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nward and upward social comparis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Why Social Comparison on Instagram Matters: Its impact on Depression

  • Hwnag, Ha S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3호
    • /
    • pp.1626-1638
    • /
    • 2019
  • Social Networking Sites (SNS) provide people with unique online social interaction environments where users can disclose their thoughts, feelings, and opinions to their personal contact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such activities produce positive effects on SNS user well-being, this study considered potential negative effect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depression. In particular, This stydy examined how specific activities are related to different types of social comparison (upward/downward/horizontal) and how these different types of social comparison influence depressed moods among college students. The analysis of a survey of 245 Instagram users found that (1) looking at other people's status updates and commenting on other people's photos influences upward social comparison, (2) frequency of Instagram use predicts upward/downward/horizontal social comparison, and (3) upward social comparison was pos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while downward social comparis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Furthermore, the path anlaysis show that social comparison mediates the effect of Instagram use on depression. It suggests that Instagram use does not directly increase depression but it can lead to depression when social comparison on Instagram triggers depression.

Differences in Reactions to Sales Promotions: Superior or Inferior to Your Product?

  • Kim, Chang Soo;Jo, Myung-Soo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99-116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roduct promotions are influenced by the market standing of promoted products, using social comparison theory (upward versus downward comparisons). It is hypothesized that people in possession of a product that is inferior to the one on promotion express less discomfort about the promotion and use the information more than do people in possession of a superior product. People in possession of an inferior product may also exhibit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on promotion, but may show poorer attitudes toward their own possessed product than do people with a superior product. This is because people in an inferior socioeconomic position show a strong motivation to improve themselves through upward social comparison, whereas people in a superior socioeconomic position maintain a strong sense of superiority in downward social comparison, which suggests strong endowment effects. The findings mainly support the hypotheses, and suggest that sales promotions are more effective for people who currently own an inferior product, but not for people with a superior product, who have a strong motivation to maintain their sense of superiority. The findings also imply that, in order to attract consumers in the superior market, managers for inferior products need to turn to methods other than sales promotions, which may include introducing a new brand or sub-brand, or emphasizing luxury and modern features. In contrast, managers for superior products may emphasize product functions and attributes of superior products in their promotions, as people with inferior products may consider such information as benefits of the superior products.

  • PDF

Social Comparison Theory and Interpersonal Contact: The Influence of Incidental Envy on Contacting Higher or Lower Status Others

  • Youn, Y. Jin;Park, Kiwa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41-63
    • /
    • 2018
  • Incidental envy influences behavior in various domains. However, no research, to date, has investigated whether incidental envy influences interpersonal behavior toward others who are unrelated to the emergence of the emotion. That is, the literature is silent on how those who experience incidental envy engage in interpersonal contact and how this may affect consumers. In this paper, we address this question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incidental envy on interpersonal contact with others of higher or lower status based on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We demonstrate that incidental envy (versus a neutral emotion) motivates people to contact higher status others to facilitate upward assimilation (experiments 1 and 2). We also show that when competition (a situational factor that heightens the personal relevance of the interaction with the target) is involved, individuals who feel envy (versus a neutral emotion) are more likely to contact lower status others to engage in downward contrast (experiment 3).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SNS에서의 개인의 사회비교 경험 유형 및 사회비교 지향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Explicating the Relationship among SNS Users' Types of Social Comparison Experienc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Life Satisfaction)

  • 이성준;이효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574-590
    • /
    • 2016
  • 본 연구는 SNS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이 SNS 이용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 유형으로서 상향 대조, 상향 동일시, 하향 대조, 하향 동일시 등 4가지를 도출하여 이들 경험 유형들이 SNS 이용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영향 과정에서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SNS 이용 시간, 오프라인 사회자본 및 사회비교 지향성 등을 통제 변인으로서 고려하였으며, 사회 비교 경험들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비교 지향성의 조절 효과 역시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선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의 결과 연령과 혼인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및 관심사가 맞는 클럽/단체 활동 참여 정도가 삶의 만족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석 결과에 따르면 4가지 사회 비교 경험 유형 중 상향 대조와 상향 동일시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비교 지향성은 상향 동일시 경험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만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을 이해함에 있어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들이 필요함에 대해서도 또한 논의되었다.

사회비교이론 관점에서 살펴본 SNS 이용중단 의도 (An Empirical Study of Discontinuous Use Intention on SNS: From a Perspective of Society Comparison Theory)

  • 차경진;이은목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9-77
    • /
    • 2015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발전과 확산으로 사람들은 타인의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타인과의 관계형성 또한 더욱 쉽고 빠른 방법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페이스북 같은 SNS는 광범위한 사용성과 빠른 확산성과 함께, 타인과의 풍부한 사회비교 기회를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 기반한 사회비교 노출이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과 SNS의 사용중단 의도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사회비교 활동이 크게 3가지로 나뉜다고 보았는데, 가장먼저 본인의 위치와 비슷하다고 느끼는 상대와 자신을 평가하려는 자기평가욕구에서 시작하는 유사비교활동, 본인보다 더 열등한 사람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정서가 다치지 않게 하려는 자기방어욕구에서 비롯되는 하향비교활동, 마지막으로 자신보다 더 나은 상대와 비교함으로써 자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자기향상욕구와 관련되는 상향비교활동이다. 이러한 사회비교활동들은 사람들이 매일매일 SNS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상향비교, 유사비교와 관련된 정보들에 자주 노출됨으로써,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부정적인 감정들과 피로감으로 이어져 SNS 중단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9명의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SNS 이용자들이 타인과 상향비교와 유사비교를 할수록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어, 이러한 감정들이 결국 SNS에 대한 부정적 태도(Attitude)를 거쳐 SNS 이용중단(Behavior)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하였다. PLS 분석결과, SNS 사용 중 일어나는 사회비교와 타인탐색위주의 SNS의 사용은 사용자들에게 부정적인 감정들을 느끼게 하며 이 부정적인 감정들이 SNS 이용중단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 이용중단 의도에 관한 연구를 사회 심리학적 관점으로 확대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과 상향비교 또는 유사비교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기존의 심리학연구결과를 SNS 환경에서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학술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집합주의 문화가 청년실업에 대한 불안 지각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ctivism on Anxiety Perception and Mental Health in Youth Unemployment)

  • 차민정;박소영;송현주;노연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1호
    • /
    • pp.27-51
    • /
    • 2012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집합주의적 성향이 청년들이 지각하는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었고, 두 번째 목적은 이러한 집합주의적 성향이 취업불안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구직효능감, 자존감 그리고 상향·하향 사회비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1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상위권 A 대학과 중위권 B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79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집합주의적 성향을 가진 사람일수록 취업불안이 높고 취업 정신건강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직효능감과 자존감이 집합주의적 성향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2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C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18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향 사회비교는 집합주의적 성향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를 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향 사회비교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조종사의 비행수행 능력과 자존감이 비행비교상황에서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lots' Flight Skill and Self-Esteem on Risk Taking in the Context of Social Comparison)

  • 장성철;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365-374
    • /
    • 2008
  • 조종사의 비행수행능력과 자존감이 비행비교 상황에서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행교육과정 조종사 48명을 대상으로 시뮬레이터 상황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간 변인으로서 비행수행능력(비행등수)과 자존감 척도로 각각의 높고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 안전규칙상 착륙이 허가되지 않는 활주로 접근 시뮬레이션 상황을 수행하게 하였다. 접근 상황은 피험자 내 설계로 세 번에 걸쳐 측정하였고, 동일한 각각의 상황실험 수행 직전에 실험참가자에게 다른 사람들의 수행결과를 조작(긍정비교, 부정비교, 통제)하여 제시하였다. 실험참가자의 위험행동은 접근한 고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각 제시 조건에 따라 위험행동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고, 각 비교조건에서의 위험행동 경향은 비행수행능력과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비행수행능력이 낮은 집단은 비교조건들에서 통제조건과 달리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행수행능력이 높은 집단은 부정비교조건에서 다른 조건들과 달리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존감이 높은 집단은 통제조건에 비해 비교조건들에서 유의미한 위험행동을 보인 반면, 자존감이 낮은 집단은 다른 조건들에 비해 부정적 비교조건에서 유의미한 위험회피행동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