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dging opera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7초

ECDIS에 의한 준설선의 작업공정 관리 및 평가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work process in dredger using ECDIS)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3호
    • /
    • pp.212-221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o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work process in suction hopper dredger and grab bucket dredger as an application of a PC-based ECDIS system. The dynamic tracking of dredging bucket and the data logging of grab dredging information were performed by using the grab dredging vessel "Kunwoong G-18". The position and route tracking of the dredger moving toward the ocean dumping site of dredged material was performed by using the hopper dredging vessel "Samyang-7". The evaluation of wok process in the dredging field, for grab dredger, was continuously carried out on January to May, 2006, in Incheon Hang and for hopper dredger, on July to December, 2003, in Busan Hang, Korea. The dredging information, such as dredger's position, heading, dredging depth and route track which was individually time stamped during the dredging operation, was automatically processed in real-time on the ECDIS and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he S-57 ENC chart.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ECDIS system can be applied as a tool in order to manage the work process during the dredging operation, and also in order to generate the factual record of the dredging activities that is sufficient for dredging inspector to accurately evaluate the contract performance even in the absence of a full-time onboard inspector.

ECDIS에 의한 grab 준설작업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Real-time monitoring of grab dredging operation using ECDIS)

  • 정기원;이대재;정봉규;이유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2호
    • /
    • pp.140-148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on the real-time monitoring of dredging information for grab bucket dredger equipped with winch control sensors and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DGPS) using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ECDI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Gwangyang Hang and Gangwon-do Oho-ri on board M/V Kunwoong G-16. ECDIS system monitors consecutively the dredging's position, heading and shooting point of grab bucket in real-time through 3 DGPS attached to the top bridge of the dredger and crane frame. Dredging depth was measured by 2 up/down counter fitted with crane winch of the dredger. The depth and area of dredging in each shooting point of grab bucket are displayed in color band. The efficiency of its operation can be ensured by adjusting the tidal data in real-time and displaying the depth of dredging on the ECDIS monitor. The reliance for verification of dredging operation as well as supervision of dredging process was greatly enhanced by providing three-dimensional map with variation of dredging depth in real time.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system which can monitor and record the whole dredging operations in real-time as well as verify the result of dredging quantitatively.

준설용 커터헤드 운영방식에 따른 준설효율 향상특성 분석 (Analysis of Dredging Efficiency for Operation of Dredging Cutter Head)

  • 채동석;박재현;김영도;김명학;이만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준설용 커터헤드의 운영특성에 따라 준설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현재 현대건설에서 보유중인 아산 3호의 설계도를 바탕으로 커터헤드를 설계하였으며, 수리실험을 위해 $4.2m{\times}2.2m{\times}1.5m$ 대형수조를 제작하였고, 준설 운영에 필요한 여러 실험용 장치를 제작하였다. 준설효율 실험에서는 다양한 커터헤드 속도, 준설 깊이, 흡입 속도, 등에 관해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커터헤드의 회전 속도가 준설효율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커터헤드의 준설깊이에 따른 준설효율특성을 분석하였다. 최대 준설효율은 흡입속도가 2.0m/s 일 경우에 발생하였다. 잠재준설부피에 대한 커터헤드의 거동부피에 대한 무차원 분석을 수행한 결과 준설깊이에 따른 적절한 커터헤드의 회전력과 좌우 이동 속도가 결정되어야 최적의 효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퇴적물 준설에 따른 수환경 영향 예측 모의 (Modeling for Prediction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Dredging Operation)

  • 안재환;김미경;이미경;황병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28-1237
    • /
    • 2005
  • 퇴적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장기적으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준설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예측하여 준설규모나 위치를 선정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수환경 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상수역의 수질수문자료를 중심으로 구역을 분획하고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모의한 후, 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값들을 결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시범수역 A의 PCBs 농도를 장기간 모니터링 한 결과, 가장 오염되어 있는 구간의 수층 PCBs 농도는 30년 후 $3.1\;{\mu}g/L$에서 $2.4\;{\mu}g/L$로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퇴적층의 오염물질이 수층의 오염공급원으로 존재하는 한,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수층의 농도는 크게 감소하지 않아 퇴적물로부터의 오염원의 공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지 않고는 수질개선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각한 오염지역의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준설함으로써 수층의 수질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HEC-6를 이용한 준설 및 보로 인한 낙동강 본류 및 지류 하상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Dredging and Weirs on Bed Change in the Nakdong River and its Tributary using HEC-6)

  • 안정민;곽성현;류시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9호
    • /
    • pp.743-756
    • /
    • 2015
  •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준설과 각종 수리구조물의 영향에 의한 하상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대규모 준설과 대형수리구조물의 건설은 본류뿐만 아니라 지류의 하상안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이 유입하는 낙동강 강정고령보~달성보 구간에 대해 하도준설과 보 건설 및 운영에 따른 본류와 지류에서의 장기하상변동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HEC-6모형을 이용하여 유사이송 및 장기하상변동 양상을 모의하였으며, 그 결과 준설 및 보 운영으로 인해 본류뿐만 아니라 지류에서도 하상변화량이 증가하고 가속화되었다.

제한투기시설에서 배출되는 여수의 거동 (The Behavior of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Confined Dumping Facility)

  • 정대득;이중우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29-439
    • /
    • 2000
  • The primary purpose of dredging work is to maintain navigational readiness and to increase environmental amenity. Therefore the dredging project, which is composed of excavating, removing, transporting and storing or dumping dredged material, must be carefully managed to insure that dredging works are completed in a cost-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safe method. The most important point in dumping operations is evaluating and decreasing the impacts of dumping works at the dumping area.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is purpose is using the schematic process composed of the sophisticate plan, precise work and predicting/reducing the impacts based on an numerical model being closely linked with field observation. In this study, a numerical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spatial transport and fate of the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confined dumping facility(CDF) located at a coastal area. To achive this purpose, numerical models were used for reappearing the tidal current of concerned area. These models were then applied to Mokpo harbpr where capital dredging and maintenance dredging are being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the CDF is under construction. In series of model case study, we found that the effluent discharged from CDF was governed by the receiving water condition and outfall geometry, so that limit of near-field was 14∼500 meter down stream and 4∼150 meter in transverse direction. dilution ranged from 1.1 to 8.2 on the cases. Long-term diffusion characteristics was governed by the dilution rate during near-field behavior, ambient conditions and CDF operation modes.

  • PDF

수두차를 이용한 해저 유기퇴적물 준설장비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The Study of Seabed Organic Sediment Dredging Equipment Development Used the Pressure Difference)

  • 손충렬;장우철;어준;최재권;이정탁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57-61
    • /
    • 2004
  •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of existing regarding the seabed organic sediment, contamination it flows from the land and the sea become the enemy in the coastal water. It was caused with the summer season water temperature rise and dispersing recall respect advancement. Phosphorus which is a main reason of red tide actual condition came to reveal vast quantity with the facts that it gushes. Specially, in the case of the coastal closing waters and the nursery, as the corpse and the fresh fish washing veterinarian was imbrued,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ere is more deepened.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shallow layer dredging method of that suction power which is stabilized is demanded to be able to dredge only the sediment layer which has not become the pressure and is a main reason of being imbrued. The dredging methods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minimize the suction of the seabed sediment. This method is stable that suction power which occurs from guard difference of the guard and the guard of the dredging system inland water. That's why it is possible to sort dredging of the organic sediment ranging in upper layer sediment and it will be able to expect the minimization of dredging quantity. Increase of the expense that it followsin orthocenter with the fact will not grow. Because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dredger inland water is occurred by the suction power. Maintenance administrative costs are reduced, because the one of smallest dredging system maneuvers and the barge which affixes an integrated operation system is mainly in a resting. To reduce a dredging hour, it will be able to solve in the condensed water as operating the jar guard post.

  • PDF

이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준설 탁도플륨의 혼합거동 연구 (A Study on Mixing Behavior of Dredging Turbidity Plume Using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 박재현;김영도;이만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서산에 위치한 부남호에서 준설시 발생하는 탁도플륨의 이송 및 확산과정을 2차원 수치모형인 RMA2 모형과 RMA4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다항목수질모니터링시스템(YSI6600EDS)을 이용해 측정한 탁도분포와 비교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부남호에서 준설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인근지점에서의 연직방향 탁도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표층에서 거리에 따른 수평방향 탁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부남호 전 구간에 대해서 2차원 흐름해석 모형인 RMA2 모형을 적용하였고, 실제 준설작업이 이루어지는 2호지에 대해서 RMA2 모형과 RMA4 모형을 적용하였다. 준설지점의 초기 농도값에 대한 저수지 내 각 지점에서의 거리에 따른 농도비를 현장측정 결과와 비교한 결과, 수치해석에 의한 탁도플륨의 이송확산 모의 결과는 준설작업에 대한 환경영향 범위를 예측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설 탁도플륨의 3차원 이송확산 거동 모형 (3-D Dispersive Transport Model for Turbidity Plume induced by Dredging Operation)

  • 강시환;강인남;이정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B호
    • /
    • pp.557-562
    • /
    • 2006
  • 준설작업으로 인해 재부유된 퇴적물로 구성된 탁도플륨의 이송확산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이(1998)가 제안한 수치 해석의 혼합방법(hybrid method)을 사용하여 3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에서는 이송 및 확산식의 수치해석에 있어 이송 과정은 전방입자추적기법(forward particle-tracking method), 확산 과정은 유한차분기법을 사용하여 수치계산에 있어 무작위 행보(random walk) 방법에 비해 계산시간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수치모의 결과의 정확성도 크게 향상되었다. 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1, 2차원 해석해와의 비교, 그리고 Kuo 등(1985)의 3차원 수리해석모형의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모형의 검증 결과는 비교적 해석해와 잘 일치하였다.

낙동강 하류의 유사특성과 낙동강하구둑 준설효과에 관한 수치모의 연구 (Numerical Modeling for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Nakong River and Sediment Dredging Effects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 지운;;박상길;김병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B호
    • /
    • pp.405-411
    • /
    • 2008
  • 낙동강하구둑은 하구둑 상류로의 염수침입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1987년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매년 하구둑 상류 접근수로에 퇴적되는 유사를 제거하기 위해 준설 작업이 수행되어져 왔다. 준설작업뿐만 아니라 산업 및 주거 시설의 개발사업 등의 하천 환경 변화로 인해 하구둑 상류에서의 유사 이송 및 하상 특성은 꾸준히 변화되어 왔으나 하구둑이 건설된 이 후 유사이송 및 하상변동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 및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낙동강 하류의 대상구간에 대해 현장 측정 자료 및 과거 자료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낙동강하류에서의 하상변동 및 계절별 유사농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검증된 기초자료들과 준정상류 모형을 이용하여 하구둑 상류에 시행되고 있는 준설작업의 수행 여부에 따른 홍수 발생시 수위 변화에 대해서 수치모의를 실시함으로써 낙동강하구둑에서의 준설효과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