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product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33초

우유 또는 난백분말로 만든 젖산균발효식품을 동결건조한 제품의 저장성 (Shelf Life of Freeze Dried Product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Prepared from Milk or Egg White Powder)

  • 고영태;강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49-135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우유 또는 난백분말로 만든 젖산균 발효식품을 동결건조한 후, $28^{\circ}C,\;5^{\circ}C,\;-18^{\circ}C$에서 20주 동안 저장하면서 동결건조 상태 시료의 형태, 성상 및 색상의 변화를 관찰하고, 살균수로 복원된 시료의 생균수, pH 및 기호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우유시료와 난백분말 시료는 $5^{\circ}C$$-18^{\circ}C$에서는 생균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28^{\circ}C$의 시료는 생균수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했는데 특히 4주에서 5주 사이에 생균수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한편 pH는 어느 시료나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20주 동안 변화가 없었다. (2) 복원하지 않은 시료의 형태와 성상은 20주 동안 변화가 없었고, 색상은 $28^{\circ}C$에서 저장한 난백분말 시료의 경우 갈변 현상을 나타내어 16주 후부터 다른 시료와 확실히 구분이 되었다. (3) 20주 저장 후의 시료를 살균수로 복원한 다음 젖산균 발효식품으로서의 기호성을 관찰했을 때, 우유시료의 형태는 $5^{\circ}C$$-18^{\circ}C$시료가 0일 시료와 차이가 없었으나, $28^{\circ}C$ 시료는 균질성과 용해도가 감소하였다. $28^{\circ}C$에서 20주 저장된 우유시료의 맛, 냄새 및 조직감은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4) 20주 저장 후 환원된 난백분밀 시료는 점도가 0 일 시료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였다. $28^{\circ}C$ 시료는 융해도가 감소하고, 맛과 냄새는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5^{\circ}C$$-18^{\circ}C$에서 저장 후 환원된 난백분말 시료의 조직감은 양호한 편이었으나 0일 시료보다 점착성이 다소 감소하였다. 한편 $28^{\circ}C$에서 20주 저장된 난백분말 시료의 조직감은 거칠었다.

  • PDF

Use of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as Feed Ingredients for Growing Female Goats

  • Nagamine, Itsuki;Sunagawa, Katsunori;Kishi, Tetsuy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2호
    • /
    • pp.1701-1711
    • /
    • 2012
  • Okinawan Awamori is produced by fermenting steamed indica rice with black mold, yeast, and water. Awamori-pressed lees is a by-product of the Awamori production process. Tofu lees is a by-product of the Tofu production process. This research consisted of two experiments conducted to elucidate whether or not dried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can be used as a mixed feed ingredient for raising female goats. In experiment 1, digestion trials were conducted to ascertain the nutritive values of dried Awamori-pressed lees and dried Tofu lees for goats. The digestible crude protein (D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s of dried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were 22.5%, 22.5% (DCP), and 87.2%, 94.4% (TDN)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18 female goats (Japanese Saanen${\times}$Nubian, three months old, body weight $15.4{\pm}0.53$ kg)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six animals (control feed group (CFG), Awamori-pressed lees mixed feed group (AMFG), Tofu lees mixed feed group (TMFG)). The CFG control used feed containing 20% soybean meal as the main protein source, while the AMFG and TMFG treatments used feed mixed with 20% dried Awamori-pressed lees or dried Tofu lees. The groups were fed mixed feed (volume to provide 100 g/d increase in body weight) twice a day (10:00, 16:00). The klein grass hay and water was given ad libitum. The hay intake was measured at 08:00 and 16:00. Body weight and size measurements were taken once a month.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 blood sample was drawn from the jugular vein of each animal. The DCP and TDN intakes in AMFG and TMF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CFG. Cumulative measurements of growth in body weight, withers height, chest depth, chest girth, and hip width over the 10 mo period in the AMFG and TMFG were similar to the CFG. By contrast, cumulative growth in body length and hip height in the AMFG and TMFG tended to be larger than the CFG. Cumulative growth in chest width in the AMFG was significantly larger (p<0.05) than the CFG. Blood parameter values were similar to those in normal goats reported by other scientists. The coats of the AMFG and TMFG animals looked shinier than the animals in the CFG.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dried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can be used as a feed ingredient for the raising female goats.

곶감 부산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Dried Persimmon By-product on Broiler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ntents in Chicken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5-170
    • /
    • 2005
  • 본 실험은 곶감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첨가수준(0, 1, 3, $5\%$)에 따라 육계의 생산성, 계육의 지방산 조성 및 혈중 콜레스테롤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5주 동안사양 시험하였다. 전기 3주간 사료내 조단백질은 $21.5\%$, ME는 3,100kcal/kg 수준으로 공급하였고,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ME 3,100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대조구(무첨가구), 곶감 부산물 $1\%$ 첨가구(T1), $3\%$ 첨가구(T2), $5\%$ 첨가구(T3)로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로 총 160수를 공시하였다. 그 결과 증체량은 전기사료 급여시에 대조구보다 곶감 부산물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후기 사료 급여시는 대조구와 T1 및 T2에서 T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료 효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곶감 부산물의 급여 수준에 따른 계육의 일반 성분 중 수분과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으며, 조지방은 증가하고 단백질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총 콜레스테롤, HDL-C, 중성지방은 처리구에서 높았고, LDL-C은 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높았다(P<0.05). 계육의 주된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곶감 부산물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stearic acid, lin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나 ole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이러한 실험 결과로 곶감부산물은 육계사료에 $3\%$수준까지 급여하더라도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등어분말수우프의 제조 및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Powdered Smoked-Dried Mackerel Soup and Its Taste Compounds)

  • 이응호;오광수;안창범;정부길;배유경;하진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51
    • /
    • 1987
  • 다획성적색육어류인 고등어를 원료로하여 우리나라 사람의 기호에 맞고 즉석(卽席)수우프의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고등어분말수우프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조건 및 이의 효율적인 저장방법과 제품의 맛성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가공조건은 고등어를 필레로 만들어 $95^{\circ}C$의 열수 중에서 10분간 자숙한 다음 압착하여 가다랑어자숙 엑스분 중에서 5분간 침지하였다. 이것을 $80^{\circ}C$에서 8시간의 훈건 및 엄증을 3차례 반복하여 수분함량이 약 $10\~12\%$되도록 하여 50 mesh 크기로 분쇄한후 $(PET/Al\;foil/CPP:\;5{\mu}m/15{\mu}m/70{\mu}m,\;15\times17cm)$ 적층필름주머니에 일정량 충전하여 포장용기내의 공기를 질소치환 혹은 탈산소제를 봉입포장하여 저장함으로서 제품의 품질변화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었다. 한편 제품제조시 가다랑어자숙엑스분중에 침지처리함으로서 제조중 지방산화의 억제 및 제품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고등어분말수우프의 수분함량은 $11.3\~12.3\%$, 조지방 $12.0\%$, 조단백질 $73.0\%$, 회분 $3.2\%$ 및 구분활성은 $0.52\~0.56$의 범위로서 저장중 거의 변화가 없었고, 제품의 pH, 휘발성염기질소 및 아미노질소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중 제품의 수용성 및 지용성 갈변도는 함기포장제품(C)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나 질소치환포장제품(N)이 나 탈산소제 봉입 포장제 품(O)은 거의 변화가 없었고, 과산화물값, 카르보닐값 및 TBA값을 측정한 결과 제품(N) 및 (O)는 저장중 지방산화를 효율적으로 억제 할 수 있었다. 제품의 주요구성지방산은 16:0, 18:1, 22:6, 18:0 및 20:5 등이었으며 제품제조 및 저장중 폴리엔산은 다소 감소한 반면, 포화산 및 모노엔산의 조성비는 증가하였다. 고등어분말수우프제품의 주요한 맛성분이라고 추정되는 IMP의 함량은 $420.2\~454.2mg/100g$으로서 저장중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주요불휘발성 유기산은 lact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acid$ 등으로 함량은 각각 902.2 mg/100 g, 28.3 mg/100g 및 8.6mg/100g이었다. 이외에 malic acid 등 6종의 유기산이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제품의 유리아미노산 및 관련화합물의 조성은 histidine이 641.8 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alanine 214.7 mg/100g, hydroxyproline이 48.9mg/100g, 이외에 lysine, glutamic acid 및 anserine 등이 전체의 $80.8\%$를 차지하였다. 고등어분말수우프의 맛성분은 건물량 기준으로 유리아미노산 및 관련화합물이 1,279.4 mg/100g, 불휘발성유기산이 948.1mg/100g, 핵산 관련물질 672.8 mg/100g, 총 creatinine이 430.4 mg/100g, betaine 86.6mg/100g 및 미량의 TMAO로 이루어져 있었고 국물로 우려낼때 맛성분의 추출조건은 $100^{\circ}C$에서 1분간의 고온단시간 추출이 적합하였다.

  • PDF

Effect of Fermented Soybean "Natto" Supplement on Egg Production and Qualities

  • Fujiwara, K.;Miyaguchi, Y.;Toyoda, A.;Nakamura, Y.;Yamazaki, M.;Nakashima, K.;Abe,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1호
    • /
    • pp.1610-1615
    • /
    • 2008
  • Natto is a Japanese traditional soybean product fermented by Bacillus natto. The effects of dried fermented soybean (natto) supplement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ies of layer chickens was studied with regard to the effective use of various waste foods in Japan. Dried natto, prepared by heating at $60^{\circ}C$, was added to a basic diet at a level of up to 3%. Forty 166-wk-old layer chickens (Rhode Island Red)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and five layer chickens were used in each group with two replicates. Layer chickens in group 1 were fed a basic diet as the control. The remaining 3 groups were fed the basic diet supplemented with dried natto at levels of 1, 2, and 3% (w/w), respectively. The result did not show improvements in egg production or feed conversion ratio of layer chickens even when 3% dried natto was added to the control diet. The egg qualities including egg weight, eggshell strength and thickness, yolk color, yolk weight,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 were also not improved. However, the feeding of dried natto changed the cholesterol content in the egg yolk. The supplementation of dried natto showed the tendency to decrease the yolk cholesterol after 12-wk of feeding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though it did not change plasma cholesterol levels in the blood. On the other hand, yolk cholesterol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2-wk of feeding 3% dried natto (p<0.05).

시판 어류 단순가공품의 세균학적 및 화학적 위해요소 분석 (Bacteriological and Chemical Hazard Analysis in Commercial Fish Products Minimally Processed)

  • 김현정;이동수;김일회;김영목;신일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9-26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acter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in minimally processed commercial fish products, including Hwangtae (freeze-dried pollock), dried anchovy, 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Escherichia coli counts from all samples were below the regulation limits of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tandards on Quality of Seafood and Seafood Products (Food Code). However, the food poisoning bacterium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at levels above $1.0{\times}10^2$ colony forming units (CFU)/g in Hwangtae, dried anchovy, and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which are commonly ingested without heating and pose bacteriological hazards. The detection of S. aureus, an organism indicative of poor personal hygiene, which can be introduced by employees and multiply during distribution, indicate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sanitary control of minimally processed commercial fish products. Histamine was not detected from dried anchovy or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but was detected at some of the highest levels in fermented anchovy sauces. This result suggests that efforts to reduce the amount of histamine in fermented anchovy sauces are required.

Taipet-F와 Bactokil처리가 마른멸치의 산패방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aipet-F and Bactokil on Retarding Lipid Oxidation in Boiled-dried Anchovy)

  • 이응호;김진수;안창범;박희열;지승길;주동식;이승원;임치원;김일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1-188
    • /
    • 1989
  • 우리나라 연안에서 일시에 대량으로 어획되는 멸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식량화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선도유지제의 일종인 Bactokil (didecyl-dimethyl ammonium chloride, isopropanol 및 물의 혼합물)과 항산화제의 일종인 Taipet-F(천연 vitamin E, L-ascorbic acid, glyceride 및 몰식자산의 혼합물)처리가 마른멸치의 지질산화억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무처리한 대조제품(C), Bactokil처리 제품(B), Taipet-F처리제품(T), Bactokil 및 Taipet-F를 동량혼합하여 처리한 제품(M)에 관계없이, 전제품 모두 저장중 휘발성염기질소는 큰 변화가 없었고, TBA값은 증가하다 감소하였으며, 과산화물값은 제품(C) 및 (B)는 TBA값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제품(M) 및 (T)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조는 L값은 감소한 반면 a값, b값 및 ${\bigtriangleup}E$값은 증가하였고, 지용성 및 수용성갈변도는 저장기간중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관능검사결과로 미루어 보아 대조제품(C)와 Bactokil 처리제품(B)는 저장 10일째에 산화가 상당히 진행되었고, Taipet-F처리제품(T)는 산패취를 전혀 느낄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제품(T)가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제품(M), (B) 및 (C)의 순이었다. Taipet-F처리는 마른멸치의 갈변방지와 산화방지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대파가루를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Noodles Using Allium fistulosum L. Flour)

  • 이병영;윤건묵;서지우;김성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3-58
    • /
    • 2003
  • This study on the processing of noodles was carried out to increase utilization of Allium fistulosum L., In the areas of total solids in residual liquid, swelling volume, and water absorption, a mixture of 10.0% dried Allium fistulosum L. flour and wheat flour, and a mixture of 25.0% raw Allium fistulosum L. flour and wheat flour both perform similarly to noodles made with just wheat flour. In the area of texture- the gumminess, cutting factor, and chewiness increase as the percentage of dried Allium fistulosum L. flour increases.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these factors between the 10.0% dried and the 25.0% raw mixtures. The color of the noodles with a mixed Allium fistulosum L. flour is green-yellow. As the quantity of Allium fistulosum L. flour increases the color gets darker The over all perception of the noodles made with a mixed Allium fistulosum L. flour was rated higher in color, taste, and smell than regular noodles. This study shows that mixing wheat flour with 10.0% dried Allium fistulosum L. flour or 25.0% raw Allium fistulosum L. flour produces a better noodle product.

  • PDF

복숭아 분말 첨가 초콜릿과 초콜릿 코팅 복숭아 스낵의 제조 및 품질 특성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Peach Powder-added Chocolate and Chocolate-covered Freeze-dried Peach Snack)

  • 정경미;박성기;이영석;김수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21-528
    • /
    • 2017
  • In this study, peach powder-added chocolate and chocolate-covered freeze-dried peach snack were developed,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bioactive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To make the chocolate, 0~15% of peach powders made of Fantasia cultivar were used. To make freeze-dried peach snack, three types of peach cultivars were tested: Mihwang, Kanoiwa Hakuto, andFantasia. In the case of chocolate, sugar content increased and pH decreased as peach powder content increased. Upon 15% peach powder addition, chocolat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flavonoid content and reducing power. In the case of freeze-dried peach snack,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Mihwang cultivar among the three types of peach cultivars tested.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new food products using peach while maintaining its original physicochemical and bioactive properties.

진공포장 정어리 조미건제품의 제조 및 품질안정성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Vacuum Packed Seasoned-Dried Sardine)

  • 이응호;김진수;김한호;이진경;오광수;권칠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2-59
    • /
    • 1986
  • 일시다획성 적색육어류인 정어리를 원로로 상온유통이 가능하며 즉석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진공포장 정어리조미건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공조건 및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가공조건은 머리, 내장을 제거한 정어리를 $95^{\circ}C$, 10분간 증자한 후 필레를 만들어 솔비톨 $28\%$, 설탕 $14\%$, 식염 $5.6\%$, 글루탐산나트륨 $1.8\%$, 마늘가루 $0.6\%$ 및 물 $50\%$로 된 조미액에서 $5^{\circ}C$, 15시간 조미한 다음, 다시 $10\%$ Smoke-EZ 훈액에 45초간 침지처리하여 이것을 $45^{\circ}C$에서 4시간 열풍건조시킨 후 적층플라스틱필름주머니(polyester/casted polypropylene= $12{\mu}m/70{\mu}m,\;15{\times}16cm$)에 $90{\sim}100g$씩 충전, 진공포장한 후 $95^{\circ}C$에서 30분간 열탕살균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제품S). 또 조미액에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한 제품(제품E)도 대조제품(제품C)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저장 중 수분함량, 수분활성 및 pH는 전제품 모두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휘발성염기질소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제품의 지방산조성은 원료 정어리의 조성비와 거의 비슷하여 20:5 및 22:6산을 주체로 하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41.1\%{\sim}43.3\%$로 상당히 높았으며, 16:0, 20:5, 18:1 및 22:6산 등이 주요구성지방산이었다. 저장 중 20:5산의 조성비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훈액처리제품(S)이 나 sodium erythorbate 첨가 제품(E)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보존효과가 좋았다. TBA값 및 과산화물값은 제품(E) 및 (S)의 경우 저장 중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나 대조제품(C)에 비해 훨씬 낮은 값을 나타내어 지방산패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색조는 저장 중 전제품 모두 명도(L값)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a 및 b값)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중 제품의 생균수는 음성이었고, 히스타민한량은 전제품이 2.0mg/100g이하로 식품위생상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제품의 텍스튜어, 즉 경도, 탄성 및 응집력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관능검사 결과 훈액처리제품(S)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평점을 얻었으며, 전제픔 모두 저장 40일째까지는 제품의 품질저하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