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mouth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3초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건조감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in Dry Mouth and Self-Diagnosed Oral Symptoms on Workers)

  • 조혜진;조민희;조윤지;장영은;전은희;정복림;정윤선;차혜경;최영주;한인성;황지영;홍민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34-643
    • /
    • 2012
  • 직무스트레스는 점차 복잡하고 다양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에서 건강 및 구강건강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6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366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구강건조정도를 파악하고 자가 구강증상을 측정하여 직무스트레스 및 구강건조정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 차이 결과 남성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상위 50%에 속해 있었으며. 여성은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직장문화에서 상위 50%에 속해있었다. 2.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구강건조감과 자가 구강증상의 차이 결과, 구강건조감은 직장문화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강증상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구강건조감은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구강증상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직무스트레스, 구강건조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직장문화, 보상부적절은 구강건조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건조감, 직무불안정, 조직체계는 구강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 개인의 구강건강증진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스트레스로 인한 구강 내 증상을 인지하고 관리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방 치료로 호전된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 6명에 대한 증례보고 (6 Cases of Burning Mouth Syndrome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 김난이;김연수;지선영;황보민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4-253
    • /
    • 201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n six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Methods : We treated six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using following treatments: Oryeong-San, acupuncture and pharmacopuncture. Numeric rating scale(NRS) of burning pain, scores of dry mouth, progression of symptom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eatment. Results : NRS of pain and scores of dry mouth decreased after treatment. Conclusions : This clinical study suggests that Korean medical treatment can be effective in treating Burning Mouth Syndrome.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Social Impact Efficacy)

  • 노은미;백종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3-239
    • /
    • 2010
  • The study of the elderly and poor oral stat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mooth social life limited to give is the social alienation and isolation, promoting to having problems with a sense of the elderly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ocial efficacy affects whether analyzed. 1.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uthoring feel healthy food disorders, toothache, periodontal problems, tmj pain, dry mouth, bad breath symptoms such as 'sometimes' 'often' than a 'no' if you appear to be a highly subjective and social efficacy Efficacy of oral health status and social influence were more (p<0.01). 2.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seven kinds of sub-variable that oral health status, food authoring disorders, toothache, gum disease, jaw joint or more, dry mouth, bad breath instantly and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fficacy oral health status, ability of mastication, pain in oral, gum disease, tmj pain, dry mouth, presence of halitosis than positive (+) was correlated.

성인의 신체적 스트레스 증상과 심리적 스트레스 증상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hysical stress symptoms and psycho-emotional stress symptoms on oral health in adults)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663-1670
    • /
    • 2014
  • 스트레스는 구강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구강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7월 1일부터 2013년 2월 28일까지 55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신체적 스트레스 증상과 심리적 스트레스 증상이 구강 건조감, 구강점막 질환 및 구취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신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은 구강건조와 구강점막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점막은 구취, 구강건조는 구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조와 구강점막은 매개변수로써 스트레스 증상과 구취와의 영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조감은 구강점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들의 신체적 스트레스 증상과 심리적 스트레스 증상은 구강건조감, 구강점막 질환 및 구취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알 수 있었다. 성인은 스트레스와 구강질환은 높은 관계성을 갖고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는 해결책을 강구하여 보다 향상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요구되어진다.

농촌 노인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구강건조감의 관련성: 예비조사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oral dryness in the elderly in a rural region: a pilot study)

  • 조민정;이은;염유식;김현창;정은경;김진경;송근배;최연희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43-249
    • /
    • 2017
  • Objectives: Stress is a psychological reaction to stimuli such as anxiety or threat felt by a person either physically or mentally when placed in a difficult situation. Although a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ry mouth has been reported, it remains under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dry mouth among the elderly living in a rural region. Methods: A total of 214 people aged ${\geq}60years$ living in a rural area were recruited with an informed consent for a cross-sectional analysis. Information about stress and subjective dry mouth was obtained by an interview survey with a constructed questionnaire. Data on othe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oral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data, health-related behaviors,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subjective chewing ability were also gathered at the same tim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dry mouth using SPSS. Results: The Crude odds ratio (OR) of stress awareness affecting subjective dry mouth was 2.59 (95% confidence interval: 1.43-4.68). After adjusting for sex, education, income, smoking, and alcohol intake, the adjusted OR was 2.52 (95% confidence interval: 1.30-4.87)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Elderly people who were stressed had an approximately 2-fold increase in experiencing subjective dry mouth when compared to their stress-free counterparts.

The association of mask selection and wearing time with dry mouth and bad breath

  • Chung, Kyung-Yi;Jung, Yu 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79-185
    • /
    • 2022
  • 연구의 목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 사용에 따른 마스크 속 구강건강의 부정적 요인과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21년 5월 3일부터 31일까지 전국에 있는 20~59세의 성인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통계분석 하였다. 마스크 선택은 남자 63.9%, 여자 61.3%로 남녀 모두 KF_94 마스크를 높게 선택하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KF_94 마스크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크 착용에 의한 자가 구강건조감과 구취에 대한 인식은 면 마스크 착용하는 군에서 구강건조를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스크 종류는 구강건조감(r=.142, p<.05), 연령(r=.234, p<.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스크 착용시간은 연령(r=.158, p<.05)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업에 따라서는 부적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472, p<.01). 구강건조감은 구취(r=3.04, p<.01), 연령(r=.224,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ral Candidiasis

  • Kim, Ji Hoo;Ahn, Jong-M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6권2호
    • /
    • pp.33-40
    • /
    • 2021
  • Purpose: Oral candidiasis is the most common fungal infection in the oral cavity which is usually diagnosed from clinical finding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oral candidiasis and to characterize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of affected patients. Methods: From January 1, 2019 to December 31, 2019, it consisted of 90 oral candidiasis patients diagnosed based on clinical finding and treated with antifungal drugs. As a retrospective study of those people, surveys were conducted on sex, age, systemic disease, a use of dentures, complaints of dry mouth,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culture on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culture on chromogenic agar (CA) medium and a duration of antifungal treatment. Results: Among 90 selected patients,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41:49. Overall, female had a higher infection rate than male in all age groups. In this study, oral candidiasis was not clearly susceptible to dry mouth, smoking or drinking, wearing dentures and association with systemic disease. Among 90 patients with oral candidiasis, 83 had colonies formed on PDA medium and 53 had colonies formed on CA medium. The duration of antifungal treatment was highest between 5 and 8 weeks. In addition,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ulture results in CA medium and the duration of antifungal treatment. Conclusions: Generally, old age or infants, dry mouth, smoking, a use of dentures and endocrine abnormalities are risk factors to increase oral candidiasis;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mainly found in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regardless of sex and the incidence of oral candidiasis was not obviously related with patients with dry mouth, smoking or drinking, denture wearers and endocrine abnormalities. Interestingly, when the fungi were cultured in CA medium, the duration of antifungal treatment was increased.

구강건조증 증상 평가를 위한 설문지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Symptoms)

  • 이정윤;이영옥;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383-389
    • /
    • 2005
  • 구강건조증은 입안이 마르는 느낌의 주관적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타액분비의 감소에 따른 불충분한 구강점막의 습윤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구강건조증의 정도는 실제 측정된 객관적인 타액분비율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강건조증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 구강건조증 환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고 설문지의 문항들이 갖는 신뢰도를 분석하여 향후 구강건조증의 연구 및 진단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강건조감의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VAS) 척도로 답하는 6 가지 문항과 구강건조감에 따른 행동을 파악하기 위한 4 가지 문항을 개발하고 문항들이 갖는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구강건조증의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건강한 성인 남녀 88 명(남자 44 명, 평균 $25.6{\pm}3.1$세, 여자 44 명, 평균 $24.3{\pm}2.1$세)을 대상으로 2 회에 걸쳐 질문에 답하도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조감의 정도를 묻는 6 가지 문항의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값은 낮 시간의 구강건조감의 정도(Dry-day)가 0.767, 입안에 침이 적다고 느끼는 정도(Am-sal)가 0.850, 구강건조감으로 인한 일상 생활의 불편감 정도(Eff-life)가 0.791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고, 밤 또는 아침 기상시의 구강건조감의 정도(Dry-PM)가 0.563, 식사시의 구강건조감의 정도(Dry-eat)가 0.674, 음식물을 삼키기 힘든 정도(Dif-swal)가 0.641로 높은 급내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2. 6 개의 문항들의 내적 일치도를 평가하는 크론바흐의 알파(Cronbach's alpha) 값은 0.92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3. 구강건조감에 따른 행동을 파악하기 위한 4 가지 문항들의 코헨의 카파(Cohen's kappa) 값은 잠자리 옆에 물을 준비하게 되는 빈도($H_2O$-bed)는 0.850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고, 입이 말라 잠을 깨는 빈도(Night-awake)가 0.506, 마른 음식 섭취시에 물을 마시게 되는 빈도(Sip-liq)가 0.419, 껌이나 사탕을 먹게 되는 빈도(Gum-candy)가 0.407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VAS 척도로 답변하는 주관적 구강건조감의 정도를 묻는 6 가지 질문과 주어진 보기를 선택하여 답변하는 구강건조증에 따른 행동을 묻는 4 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은 중등도 이상의 신뢰도를 가지고 있고 VAS 척도로 답변하는 6 가지 질문은 매우 높은 내적 일치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태음인 조열증으로 진단한 파킨슨병 환자의 치험 1례 (A Case Study of a Taeeumin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Diagnosed as Dry-heat Symptomatic Pattern)

  • 김소형;최은주;배나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6-386
    • /
    • 2017
  • Objectives This case study is about a Taeeumin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identified as Dry-heat (Joyeol) pattern. In this study, we report significant improvement of motor and non-motor symptoms of this patient afte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eatment. Methods The patient was identified as Taeeumin Dry-heat pattern and treated with Cheongsimyeonja-tang and acupuncture. The Unified Parkinson Disease Rating Scale(UPDRS) was used to asses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patient. And the Global Assessment Scale (GAS) was used to assess the change of bradykinesia, tremor and dry mouth after the treatment. Results The UPDRS total score decreased from 145 points to 77 points after 5 weeks treatment. And symptoms of bradykinesia, tremor and dry mout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GAS after the treatment. Furthermore, constipation, sleep disturbance, dysuresia and anorexia were reported to be improved after treatme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an be effective treatment for motor and non-motor symptoms caused by Parkinson's disease.

전남 일부지역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요인분석 (Quality-of-life factors related to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Jeollanam-do)

  • 윤소라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5-52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at obtaining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alternatives to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investigating dry mou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visiting the N Dental Clinic in Jeollanam-do. Methods: From November 2021 to September 2022,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survey of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Of the 300 questionnaires collected, 280 had insufficient data because of missing entries. Results: Analyz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medical use and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what do you think your oral health is li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 0.001). Dry mouth and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β=0.42, p= 0.00).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ere "total score of oral dryness" (β= 0.395) and "what do you think your oral health is like" (β=0.22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ystematic intervention, such as oral health programs, suitable for age may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