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gh stability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초

Hydrocolloid가 빵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colloid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 조현;이명구;이정훈;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6-10
    • /
    • 2008
  • Hydrocolloid 로 arabic gum, carboxyl methyl cellulose, pectin을 각각 강력분에 0.2%와 0.5% 첨가하여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 변화를 farinograph, 반죽의 pH, extensograph, fermometer, amylograph 등으로 분석하였다. Hydrocolloid 첨가 시 farinograph에서 흡수율은 증가되었고 CMC 0.5% 첨가시 70.8%로 흡수율이 가장 높았다. 반죽발전시간은 길어졌으나 안정도는 낮아졌다. Hydrocolloid 첨가로 반죽의 pH는 저하되었고 pectin 0.5% 첨가시 가장 낮았다. Extensograph에서 반죽의 저항성은 감소하였고 신장성은 증가하였으며 R/E 값은 낮아졌다. 반죽의 가스발생량은 증가하여 CMC를 0.2% 첨가시 가장 많은 가스를 발생하였다. Amylograph에서 초기호화온도는 $0.5-1.5^{\circ}C$ 싱승하였으나 최고점도온도는 $1-1.5^{\circ}C$ 낮아졌고 최고점도는 높아졌다.

녹차가루 첨가에 따른 밀가루 반죽의 물성 및 호화특성 변화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Dough Rheology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 오유경;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49-753
    • /
    • 2002
  • 혼합분과 강력분의 farinograph 수분 흡수율, 반죽형성시간, 연화도는 녹차가루 첨가량(0~5%)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안정도는 혼합분은 점차 증가하였고, 강력분은 점차 감소하여 다른 경향을 보였다. 혼합분, 강력분 모두 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신장도는 감소하고, 신장 저항도는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반죽이 경직되는 경향을 보였다. Amylogaph에서 혼합분과 강력분 시료 현탁액 모두 녹차가루 첨가로 호화개시온도가 상승하였고, 최고호화점도는 감소하였다. DSC에 의한 밀전분의 호화특성에서 환원성 물질인 녹차의 카테킨 성분은 밀전분의 결정질 구조의 용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ethod of bread-making with mulberry leave powder and the change of amino acids by fermentation of S. cerevisiae of bifidobacteria

  • Kim, Ae-Jung;Cho, Nam-Ji;Kim, Sun-Yeon;Lee, Won-Chu
    • 한국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양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
    • /
    • pp.60-61
    • /
    • 1999
  • The present study examined optimal level of mulberry leave powder, and the method of bread-making were proposed to utilize mulbery leave powder by investigating rhe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sensory evaluation of bread. The difference of amino acids compositions in flour brew were also investigated by fermentation of S. cerevisiae or bifidobacteria. As the % of mulberry leave powder increases absorption rate of dough was steadily increased, but stability and R!E ratio if dough were dramatically decreased more than 1% leave respectively. R!E ratio value, which indicates gas retnetion property of dough, was not obtained at the level 5%.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maximum viscosity temperature showed a tentency of decrease, resulting in easier cooking of dough. The delay of temperature cauesd by addition of mulberry leave powder was overcome by two step bread making, that is, modified straight dough method adding flour brew fermented 16hrs by bifidobacteria. The firmness of bread was progressively dreased as the amount of mulbery leave powder increased. The addition of 2% level of mulberry powder to brea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with control in sensery evaluation. Amino acids compositions of Flour brew fermented by bifidobacteria was superior th that by S. cerevisae nutritionally.onally.

  • PDF

발효쌀겨의 첨가에 따른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Effect of Fermented Rice Bran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Bread Dough)

  • 박현실;한기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2-90
    • /
    • 2010
  • In this study,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s blended with 5% to 20% fermented rice bran (FRB) were investigated using farinographs, amylographs, extensographs, and SEM. In the farinograph analysis, the water absorption decreased and the replacement ratio of FRB increased over the time of development of the dough. The stability time of the dough was shortened, and the degree of softening decreased with added volume of FRB. The amylograph analysi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at the beginning of gelatinizatio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eplacement ratio of FRB, but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B-added groups and control group. The extensograph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replacement ratio of FRB was over 10%, the extension of the dough decreased while the resistance was increased. In the SEM analysis, the added dough with less than 10% FRB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 gluten matrix and gas bubbles to those of the control of wheat flour alone. It was concluded that an added FRB volume of below 10% is most suitable for bread making.

연근 분말 첨가가 식빵 반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tus Root Powder on the Quality of Dough)

  • 김영숙;전순실;정승태;김래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73-578
    • /
    • 2002
  • 연근 분말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과 품질의 특성을 파악하고 기능성과 물리적인 면을 고려한 배합비율을 알아보았다. 파리노그램의 반죽 특성을 보면 수분 흡수율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반죽 형성시간은 연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길어졌다. 익스텐소그래프에 나타난 반죽의 신장도는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은 점점 감소하였으나, 신장 저항도와 최대 저항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다. 아밀로그래프에서는 호화개시온도는 대조군보다 첨가랑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최고 점도도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반죽의 pH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Hydrocolloids가 쌀을 첨가한 빵용 밀가루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colloi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Flour Dough with Rice Flour)

  • 김양훈;이정훈;정구춘;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19-1825
    • /
    • 2015
  • 강력분 80%와 쌀가루 20%를 혼합한 후 검류로 HPMC, xanthan gum, guar gum, glucomannan 등을 각각 1% 첨가하여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혼합분의 Amylograph 분석에서 호화온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최고점도 온도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최고점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Viscograph 분석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는 Amylograph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유지온도와 냉각온도에서의 점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Breakdown은 xanthan gum 첨가구의 값이 가장 높았고 대조구와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setback은 HPMC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Farinograph에서 반죽의 되기는 HPMC 및 xanthan gum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흡수율은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반죽형성시간은 대조구에 비하여 guar gum 첨가구가 길었다. 안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HPMC와 guar gum 첨가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xanthan gum 첨가구는 훨씬 짧아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약화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HPMC와 guar gum 첨가구는 짧아졌으나 xanthan gum과 glucomannan 첨가구는 길어졌다. FQN은 HPMC와 guar gu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반죽의 발효부피 분석에서 guar gum과 HPMC 첨가구의 부피가 컸고, 반죽의 pH는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으로 hydrocolloids가 밀가루와 쌀가루 혼합분의 paste, 반죽, 발효부피, 반죽의 pH 등에 영향을 주었다.

밀가루의 이화학적(理化學的)인 성질(性質) 및 냉동(冷凍)반죽의 안정성(安定性) (Studie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Stability of Frozen Dough)

  • 서석출;송형익;정기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75-80
    • /
    • 1987
  • 냉동발효(醱酵)빵 제조에 사용되는 경질(硬質) 밀가루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과 straight no-time method로 조제한 반죽의 동결안정성(凍結安定性)을 검토(檢討)하였다. 밀가루는 수분이 14.0%, 회분(灰分)이 0.48% 정도였고 단백질이 13.15%, 건조 gluten이 13.43%였다. Farinograph성적은 반죽의 development time이 5.5분, 흡수율(吸水率) 62%였고, amylograph성적상의 최고점도(最高粘度)는 500BU정도였다. Extensigraph의 특성중(特性中) 신장저항성(伸張抵抗性)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고, 신장성(伸張性)은 감소(減少)하였다. 이상(以上)의 이화학(理化學)이 성질(性質)로 미루어 공시(供試)밀가루는 제(製)빵에 아주 적합하였다. 동결저장기간과 발효시간이 발효력(醱酵力)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반죽온도를 $20^{\circ}C$로 조정하는 것이 반죽의 냉동장해(冷凍障害)를 억제하고 냉동안정성(冷凍安定性)을 유지하는데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Effects of adding ethanol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to Yackwa base as an antioxidant during storage

  • Sim, Ki Hyeon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3-71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adding ethanolic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to Yackwa (Korean fried cookie). The reducing power and antioxidant activity of U. davidiana-treated Yackwa were assessed against DPPH, nitric oxide, superoxide anions, superoxide dismutase, and ABTS radicals. Increasing the amount of U. davidiana extract in Yackwa dough resulted in improved antioxidant properties. U. davidiana extracts were effective antioxidants with a radical scavenging potency similar to the potency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L-ascorbic acid. The DPPH and nitric 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Yackwa containing 0.2% U. davidiana resulted in increased oxidative stability relative to control dough. Although the antioxidant effects of Yackwa containing U. davidiana extract were lower than those of Yackwa containing BHT and L-ascorb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U. davidiana extracts hav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ly, U. davidiana extract is a potential additive for deep-fried foods, such as Yackwa, to improve their oxidative stability.

솔잎 발효액이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ation Pine Needle Extract on the Quality of Plain Bread)

  • 최동만;이동선;정순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4-159
    • /
    • 2007
  • 식빵을 제조할 때 솔잎의 당 발효액을 설탕 대용으로 사용하면서 솔잎의 기능성을 제빵에 이용하고자 솔잎발효 액을 첨가하여 반죽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고, 빵을 제조 후 실온에 저장하면서 제품의 품질 변화를 보았다. farinogram에 의한 반죽의 물성 평가에서 반죽에 대한 안정성과 혼합 내구성에서 설탕을 함유한 반죽보다 솔잎발효 액을 첨가한 처리구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반죽의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pH에서도 솔잎발효액 첨가 구에서 효모의 활성이 왕성할 수 있는 pH조건인 pH 5.4-5.8사이로 유지되었다. 반죽의 경도 역시 높지 않아 발효 중 가스 보지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반죽의 신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부피와 비용적에 있어서도 대조구에 비교해서 솔잎발효 액의 함량이 많을수록 부피와 비용적이 각각 크고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빵의 저장 중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노화현상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중의 경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노화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솔잎발효 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노화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생물 변화에 있어서도 총균수 및 곰팡이 균수에서 솔잎의 기능성인 항균력으로 인해 솔잎발효액의 처리구에서 미생물 생육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솔잎발효액을 첨가함으로써 빵 반죽은 물론 완제품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제빵의 품질은 물론 저장성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Gluten and Soybean Polypeptides on Textural, Rheological, and Rehydration Properties of Instant Fried Noodles

  • Ahn, Chang-Won;Nam, Hee-Sop;Shin, Jae-Kil;Kim, Jae-Hoon;Hwan, Eun-Sun;Lee, Hyong-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698-703
    • /
    • 2006
  • We investigated how the addition of polypeptides to instant fried noodle dough affects the dough properties, starch gelatiniza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cup-type instant fried noodles. After comparing farinograph results of 100% wheat flour with 1% wheat flour substituted with gluten, there was a small difference in the mechanical dough properties. However, in the case of 1% wheat flour substituted with gluten peptides, the dough development time increased, dough stability decreased, and weaknes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gluten or gluten peptides were added, starch gelatinizat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t the steaming stage, substitution with gluten peptides or soybean peptides markedly changed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s of extractable polypeptides. Especially in the case of wheat flour substituted with 1% gluten peptides, the relative portion of low Mw extractable polypeptides (2.5-50 kDa) decreased more compared to a control. Also, the hardness and chewiness decreased in cooked cup-type instant fried noodles containing gluten peptides. This suggests that the addition of gluten peptides can reduce the rehydration time of cup-type instant fried nood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