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T type steel fram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DT 스틸 프레임 내진보강공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DT Steel Frame Seismic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 우미소;이동운;윤정배;문일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5
    • /
    • 2020
  • The research presented in this paper is subject to RC frame that increases seismic capacity by attaching DT(Double T type) steel frame to reinforced concrete colum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build experimental database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retrofit column but also to formulate modeling parameters of RC frame retrofitted by DT steel frame through comparing analysis for analytical model predicting inelast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 PDF

상·하부 스플릿 T 접합부의 휨강도 설계식 (Design Formula for the Flexural Strength of a Double Split Tee Connection)

  • 양재근;김주우;김윤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11-520
    • /
    • 2012
  •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는 부분강접 접합부의 한 형태로 접합부에 사용된 T-stub의 두께 및 고력볼트 게이지 거리 변화에 따라서 충분한 휨강도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는 강재의 종류, 보 및 기둥의 규격, 접합부 형상 등의 조합에 의하여 보통모멘트골조 혹은 특수모멘트골조에 적용 가능한 충분한 연성능력을 갖는 내진접합부로 설계 및 시공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며 적합한 설계식의 제안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실험 및 해석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FEMA의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에 대한 설계식을 검토하고 국내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