의 분체 특성에 미치는 부형제의 영향 (Effect of Additives on the Powder Characteristics of Peonja Dry Elixir)

  • 용철순;이종달;김종국;최한곤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2호
    • /
    • pp.81-8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ves on the powder characteristics of peonja dry elixir. Peonja dry elixirs were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dextrin using a spray-dryer, and their powder characteristics such as flow, cohesion and compressibility were evaluated as an angle of repose, cohesion index and compressibility index, respectively. Their powder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dicating that the hydrophilic dextrin, a base of dry elixir hardly affected their powder characteristics. Peonja dry elixirs were prepared with 10% dextrin and various amounts of additives such as mannitol (hydrophilic excipient), sodium lauryl sulfate (surfactant), colloidal silica (hydrophobic excipient) and HPMC (polymer), respectively, and their angle of repose, cohesion index and compressibility index were measured. The powder characteristics of peonja dry elixirs prepared with mannit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dicating that the mannitol scarcely improved the powder characteristics of peonja dry elixirs. The angle of repose and cohesion index of peonja dry elixir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sodium lauryl sulfate to 0.3% followed by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m. The cohesion index of peonja dry elixir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colloidal silica. The angle of repose and cohesion index of peonja dry elixir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HPMC to 0.3% followed by an abrupt increase in them. However, the compressibility index of peonja dry elixir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HPMC to 0.3% followed by an abrupt decrease in them. Our results suggested that a small amount of sodium lauryl sulfate, colloidal silica and HPMC improved markedly the powder characteristics of peonja dry elixirs due to forming stronger and less hygroscopic shell of peonja dry elixirs. Among the peonja dry elixirs studied, the peonja dry elixir prepared with 0.3% sodium lauryl sulfate and 0.3% HPMC had the lowest angle of repose of $27^{\circ}$ and cohesion index of 37.8%, and the highest compressibility index of 38.7%, respectively. Thus, sodium lauryl sulfate and HPMC appear to be promising additives for peonja dry elixir, if used in adequate amounts.

  • PDF

추출방법(抽出方法)에 따른 내소화중탕(內消和中湯)의 효능(效能)에 대(對)한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onent Variation of Naesowhajung-tang by the Three Types of Extraction Method and the Effects of Each Type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 김진성;류봉하;박동원;류기원;윤주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38
    • /
    • 2001
  • When I evaluated the component variation of Naesowhajung-tang by the three types of extraction method, and each type's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 got the following results. 1. The output ratio of extracts made out of Naesowhajung-ta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13.8% of water extract(Sample-I), 13.5% of 50% ethanol extract(Sample-II), and 15.6% of water extract by spray dryer(Sample-III). 2. magnolol, honokiol, hesperidin, naringin, poncirin and glycyrrhizin Sample II had the largest amount of the following contents: magnolol, honokiol, hesperidin, naringin, poncirin and glycyrrhizin. 3. All the extracts of Naesowhajung-tang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smooth muscle contraction of the isolated ileum in mice and fundus-strip in rats induced by acetylcholine chloride and barium chloride. 4. High concentration Sample-II was recogniz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gastric ulcers in Shay's rats. but not in the other rat group. 5. All the extracts of Naesowhajung-tang were recogniz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gastric ulcers induced by Ethanol-HCl in rats. 6. The increase of transport ability in the small intestine was recognized only when the concentration of all the samples was doubled, but not in the other concentrations. 7. The increase of transport ability in the large intestine was recognized only when the concentration of Sample-II was doubled, but not in other concentration. Using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 suggest that Sample-II has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an the others.

  • PDF

갑각류부산물을 이용한 키틴의 제조 및 이용에 관한 연구 2. 키토산필름포장이 반염건(半鹽乾) 전갱이의 가공 및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효과 (Utilization of Chitin Prepared from the Shellfish Crust 2. Effect of Chitosan Film Packing on Quality of Lightly-Salted and Dried Horse Mackerel)

  • 안창범;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57
    • /
    • 1992
  • 폐기되고 있는 꽂게껍질로 만든 키토산필름의 포장에 의한 반염건전갱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품질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하였다. 대조제품과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의 수분함량은 각각 $60.6\%,\;65.0\%$로서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의 수분함량이 $4.4\%$ 높았다. 저장중 pH, 휘발성염기질소 및 아미노질소의 증가폭은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이 적었다. 생균수는 저장초기에 약간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 계속 증가하여 대조제품은 14일째에 $8.0\times10^5/g$이었으나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은 저장 20일째에도 $7.0\times10^5/g$이었다. TMAO는 저장중 감소하고 TMA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그 증감의 폭은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이 적었다. TBA값과 과산화물값은 저장중 증가하다가 저장 14일 이후로 감소하였고 증가폭은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이 적었다. 관능검사결과 저장 14일째에 대조제품은 키토산필름포장제품에 비해 현저히 품질이 떨어졌고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은 저장 14일째에도 식용가능하였다. 이화학적 및 관능적평가로 미루어 보아 키토산필름포장 제품은 대조제품에 비해 품질유지면에서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Low-Cost Cultivation and Sporulation of Alkaliphilic Bacillus sp. Strain AK13 for Self-Healing Concrete

  • Hong, Minyoung;Kim, Wonjae;Park, Woo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2호
    • /
    • pp.1982-1992
    • /
    • 2019
  • The alkaliphilic,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ng Bacillus sp. strain AK13 can be utilized in concrete for self-repairing. A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develop an economical medium for its mass cultivation and sporulation. Two types of screening experiment were first conducted to identify substrates that promote the growth of the AK13 strain: the first followed a one-factor-at-a-time factorial design and the second a two-level full factorial design. Based on these screening experiments, barley malt powder and mixed grain powder were identified as the substrates that most effectively promoted the growth of the AK13 strain from a range of 21 agricultural products and by-products. A quadratic statistical model was then construct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two substrates was optimized. The estimated growth and sporulation of Bacillus sp. strain AK13 in the proposed medium were 3.08 ± 0.38 × 108 and 1.25 ± 0.12 × 108 CFU/ml, respectively, which meant that the proposed low-cost medium was approximately 45 times more effective than the commercial medium in terms of the number of cultivatable bacteria per unit price. The spores were then powdered via a spray-drying process to produce a spore powder with a spore count of 2.0 ± 0.7 × 109 CFU/g. The AK13 spore powder was mixed with cement paste, yeast extract, calcium lactate, and water. The yeast extract and calcium lactate generated the highest CFU/ml for AK13 at a 0.4:0.4 ratio compared to 0.4:0.25 (the original ratio of the B4 medium) and 0.4:0.8. Twenty-eight days after the spores were mixed into the mortar, the number of vegetative cells and spores of the AK13 strain had reached 106 CFU/g within the mortar. Cracks in the mortar under 0.29 mm were healed in 14 days.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was observed on the crack surface. The mortar containing the spore powder was thus conclude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healing micro-cracks.

마이크로컴퓨터 감압건조(減壓乾燥)시스템의 제작운영(製作運營)과 풋고추의 감압건조특성(減壓乾燥特性) (Microcomputer Based Vacuum Dry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the Vacuum Drying of Green Red Pepper)

  • 전재근;강준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1호
    • /
    • pp.65-70
    • /
    • 1987
  • Strain gauge로 식품(食品)의 감압건조과정중(減壓乾燥過程中) 압력(壓力)과 수분감소량(水分減少量)을 계측(計測)할 수 있는 감응소자를 제작(製作)하고 이를 Apple II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接續)하여 마이크로컴퓨터 감압건조(減壓乾燥)시스템을 제작(製作)하였다. 부르돈관 표면에 strain gauge를 접착하여 제작한 감압계측(減壓計測)단자의 출력(出力)값은 디지탈화시킨 후 MC 6821 접속 I.C. chip을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入力)시켰다. 컴퓨터 입력값(D)과 감압실(減壓室)의 압력(壓力)(P,mmHg)과의 관계는 P=-146.136+3.620D(r=0.994)이었다. 감압건조실(減壓乾燥室)의 압력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400{\sim}600mmHg$의 범위에서 30mmHg의 오차(誤差)로 제어(制御)할 수 있었다. 건조시료(乾燥試料)의 무게(W, g)와 load cell을 통한 컴퓨터 디지 털출력값(D)과의 관계는 W=-14.000十0.585D (r=0.9998)이었다. $64^{\circ}C,\;400{\sim}600mmHg$하에서 풋고추의 건조곡선(乾燥曲線)은 완숙고추의 상압건조곡선(常壓乾燥曲線)과 비슷하였으며 형태(形態)에 따른 건조속도(乾燥速度)의 변화(變化)는 상이하였고 진공도(眞空度)에도 영향을 받았다. 풋고추의 감압건조중(減壓乾燥中) 수분이동(水分移動)은 Page model을 따랐으며 그 관계식(關係式)은 원형(原型) 풋고추의 경우 $M-M_e/M_o-M_e={\exp}(-0.0673{\theta}^{1.177})$이었고 반절(半切)풋고추의 경우 $M-M_e/M_o-M_e={\exp}(-0.0655{\theta}^{1.477})$이었다.

  • PDF

버섯의 감압건조기 개발 (Development of Decompressed Dryer for Mushroom)

  • 김영민;김유호;조영길;최희석;조광환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7-2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건조시간을 줄여 건조 후 버섯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버섯의 감압건조기를 개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버섯의 감압건조기의 시작기를 제작하였고, 시작기의 구조는 건조실, 감압블로워, 흡ㆍ배기구 솔레노이드 밸브, 제습장치, 송풍기, 전기히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조실의 내부 압력이 표준대기압-900hPa, 열풍온도는 상온에서 5$0^{\circ}C$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나. 시작기를 이용하여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건조특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열풍온도 5$0^{\circ}C$, 건조실 내부압력 900-940hPa에서 건조시간은 11.5h으로 대기압과 비교하여 6.5h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조 전ㆍ후의 색차, 수축률, 복원률의 품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test 유의성 검증 결과, 5%의 유의수준에서 갓주름의 색차, 갓직경의 수축률, 복원률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열풍온도 5$0^{\circ}C$, 건조실 내부압력 900-940hPa로 표고버섯과 아가리쿠스에 대하여 건조성능시험을 실시한 결과, 표고버섯의 경우 건조시간은 13h으로 열풍식 농산물 건조기와 비교하여 건조시간이 4.5h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가리쿠스의 경우 건조시간이 17.5h로 나타났다. 라. 성능시험 결과, 시작기가 열풍식 농산물건조기와 비교하여 건감률, 색택, 수축률, 복원률 등의 품위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 시작기의 건조비용을 분석한 결과, 건조시간은 단축되었지만 시설투자비가 높아 건조비용이 표고버섯의 경우 2,461원/kg으로 열풍식 농산물건조기 보다 13%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후 고품질 건조버섯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라갈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상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온도가 떨어지는 반면 하부에는 외부공기 유입이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풍실의 길이방향 위치별 온도 분포에서도 같은 현상으로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편차는 나타나지 않아 균일 건조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열풍온도를 45$^{\circ}C$로 설정하고 조사거리와 방사체 길이를 각각 119, 1,470mm로 하여 벼의 건조성능시험을 열풍건조기(대비구)와 비교시험 결과 시험구에서 건감률, 건조소요에너지가 각각 0.58%(w.b.), 470kcal/kg - water로 대비구보다 각각 건감율은 23% 높았고, 건조소요에너지는 2%의 절감되었다. 바.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버너쪽 근처에서는 대비구 94.12㏈의 87%에 불과하였으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것은 버너에서 멀어질수록 외부적인 요인이 소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 시작기와 대비구간의 경제성에서 시작기의 구입가격이 20% 비싸기 때문에 시간당 고정비가 높았으나, 건조성능이 우수하여 건조비용이 69,350원/톤으로 대비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 PDF

벼의 원적외선 건조특성에 관한 연구(III) 원적외선 건조기 성능시험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r Infrared Ray Drying for Rough Rice(III) - Performance test of far infrared ray dryer -)

  • 김유호;조영길;조광환;이선호;김영민;한충수;금동혁;한종규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21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건조방법을 연구하여 곡물건조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원적외선ㆍ열풍 복합열을 이용한 곡물건조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방사체길이가 1,680mm일 때 보다 1,470mm일 때가 방사체 표면온도가 높게 나타났고,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열풍온도를 5$0^{\circ}C$로 설정했을 때 방사체의 표면온도분포는 280-29$0^{\circ}C$을 유지하였고, 6$0^{\circ}C$일 때는 30$0^{\circ}C$ 부근에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조건 모두에서 온도편차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균일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곡물의 품질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 열풍온도 5$0^{\circ}C$, 조사거리 125mm, 방사체 길이 1,470mm에서 방사체 길이방향으로 위치에 따라서 온도편차를 측정했을 때 버너를 기점으로 해서 근거리에서부터 원거리까지 균등 분할하여 5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곡선을 분석한 결과 위치 3에서 온도가 높았고, 계속해서 위치 4, 5, 2, 1순으로 나타났다. 버너의 근거리에서보다 원거리에서 온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원적외선방사체를 통과하는 열풍이 빠져나가도록 되어있는 열풍유동관이 버너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버너에 불꽃이 점화되면서 열풍이 방사체 끝쪽으로 유동되기 때문이다. 다. 건조실 수직면 길이방향의 온도는 열풍공기가 열풍실에서 유입되는 하단부이 온도가 높게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차는 나타나지 않아 온도분포의 좌우 대칭이 잘 되어 균일 건조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건조실의 수평면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라. 바닥면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상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온도가 떨어지는 반면 하부에는 외부공기 유입이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풍실의 길이방향 위치별 온도 분포에서도 같은 현상으로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편차는 나타나지 않아 균일 건조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열풍온도를 45$^{\circ}C$로 설정하고 조사거리와 방사체 길이를 각각 119, 1,470mm로 하여 벼의 건조성능시험을 열풍건조기(대비구)와 비교시험 결과 시험구에서 건감률, 건조소요에너지가 각각 0.58%(w.b.), 470kcal/kg - water로 대비구보다 각각 건감율은 23% 높았고, 건조소요에너지는 2%의 절감되었다. 바.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버너쪽 근처에서는 대비구 94.12㏈의 87%에 불과하였으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것은 버너에서 멀어질수록 외부적인 요인이 소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 시작기와 대비구간의 경제성에서 시작기의 구입가격이 20% 비싸기 때문에 시간당 고정비가 높았으나, 건조성능이 우수하여 건조비용이 69,350원/톤으로 대비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코팅된 젖산세균 분말의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ating Materials on the Stability of Spray-Dried Lactobacillus Powder during Storage)

  • 김수진;이상윤;한종권;이재권;최미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33-6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분무건조법을 이용하여 젖산세균을 녹말로 캡슐화한 분말을 제조하고, 제조한 젖산세균 코팅 분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분활성도에 따른 평형수분함량을 측정하여 등온흡습곡선을 확립하고, pH 및 상대습도, 온도에 따른 젖산세균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젖산세균 코팅 분말의 등온흡습곡선은 수분활성도에 따라 평형수분함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sigmoid형을 나타내었으나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대습도에 따라 20, 30, $4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젖산세균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시료들 중 생강을 첨가하여 코팅한 젖산세균 분말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75%의 상대습도에서 $20^{\circ}C$$35^{\circ}C$에서 각 4주간 저장 실험한 결과, 코팅하지 않은 젖산세균은 1주 후 사멸한 반면, 코팅한 젖산세균은 유지되었으며 특히 생강을 첨가하였을 경우 젖산세균 보호 효과가 가장 높았다. 소화 모방 실험을 통해 위액의 낮은 pH에서 녹말 코팅의 보호막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녹말로 코팅한 젖산세균 분말은 식품 조성물, 식품 첨가용 조성물로 이용 가능하다. 한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제조 시 젖산세균이 8-10 log CFU/g 이상 존재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분무건조 후 약 7-8 log CFU/g로 다소 감소하였지만 이는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로 응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어육건조중 변색에 미치는 상대습도의 영향 (Influence of Relative Air Humidity on the Color Change of Fish Meat during Drying)

  • 최수일;김병삼;한봉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9-354
    • /
    • 1983
  • 송풍식건조에 의한 어육건조중의 변색에 미치는 공기의 상대습도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0^{\circ}C,\;55^{\circ}C$$70^{\circ}C$에서의 어육건조중 어육변색의 주된 원인은 지방산화였다. 지방함량이 높은 어육일수록 지방산화에 의한 변색이 심하였다. $40^{\circ}C$$55^{\circ}C$에서의 건조중에는 공기의 상대습도가 $30\%$ 정도일 때 지방산화가 가장 늦었으며, 상대습도가 $30\%$ 보다 낮아지거나 높아질수록 지방산화가 촉진되었다. $70^{\circ}C$에서의 건조중에는 상대습도의 지방산화에 대한 뚜렷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고온에서는 지방산화가 조조온도에 민감한 듯 하였다. Maillard반응에 의한 갈변은 건조중의 변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상대습도 $10\%{\sim}50\%$의 범위에서는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빨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