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ught index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1초

표준강수지수 시계열의 가뭄특성치를 이용한 가뭄 재현기간 산정 (Return Period Estimation of Droughts Using Drought Variables from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 곽재원;이성대;김연수;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8호
    • /
    • pp.795-805
    • /
    • 2013
  • 가뭄은 중요한 자연재해의 하나로서 수자원 관리 부분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55개 기상청 관측소를 대상으로 SPI 지수에 따른 가뭄기간과 가뭄심도를 정의하고, 코풀라 이론을 이용하여 두 가뭄변수의 결합 확률 분포를 유도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가뭄의 발생양상을 고찰하고 가뭄의 재현기간으로 제시하였으며,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가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가뭄의 재현기간별 SPI 지수로부터 대한민국의 충청도의 공주 및 충주 인근, 강원도의 원주, 인제, 정선, 태백 등의 지역이 상대적으로 가뭄에 취약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Yield Response of Soybean to Drought Stress under Different Fertilizer Level

  • Eom, Ki-Cheol;Jung, Pil-Kyun;Koh, Mun-Hwan;Kim, Young-Sook;Lee, Kyung-E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31-23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yield response of soybean to drought stress in 1984 and 1986 at the experiment field of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using experiment plots with different soil water tension and fertilizer levels. The average yield response factor (YRF) of soybean to evapotranspiration (ET) calculated as [(Ya/Ym)/(ETa/ETm)], where Ya, average yield; Ym, maximum yield; ETa, average ET; and ETm, maximum ET, was 0.91 with the range from 0.74 to 1.16. Relationship between yield index (YI=[Ya/Ym]) and evapotranspiration index (ETI=[ETa/PET]) was $YI=0.87{\cdot}(ETI)+0.09$. Relationship between YI and the maximum soil water tension (Hmax) was $YI=1.23-0.23{\cdot}{\log}$ (Hmax). Relationship between YI and the days of drought stressed (Dr) was $YI=0.877{\cdot}{\exp}$ ($-0.01{\cdot}Dr$). The relation between YI and fertilizer level (F) was $YI=-0.21{\cdot}F2+0.36{\cdot}F+0.33$, under very serious drought condition as the maximum soil water tension was 0.3 MPa.

방글라데시의 기상학적 가뭄 변동성 평가 (Assessment of the Historical Variability of Meteorological Drought in Bangladesh)

  • 모하마드 캄루자먼;황세운;조재필;장민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3호
    • /
    • pp.77-88
    • /
    • 2019
  • Drought is the recurrent natural disasters which harshly affect agricultural production and society in various parts in Bangladesh. Information on the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drought events plays a vital role to take necessary action towards drought mitig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in Bangladesh during 1981-2015 using Effective Drought Index (EDI). Monthly precipitation data for 36 years (1980-2015) were obtained from 27 meteorological stations. Drought frequency (DF) and areal extent of drought were considered to investigate the spatiotemporal structure of drought. The DF analysis showed that the northern, southwestern and central regions of the country are comparatively vulnerable to meteorological drought. The frequency of drought in all categories has considerably increased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from 2011 to 2015. Furthermore, the most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of the drought-affected area was found over the central region especially for pre-monsoon (March-May) season during this period while the decreasing trend of the affected area was found within the eastern region during the study period. To prevent and mitigate the damages of drought disasters in Bangladesh, agricultural and government manag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ose regional drought events that occur in pre-monsoon season. The outcome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explanatory data in building the strategies to drought monitoring and mitigation activities in Bangladesh.

식생지수를 활용한 한반도 해안 간척지 옥수수의 한발스트레스 해석 (Assessment of drought stress in maize growing in coastal reclaimed lands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vegetation index)

  • 강석인;엄태선;유성영;강성구;김태완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283-290
    • /
    • 2023
  • 본 연구는 건조처리에 따른 화옹, 새만금, 영산강 간척지 토양에서 키운 옥수수의 한발스트레스를 분광 반사율 분석을 통해 해석하였다. 옥수수의 식생지수는 모든 간척지 처리구에서 토양수분이 급격히 감소하는 관수 정지 20일후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건조처리에 따른 식생지수의 감소율은 새만금>영산강>화옹 간척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NDVI는 모든 간척지 토양에서 50%가량 감소하여 잎의 수분함량 감소로 인한 한발스트레스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모든 간척지 토양에서 카로티노이드의 변화를 기반으로 계산되는 SIPI와 PRI가 크게 감소하여 한발스트레스로 인한 광이용효율의 감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증가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사면과 해발고도별 가뭄 예측 (Prediction of Regional Drought considering Aspect and Elevation in Jeju Island under Future Climate Change)

  • 박종철;최광준;송성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49-660
    • /
    • 2014
  •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ccur with regard to aspect and elevation of Mt. Halla in Jeju Isl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edict regional drought associate with them to mitigate of impacts of drought. In this study, regional drought is predicted based on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an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using future (2015~2044) climate change scenario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4.5 classified as 24 regions according to aspect and elevation. The results show that number and duration of drought will be decrease in Jeju Island. However, severity of severe drought will be increase in western and northern aspect with under 200 meters above mean sea level. These findings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proactive strategies to mitigate impacts of drought by future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2017년 극심한 봄 가뭄의 기상학적 특성 및 통계학적 가뭄빈도해석 (Assessment of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atistical Drought Frequency for the Extreme 2017 Spring Drought Event Across South Korea)

  • 방나경;남원호;홍은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4호
    • /
    • pp.37-48
    • /
    • 2018
  • The extreme 2017 spring drought affected a large portion of central and western South Korea, and was one of the most climatologically driest spring seasons over the 1961-2016 period of record. This drought was characterized by exceptionally low precipitation, with total precipitation from January to June being 50% lower than the mean normal precipitation (1981-2010) over most of western South Korea. In this study, for the quantitative drought impact analysis, the widely-us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statistical drought frequency are compared with observe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omalies. According to the drought frequency analysis of monthly cumulative precipitation during January and May in 2017,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Jeollanam-do areas showed more than drought frequency over 100 years. Gyeongsangnam-do area showed more than drought frequency over 200 years based on annual precipitation in 2017.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have been operating a government-level drought monitoring system since 2016.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drought monitoring applications of future drought events, as well as drought planning and preparedness in South Korea.

금강유역 2014~2016년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Drought and Agricultural Drought of Geum River Basin During 2014~2016)

  • 이지완;김경호;김세훈;우소영;김성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80-89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기상학적 가뭄지수, 농업용 저수지 가뭄지수(Reservoir Drought Index, RDI)간의 관계를 통해 기상학적 가뭄이 농업에 미치는 상관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강수량, 농업용 저수율 자료를 수집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와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결과 SPI-6와 RDI의 Pearson 및 ROC 적중룰이 각각 0.606, 0.722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가뭄의 공간적 발생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공간분포된 SPI-6와 RDI를 중첩한 결과 2015년 8월부터 2015년 10월의 심한 가뭄 발생 시 미호천 상류 유역과 논산천 유역에서 중복적으로 가뭄의 심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수지 가뭄이 발생한 지역에 대한 저수지의 제원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 RDI 가뭄이 크게 나타난 지역은 유역배율이 작은 저수지들이 많이 모여 있는 지역일수록 극심한 가뭄을 겪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역배율에 따라 저수지의 농업가뭄 대응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SPEI와 RDI를 이용한 한강유역 가뭄의 특징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Basin drought using SPEI and RDI)

  • 원광재;정은성;이보람;성장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3호
    • /
    • pp.187-196
    • /
    • 2016
  • 증발산량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E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는 보편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심도를 정량화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RDI (Reconnaissance Drought Index)는 가뭄의 피해를 받고 있는 지역에 활용도가 높은 가뭄지수이지만 이를 이용한 국내 적용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hornthwatie, Hargreaves, Blaney-Criddle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EI와 RDI를 비교하였다. 1992년부터 2015년까지 한강 유역에 대한 가뭄 정량화 및 특징 비교를 위해 기상청 관할 16개 지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강유역의 경우 최근 들어 급격히 극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는 지점들이 증가하였다. 두 가뭄지수 사이에 상관정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가뭄의 심도 및 극한가뭄의 발생 연도 사이에는 일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가뭄 심도와 발생 시기의 정량화를 위해 RDI 또한 활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SWAT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지수 산정과 가뭄감시 (The Estimation of Soil Moisture Index by SWAT Model and Drought Monitoring)

  • 황태하;김병식;김형수;서병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B호
    • /
    • pp.345-354
    • /
    • 2006
  • 가뭄은 홍수와는 달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지역의 경제에 타격을 주며, 생태계 및 환경을 파괴하는 자연재해로서 인간에게 오랫동안 고통을 준다. 이와 같은 가뭄에 대비하고 가뭄을 관리하기 위해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들을 이용해 가뭄감시를 수행하고 있다. 그중 Palmer의 가뭄심도(PDSI)가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순환의 고려없이 기후적인 조건만을 이용하는 단점과 한계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토양, 토지이용, 기후자료를 입력자료로 하는 준 분포형 장기유출모형인 SWAT모형을 이용하였다. 즉, SWAT 모형을 이용해 토양수(soil water, SW)를 추정하고, 이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결핍을 근거로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 SMI)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적용해 구한 토양수분지수와 PDSI를 비교 분석하였다. 즉, 소양강댐 지점의 일유입량 자료를 이용해 SWAT모형을 보정하고 검정하여, 장기 일 토양수를 추정하고, SWAT모형을 통해 모의된 토양수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 결핍을 근거로 토양수분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WAT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결정계수가 0.651로서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고, GIS를 이용함으로서 보다 향상된 해상도를 가지고 가뭄감시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양수분결핍에 기초한 토양수분지수는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해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한반도·동아시아 지역의 실시간 가뭄 감시 및 전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Drought Monitoring and Prediction System on Korea & East Asia Region)

  • 배덕효;손경환;안중배;홍자영;김광섭;정준석;정의석;김종군
    • 대기
    • /
    • 제22권2호
    • /
    • pp.267-277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real-time drought monitoring and prediction system on the East Asia domain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using past historical drought records. The system is mainly composed of two parts: drought monitoring for providing current drought indices with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conditions; drought outlooks for suggesting future drought indices and future hydrometeorological conditions. Both parts represent the drought conditions on the East Asia domain (latitude $21.15{\sim}50.15^{\circ}$, longitude $104.40{\sim}149.65^{\circ}$), Korea domain (latitude $30.40{\sim}43.15^{\circ}$, longitude $118.65{\sim}135.65^{\circ}$) and South Korea domain (latitude $30.40{\sim}43.15^{\circ}$, longitude $118.65{\sim}135.65^{\circ}$), respectively. The observed meteorological data from ASOS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nd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of KMA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model-driven hydrological data from LSM (Land Surface model) are used for the real-time drought monitoring, while the monthly and seasonal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from UM (Unified Model) of KMA are utilized for drought outlooks. For the evaluation of the system, past historical drought records occurred in Korea are surveyed and are compared with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system.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elected drought indices such as KMA drought index, SPI (3), SPI (6), PDSI, SRI and SSI are reasonable, especially, the performance of SRI and SSI provides higher accuracy that the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