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ied squid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축·수산·전통식품 중 황색포도상 구균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의 성능 평가 (Efficiency of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 for the Enum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Meat, Fishery Product, and Korean Traditional Foods)

  • 유윤정;최유나;최승호;방현조;윤요한;하지명;이수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9-315
    • /
    • 2019
  • 본 연구는 식품으로부터 S. aureus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선택배지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BPA와 MSEY agar의 민감도 비교를 통해 BPA를 선택하였고, 이 배지의 회수율을 $3M^{TM}$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STX petrifilm)의 회수율과 비교하였다. 축산식품 중 돼지고기 주물럭과 육회용 꾸릿살, 수산식품 중 쥐포와 반건조 오징어, 전통식품 중 떡과 잡채를 선정하여 S. aureus를 접종한 후 BPA와 STX Petrifilm 배지를 사용하여 회수율 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6가지 식품에 대해 인위적으로 S. aureus를 저농도에서부터 고농도까지 접종한 후 0시간과 24시간 후의 검출률을 측정하였다. 두 배지 간의 유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식품의 종류, 접종 농도에 관계없이 두 선택배지 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따라서 STX Petrifilm은 BPA를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지의 준비 및 도말에 소요되는 분석시간을 절감하고 배양에도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신속, 정확한 분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혼성육(混成肉)을 원료(原料)로 한 중간수분식품(中間水分食品)의 시제(試製) (An Intermediate Moisture Food from a Composite Meat of Squid and Pork)

  • 조재선;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65-270
    • /
    • 1972
  • 혼성육(混成肉)을 원료(原料)로 한 IM식품(食品)을 제조함에 있어서 그 제조조건(製造條件)을 확립(確立)하고 제품(製品)의 효과 기호성(嗜好性) 및 저장성(貯藏性)을 검토하였다. 즉 마쇄(磨碎)한 오징어와 돈육(豚肉)의 혼성육(混成肉)(1 : 1)을 조미성형(調味成型)하여 간장에 20분간 끓이고, $80^{\circ}C$로 가온(加溫)한 glycerol에 20분 동안 담근다음, $60^{\circ}C$에서 70분간 열풍건조(熱風乾燥)함으로써 부드럽고 기호성이 좋은 제품(製品)을 얻을 수 있었다. 본(本) 시제품(試製品)을 polyethylene(0.05 mm). polypropylene(0.05 mm) 및 Al foil에 각각 포장한 후 $37^{\circ}C$, 포화습도(飽和濕度)의 incubator에 42일간 저장하는 동안에 총균수(總菌數)는 1 g당 230에서 각각 40, 20 및 10으로 감소하였고 같은 조건으로 6개월간 장기 저장한 시료도 마찬가지로 감소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내용물은 식용(食用)함에 있어서 새로 만든 제품에 비하여 손색이 없었다.

  • PDF

광주와 전라남도의 음식문화 연구 (I) - 일상식 - (Traditional Food Use of Frequency of Gwangju City and Chollanamdo Area - In food everyday -)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21
    • /
    • 200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raditional food utilization actual conditions of Gwangju and Chollanamdo. Frequency of main meal ice plain white rice, boiled rice and cereals, bean-mixed rice, gruel Dakjuk, winter squash porridge, sesame porridge, noodles by noodles cut out with a kitchen knife, noodles with assorted mixtures, soup with dough flakes order frequency much have. Soup ate much beanpaste soup, soup cooked with dried radish leaves, seaweed soup, broth by power-pot soup, hot shredded beef soup, loach soup order. Pot stew soybean paste stew and kimchi stew, beef casserole bean curd beef casserole and small octopus beef casserole often eat. Kimchi ate much cabbage kimchi, radish kimchi, radish cube kimchi,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by sesame leaf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pickled garlics, Maneuljjong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order. Salted sea foods that eat often were salted anchovies, tiny salted shrimps, Gejang order, and soy sauce were toenjang, korean hot pepper paste, bean-paste soup prepared with around fermented soy beans order, and laver fried kelp, tangle fried kelp, green perilla leaf fried kelp order to fried kelp, and it was bean sprouts, bracken herbs, fragrant edible wild aster herbs order to herbs. It is Ssukgatmuchim, squid debt saliva, Jabanmuchim's order that season, hard-boiled food is beef boiled in soy sauce, mackerel radish hard-boiled food, order of bean curd hard-boiled food, panbroiling ate often by order of Kimchi panbroiling, red pepper anchovy panbroiling, pork panbroiling. Steamed dish is egg steamed dish, fish steamed dish, steamed short-ribs order, fried fish egg speech, by Gimchijeon, Pajeon ord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ate often by lav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hair-tai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mackere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order. Minced raw meat are small octopus raw that live, beef dish of minced raw beef, Hongeohoe order, rice cake is cake made from g1u1ions rice, Seolgitteok, songpyon order, dessert ate often by fermented rice Punch, cinnamon flavored persimmon punch, Kangjung order.

  • PDF

미생물분석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이 즐겨 섭취하는 일부 해조류 및 어패류와 그 가공식품의 비타민 $B_{12}$ 함량 분석 (Vitamin $B_{12}$ Content Using Modified Microbioassay in Some Korean Popular Seaweeds, Fish, Shellfish and Its Products)

  • 곽충실;박준희;조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94-102
    • /
    • 2012
  • There is a limitation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due to a lack of data on vitamin $B_{12}$ content in many Korean foods. In this study, vitamin $B_{12}$ content was determined in some seaweeds, fish, and shellfish and their product that are consumed in Korea using a modified microbioassay with Lactobacillus delbruecki ATCC 7830. Dried laver and dried seasoned and toasted laver contained very high levels of vitamin $B_{12}$ (66.8 and $55.2-71.3\;{\mu}g$/100 g, respectively. Sea lettuce and seaweed fulvescene also contained high vitamin $B_{12}$ content of 5.47-9.41 and $6.46-7.20\;{\mu}g$/100 g, respectively, whereas sea mustard and sea tangle contained low levels of vitamin $B_{12}$; vitamin $B_{12}$ was not detected in seaweed fusifome. Pacific saury, trout, sea-bass, or squid contained 12.01, 2.00, 0.49 and $2.33\;{\mu}g$ vitamin $B_{12}$/100 g, respectively. Ochellatus octopus, and naked sand lance contained 0.72-1.43 and $3.68\;{\mu}g$ vitamin $B_{12}$/100 g, respectively. Dried Alaska pollack con-tained $0.19-2.64\;{\mu}g$ vitamin $B_{12}$/100 g. Shellfish such as little neck clam and small ark shellfish contained high levels of vitamin $B_{12}$ of $30.5-40.5\;{\mu}g$/100 g, and mussel and abalone contained 17.71 and $7.82\;{\mu}g$/100 g, respectively. Of uniqu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products, salt-fermented products of squid ($2.91\;{\mu}g$/100 g), clams ($34.31\;{\mu}g$/100 g), Ala-ska pollack roe ($9.98-12.02\;{\mu}g$/100 g), hairtail guts ($4.58\;{\mu}g$/100 g) or small shrimp ($0.58-1.55\;{\mu}g$/100 g), and fish sauce from anchovies ($1.52-1.78\;{\mu}g$/100 mL), sand eel ($0.22-0.24\;{\mu}g$/100 mL) or small shrimp ($0.19-0.78\;{\mu}g$/100 mL) were analyzed. A few commercial brands of flying fish roe ($0.73-1.73\;{\mu}g$/100 g), canned tuna ($0.40\;{\mu}g$/100 g), and fried fish paste ($0.25-0.69\;{\mu}g$/100 g) were also analyzed. In conclusion, vitamin $B_{12}$ content in these foods, chosen considering the Korean food culture,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present vitamin $B_{12}$ food database. It may be helpful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more correctly than before, an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dietary education related to vitamin $B_{12}$ and meal management.

서울시내 주부들의 도시락 준비실태 및 학교급식 실시에 관한 의견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tate of lunchbox preperation and the opinion of school lunch program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 이경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35-142
    • /
    • 1994
  •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tate of lunchbox preperation and the opinion of operating school lunch program. The subjects were 180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a school lunch program were not oper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age of mothers were from 30's to 40's and among them over 80% graduated from a high school and 26.1% had a job. 88.9% of mothers prepared lunchbox everytime and main dish was mostly bab. The average time spent in preparing meal for one day and lunchbox were 1 hour and 58 minutes, and 28.6 minut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side dishes cooked per day and for lunchbox were 9 and 3, respectively. The side dishes for lunchbox were kimchi, dried layer, ham, dried squid, egg in decreased order, which were similar to preference of children. Animal protein foods were mainly used in lunchbox than vegetables. On preparing lunchbox, mothers considered preferance, nutrition, convenience of cook, economic, appearance of food in decreased order. 92% of mothers and 75% of their children approved of operating school lunch program, and the reason, answered by their mothers, was nutritional balance of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it's needed to operate of school lunch program for optimal nutritional intake and growth of children.

  • PDF

조미건어포류의 안전성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the Safety in Seasoned Dried Fishes)

  • 윤미혜;홍해근;이인숙;박민정;윤수정;박정화;권연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47
    • /
    • 2009
  • 경기북부지역의 시중마트와 재래시장, 국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고 있는 조미건어포류를 대상으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73건을 수집하여 보존료, 이산화황 사용유무 및 함량과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보존료는 73건 중 25건(34%)에서 보존료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한 보존료는 소르빈산으로서 $0.01{\sim}0.92$ g/kg 검출량을 보여 우리나라 사용기준에 적합하였다. 이산화황도 대부분의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1건에서 10.5 mg/kg이 검출되었으나 기준 이내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호기성균은 조사대상 73건에서 모두 검출되었으며 오염범위는 $3.00{\sim}6.45\;log_{10}$ CFU/g, 평균오염도는 $5.09\;log_{10}$ CFU/g를 보였다. 총호기성균 오염도는 시중마트, 재래시장 판매제품보다는 온라인상에서 판매되는 제품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은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조미건어포류들은 우리나라 식품공전 기준에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총호기성균 검사 결과에서 위생적인 제품 생산, 유통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상대습도에 저장된 건조분말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 변화 (Microbiological Quality of Dried and Powdered Foods Stored at Various Relative Humidities)

  • 김지연;배영민;현정은;김은미;김종찬;이선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76-582
    • /
    • 2017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 상승에 대한 건조분말 식품에서의 미생물적인 품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건조분말 시료를 고온 및 다양한 상대습도에서 저장하며 총균수,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를 측정한 결과 높은 상대습도에서 건조분말 식품의 수분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균수와 진균류가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균류는 저장 기간 동안 건조분말식품의 수분활성도의 증가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건조분말 식품의 보관 시 가장 관리가 필요한 미생물 군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상대습도 85% 이하에서는 미생물의 높은 생육이 관찰되지 않아 건조분말 식품의 보관에서 저장 중 상대습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건조분말 식품은 낮은 수분활성도로 인하여 개봉 후에도 주로 상온에 장기간 보관하는 식품이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로부터 높은 상대습도는 건조분말 식품의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품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개봉된 건조분말 식품은 밀봉하거나, 냉장 보관하는 등 저장 시 온도 및 습도를 철저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주요건어제품(主要乾魚製品)중의 Malonaldehyde(MA) 함량(含量)에 대(對)하여 (Malonaldehyde(MA) in Dried Fishery Products(note))

  • 김경임;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87
    • /
    • 1974
  • 시판(市販) 주요(主要) 건어제품(乾魚製品)의 총(總) MA함량(含量) 및 동(同) MA의 유리(遊離) 및 결합상태(結合狀態)를 분획(分劃)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총(總) MA의 함량(含量)을 TBA number로 표시(表示)해본 바, 건(乾) 멸치류가 비교적(比較的) 높았고 다음이 뱅어포이었으며, 오징어 및 명태류는 대체로 낮았다. 특히 멸치류는 종류에 따라 MA함량이 크게 달랐으며, 대살멸치(42.3)가 가장 높았고, 소살멸치(13.7)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명태도 건조공정이 상이(相異)한 제품 즉, 황태(黃太)(1.62) 및 흑태(黑太)(0.66) 등 종류에 따라 총(總) MA함량이 서로 차이가 있었다. 2. 총(總) MA함량이 가장 높은 대살멸치의 수용성획분(水溶性劃分)에 있어서의 결합(結合) 및 유리(遊離) MA를 Sephadex G-10 column으로 분획(分劃)해 본 결과, 2개(個)의 결합(結合) MA 및 1개(個)의 유리(遊離) MA가 chromatogram 상(上)에 나타났고, 결합(結合) 및 유리(遊離) MA의 비율(比率)은 94.5 : 5.5로서 대부분(大部分)이 결합상태(結合狀態)로 존재(存在)하고 있었다.

  • PDF

부산지역 중학생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학교 급식에서의 수산물 이용정도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eafood and Its Use in Foodservice in Busan)

  • 류은순;이혜경;신은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9-19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eafood as well as their eating experiences and favorite cooking methods for seafood. It also examined the frequency and use of seafood on school lunch menu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39 students in 5 middle schools in the Busan area. On a scale of 5.00, the average scores for perceptions toward seafood were as follows: 3.67 for health & nutrition, 3.53 for taste, 2.53 for smell, 2.77 for convenience. The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_(p<0.05) higher perception scores for health & nutrition, taste, and smell than the female students. Among 38 types of seafoods, the highest percentages for eating experiences included seaweed_(99.2%), anchovies_(99.1%), fried fish paste_(98.6%), shrimp_(98.4%), crab_(98.2%), squid_(97.9%), sea mustard_(97.8%), mackerel_(97.7%), dried squid_(97.3%), and hair tail_(96.9%). However, the majority of students had eaten a limited amount of seafood. The degree of seafood intake at home was significantly_(p<0.01) higher than at school. The students' favorite cooking methods for seafood were in the order of grilling, stir-frying, steaming, deep-fat frying, and soup. However, the middle school lunch programs primarily served as soup, seasoning, stir-fried, braised, deep-fat fried, and grilled, respectively. The main reasons for leaving seafood on a plate were inconvenience due to the fishbones_(62.7%), tasteless_(45.4%), and disliking the smell_(35.7%). Improvements that students wanted for seafood on school lunch menus included removal of fishbone for convenience_(67.0%), taste_(52.0), and increased variety of seafood types_(38.2%).

한국인 상용 식품의 콜린 함량 (Choline Contents of Korean Common Foods)

  • 조효정;나진석;정한옥;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5호
    • /
    • pp.428-438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인 상용 식품의 콜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다소비 식품과 다빈도 식품 185종에 대하여 choline oxidase 효소법을 사용하여 식품의 총 콜린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식품 100 g당 총 콜린 함량이 높은 식품은 메추리알 476.04mg, 마른 오징어가 452.42 mg, 소고기간 427.16 mg, 돼지고기간 424.92 mg, 참치통조림 414.44 mg, 멸치 381.30mg, 북어 378.88 mg, 달걀 309.88 mg, 닭고기간 259.38mg, 대두 238.62 mg로 건조어류, 동물의 간, 난류와 두류가 고콜린 식품으로 분류될 수 있겠고, 그 뒤를 이어 마늘빵이 193.18 mg, 쌀보리가 182.73 mg으로 곡류도 상당한 콜린 급원식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류와 과일류에서 낮은 콜린 함량을 보였으며, 또한 유자차, 녹차에서도 1 mg 이하의 낮은 콜린 함량을 보였다. 고춧가루, 맥주, 소주, 콩기름, 옥수수 기름 등에서는 콜린이 검출되지 않았다. 채소류, 과일류, 조미료류와 식물성 유지류가 저 콜린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건조어류, 어류 가공품과 간, 난류, 두류, 곡류가 고콜린군 식품이며, 식물성 식품에서는 두류와 곡류 및 그 제품이, 동물성 식품에서는 어패류, 난류, 육류가 콜린의 주요 급원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Zeisel의 결과에 비해 크게 상이한 결과를 보인 쌀이나 밀가 루 등 일부 식품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절차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하리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