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e-effect relationship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1초

Retinoic acid가 사람 정상 구강각화세포의 방사선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retinoic acid on the radiosensitivity of normal human oral keratinocyte)

  • 이진;허민석;이삼선;오성욱;이설미;최항문;최순철;박태원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2호
    • /
    • pp.97-105
    • /
    • 2003
  •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f all-trans-retinoic acid (ATRA) on the radiosensitivity of normal human oral keratinocyte (NHOK). Materials and methods: Relative cell survival fraction including SF2 (survival fraction at 2 Gy)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colony formation assay. Data were fitted to the linear-quadratic model to establish the survival curve and calculate α and β values. Using flow cytometry at 1, 2, 3, 4, and 5 days after exposure to 2 and 10 Gy irradiation,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were analysed.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radiosensitization of ATRA on NHOK, proteins related with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reatment with ATRA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of SF2 value for NHOK from 0.63 to 0.27, and increased α and β value, indicating that ATRA increased radiosensitivity of NHOK. ATRA increased LDH significantly, but increasing irradiation dose decreased LDH, suggesting that the radiosensitizing effect of ATRA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increasing cell necrosis by ATRA. ATRA did not induce appotosis but increased G2 arrest after 10 Gy irradiation, implying that the increased radiosensitivity of NHOK may be due to a decrease in mitosis casued by increasing G2 arrest. ATRA inhibited the reduction of p53 at 3 days after l0Gy irradiation and increased p21 at 1 day after 10 Gy irradiation.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precise relationship between this effect and the radiosensitizing effect of A TRA.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TRA increase radiosensitivity by inhibiting mitosis caused by increasing G2 arrest.

  • PDF

기관지 반응성의 임상적 의의 및 메타콜린으로 유도된 천식 발작시 폐기능 변화와의 관계 (Clinical Impact of Bronchial Reactiv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Changes of Pulmonary Function After Asthmatic Attack Induced by Methacholine)

  • 류연주;최영주;곽재진;이지아;남승현;박창한;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24-36
    • /
    • 2002
  • 연구배경 : 기관지 반응성은 기관지 수축제의 연속적인 흡입에 따르는 기도 수축반응의 증가로서 용량-반응곡선의 기울기로 표현되고 기관지 감수성과 더불어 기관지 천식의 가장 중요한 특정인 기관지 과민성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관지 수축 유발 검사 시에는 기관지 감수성만을 측정하고 있으며, 기관지 반응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립된 이론이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 감수성과 기관지 반응성의 관계와 임상증상과의 관련성, 치료경과 및 폐기능 변화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기관지 반응성의 임상적 유용성 및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천식의 중증도 분류에서 중증군을 제외한 경증 간헐성, 경증 지속성, 중등증의 천식 환자들과 기침형 천식환자, 총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기저 메타콜린 천식유발검사로 $FEV_1$이 비교 기준치보다 20% 이상 감소하는 메타콜린 PC20에 도달하면, 메타콜린 농도를 1회 더 높여 흡입시켜 $FEV_1$을 측정하여, log 용량-반응곡선을 그려서 PC40를 구했고, PC20와 PC40를 연결한 기울기로 기관지 반응성을 측정했다. 이 중에 43예 에서는 메타콜린 천식유발검사 전후에 body plethysmography와 single breath for DLCO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지관지 반응성은 각각 경증 간헐성군 $38.0{\pm}18.16$, 경증 지속성군 $49.8{\pm}9.77$, 중등증군 $61.0{\pm}13.07$, 기침형 천식군에서 $43.8{\pm}3.73$ 이었다. 2) 기관지 감수성과 기관지 반응성은 경미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0.34, p<0.01). 3) 기저 폐기능이 유사하면서 기관지 감수성이 비슷한 환자들에서 기관지 반응성이 큰 군이 작은 군에 비해 증상의 경중도와 임상경과가 심한 경향을 보였다. 4) 기저 폐기능과 기관지 반응성과는 sGaw, Raw, $FEV_1$/FVC, MMFR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메타콜린으로 유도한 천식 발작 후의 폐기능 변화량과 기관지 감수성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를 찾아 볼 수 없었으나, 기관지 반응성은 PEF, $FEV_1$, DLCO 순으로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 기관지 반응성은 기관지 감수성과 경미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기관지 감수성에 비하여 임상증상의 정중도와 더 관련이 켰다. 기관시 감수성은 메타콜린으로 유도한 천식발작시 폐기능의 변화정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나, 기관지 반응성은 메타콜린으로 유도한 기관지 폐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기관지 반응성과 기관지 감수성은 서로가 보완적이며 독립적인 기관지 과민성의 구성요소로서, 천식환자의 진단을 위한 메타콜린 천식 유발검사시에 PC20와 함께 기관지 반응성을 측정하는 것이 환자의 임상적 평가와 치료경과 및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반응성을 측정하는 못하는 경우 sGaw의 측정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leep Duration and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 Zhao, Hao;Yin, Jie-Yun;Yang, Wan-Shui;Qin, Qin;Li, Ting-Ting;Shi, Yun;Deng, Qin;Wei, Sheng;Liu, Li;Wang, Xin;Nie, Shao-F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509-7515
    • /
    • 2013
  • To assess the risk of cancers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using meta-analysis of published cohort studies, we performed a comprehensive search using PubMed, Embase and Web of Science through October 2013. We combined hazard ratios (HRs) from individual studies using meta-analysis approaches. A random effect dose-response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cancer risk. Subgroup analyses and sensitivity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Publication bias was evaluated using Funnel plots and Begg's test. A total of 13 cohorts from 12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which included 723, 337 participants with 15, 156 reported cancer outcomes during a follow-up period ranging from 7.5 to 22 years. The pooled adjusted HRs were 1.06 (95% CI: 0.92, 1.23; P for heterogeneity =0.003) for short sleep duration, 0.91 (95% CI: 0.78, 1.07; P for heterogeneity <0.0001) for long sleep duration. In subgroup analyses stratified by cancer type, long duration of sleep showed an inverse relation with hormone-related cancer (HR=0.79; 95% CI: 0.65, 0.97; P for heterogeneity =0.009) and a greater risk of colorectal cancer (HR=1.29; 95% CI: 1.09, 1.52; P for heterogeneity =0.346). Further meta-analysis on dose-response relationships showed that the relative risks of cancer were 1.00 (95% CI: 0.99, 1.01; P for linear trend=0.9151) for one hour of sleep increment per day, and 1.00 (95% CI: 0.98, 1.01; P for linear trend=0.7749) for one hour of sleep increment per night. No significant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cancer was found on non-linearity testing (P=0.5053). Our meta-analysis suggest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long sleep duration and colorectal cancer, and an inverse association with incidence of hormone related cancers like those in the breast.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 longer follow-up times, more cancer types and detailed measure of sleep duration are warranted to confirm these results.

Association Between ERCC2 Polymorphisms and Glioma Risk: a Meta-analysis

  • Huang, Li-Ming;Shi, Xi;Yan, Dan-Fang;Zheng, Min;Deng, Yu-Jie;Zeng, Wu-Cha;Liu, Chen;Lin, Xue-D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1호
    • /
    • pp.4417-4422
    • /
    • 2014
  • ERCC2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nucleotide excision repair pathway which is involved in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genome integrity. Association studies on ERCC2 polymorphisms and glioma risk have yielded inconclusive results. This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gain a better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RCC2 polymorphisms and glioma risk.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updated to December 2, 2013 was performed in the Pubmed and EMBASE databases. Crude pooled odds ratios (ORs) with their corresponding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s) were us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ERCC2 polymorphisms and glioma risk under a suitable effect model according to heterogeneity.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Review Manager 5 (version 5.2) and STATA (version 12.0). The combined results demonstrated rs13181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lioma risk (G allele versus T allele: OR=1.15, 95% CI=1.05-1.26, P=0.002; dominant model: OR=1.22, 95% CI=1.07-1.39, P=0.002; recessive model: OR=1.18, 95% CI=0.98-1.41, P=0.070). We also found that rs13181 acts in an allele dose-dependent manner (GG versus TT: OR=1.30, 95% CI=1.07-1.57, P=0.009; TG versus TT: OR=1.20, 95%=CI 1.05-1.37, P=0.009; trend test, P=0.004). However, no evidence was found in analyse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other 3 ERCC2 polymorphisms (rs238406, rs1799793, and rs1052555) and susceptibility to glioma development. Our meta-analysis suggests that rs13181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lioma risk in an allele dose-dependent manner, whereas, 3 other ERCC2 polymorphisms (rs238406, rs1799793, and rs1052555) may have no influence.

Dosimetric and Clinical Predictors of Acute Esophagitis in Lung Cancer Patients in Turkey Treated with Radiotherapy

  • Etiz, Durmus;Bayman, Evrim;Akcay, Melek;Sahin, Bilgehan;Bal, Cengiz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223-4228
    • /
    • 201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and dosim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esophagitis (AE) in lu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onformal radiotherapy (RT) in Turkey.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review 104 lung cancer patients were examined. Esophagitis grades were verified weekly during treatment, and at 1 week, and 1 and 2 months afterwards. The clinical parameters included patient age, gender, tumor pathology, number of chemotherapy treatments before RT, concurrent chemotherapy, radiation dose, tumor response to RT, tumor localization, interruption of RT, weight loss, tumor and nodal stage and tumor volume. The following dosimetric parameters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of AE: The maximum ($D_{max}$) and mean ($D_{mean}$) doses delivered to the esophagus, the percentage of esophagus volume receiving ${\geq}10$ Gy ($V_{10}$), ${\geq}20$ Gy ($V_{20}$), ${\geq}30$ Gy ($V_{30}$), ${\geq}35$ Gy ($V_{35}$), ${\geq}40$ Gy ($V_{40}$), ${\geq}45$ Gy ($V_{45}$), ${\geq}50$ Gy ($V_{50}$) and ${\geq}60$ Gy ($V_{60}$). Results: Fifty-five patients (52.9%) developed AE. Maximum grades of AE were recorded: Grade 1 in 51 patients (49%), and Grade 2 in 4 patients (3.8%). Clinical factor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cidence of AE. In terms of dosimetric findings, correlation analyses demonstr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E and $D_{max}$ (>5117 cGy), $D_{mean}$ (>1487 cGy) and $V_{10-60}$ (percentage of volume receiving >10 to 60 Gy). The 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T and esophagitis were in $D_{max}$ (>5117 cGy) (p=0.002) and percentage of esophageal volume receiving >30 Gy ($V_{30}$ >31%) (p=0.008)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The maximum dose esophagus greater than 5117 cGy and approximately one third (31%) of the esophageal volume receiving >30 Gy was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associated with esophagitis due to RT.

새로운 주름개선 소재: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의 개발과 화장품 응용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 a Novel Anti-wrinkle Agent for Cosmeceuticals)

  • 이범천;이정재;박성민;김철배;심관섭;김진화;이근수;이천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13
    • /
    • 2004
  • 3,9-Dihydro-6-oxopterocarpen과 ferulic acid의 에스테르 반응을 통해 페룰산 유도체인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_{(R)}$ )를 합성하여 이를 함유한 주름개선 화장품을 개발하였다. Tensolin-$F_{(R)}$ 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0.8 mM에서 78%, 0.053 mM에서 92.9%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도 0.16 mM에서 74%를 저해하였다. HDF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의 발현 저해 효과는 Tensolin-$F_{(R)}$ 0.8 uM에서 85.5%로 단백질 수준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Tensolin-$F_{(R)}$ 를 함유한 제품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 평가 결과, Tensolin-$F_{(R)}$ 를 함유한 화장품을 약 8주 간 도포한 경우 유의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Tensolin-$F_{(R)}$ 는 항산화 효과와 MMP-1활성 저해 효과 및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새로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Effect of remifentanil on intraoperative fluid balance: a retrospective statistical examination of factors contributing to fluid balance

  • Ohara, Sayaka;Nishimura, Akiko;Tachikawa, Satoshi;Iijima, Takehiko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3호
    • /
    • pp.129-135
    • /
    • 2020
  • Background: Postoperative fluid retention is a factor that causes delay in recovery and unexpected adverse events. It is important to prevent intraoperative fluid retention, which is putatively caused by intraoperative release of stress hormones, such as ADH (anti-diuretic hormone) or others. We hypothesized that intraoperative analgesia may prevent pathological fluid retention. We retrospectivel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gesics and in-out balance in surgical patients from anesthesia records. Methods: Anesthetic records of 80 patients who had undergone orthognathic surgery were check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anesthetized with either TIVA (propofol and remifentanil) or inhalational anesthesia (sevoflurane and remifentanil). During surgery, acetated Ringer's solution was infused for maintenance at a rate of 3-5 ml/kg/h at the discretion of the anesthetist. The perioperative parameters, including the amount of crystalloid and colloid infused, and the amount of urine and bleeding were checked. Furthermore, we checked the amount and administration rate of remifentanil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mifentanil dose and the in-out balance or the urinary output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ntributing factor to fluid retention, including urinary output, was statistically examined by means of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mifentanil dose and urinary output. Urinary output less than 0.04 ml/kg/min was suggested to cause positive fluid balance. Although in-out balance approaches zero balance with increase in remifentanil administration rate, no contributing factor for near-zero fluid balance was statistically picked up. The remifentanil administration rate was statistically picked up as the significant factor for higher urinary output (> 0.04 ml/kg/min) (OR, 2,644; 95% CI, 3.2-2.2 × 106) among perioperative parameters. Conclusions: In conclusion, remifentanil contributes in maintaining the urinary output during general anesthesia. Although furth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is hypothesis, it was suggested that fluid retention could be avoided through suppressing intraoperative stress response by means of appropriate maintenance of remifentanil infusion rate.

치료방사선 조사가 잡종 백색마우스의 대장에 미치는 병리조직학적 영향 (The Effect of Total Dose of Radiation on Normal Colon of Hybrid Mice)

  • 조길호;김명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2호
    • /
    • pp.99-105
    • /
    • 1986
  • 암의 방사선 치료는 단독, 혹은 수술이나 화학요법과의 병합치료를 통하여 좋은 생존율을 보여주고 있으나 정상 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후유증은 아직도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정상조직의 손상에 대한 연구는 암 조직의 방사선에 대한 연구와 함께 필수적이며, 근래에 계속되고는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과 같은 분할조사에 대한 계통적인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는 60마리의 백색 마우스를 사용하여 $2\times3cm$의 조사야로 고식적인 방법으로 분할 조사한 후 전 조사량에 따른 병리조직학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잠혈반응 검사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직장에 심한 후유증이 오지 많을 수 있는 가능한 최대 내 선량을 추정하여 임상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삼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막 및 점막하 부종은 1,000 rad군에서부터 관찰되었다. 소혈관 울혈은 2,000 rad군에서 현저하였고 염증세포의 침윤은 3,000 rad군에서 현저하였다. 점막의 탈락은 3,000 rad군에서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잠혈반응은 점막탈락, 혹은 괴양의 정확한 척도로 삼기에는 부적당하였으나 총 조사량의 증가와 함께 잠혈반응의 양성도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간접적인 지표로 삼을 수는 있으리라고 생각되었다. 소낭선세포의 분열상이 5,000 rad군에서도 관찰되는 것으로 미루어 5,000 rad의 조사에서도 재생능력이 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Comet assay를 이용한 Ferric Sulfate의 유전자 독성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GENOTOXICITY OF FERRIC SULFATE BY COMET ASSAY)

  • 강호승;김신;정태성;박혜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7-84
    • /
    • 2000
  • 치수절단술은 유치의 치수치료 방법 중 사용빈도가 높은 시술 중 하나로 치수절단 술식에 사용되는 약제는 치수나 주위조직에 무해하여야 하며, 감염이나 내흡수 등의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유치의 지혈적 치수절단 술식의 약제로 사용되는 ferric sulfate의 유전자 독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human gingival fibroblast에 ferric sulfate를 다양한 농도와 접촉시간을 설정한 후 comet assay를 이용하여 유전자 독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도에 따른 세포의 유전자 손상정도의 변화는 ferric sulfate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전자 손상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농도에 따른 세포의 유전자 손상정도는 0.1mM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3. 시간경과에 따른 세포의 유전자 독성의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가로 환경디자인의 활성화 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쿄시의 주요 가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Factor and Characteristics of Street Design - Focusing on the Famous Streets in Tokyo, Japan -)

  • 정수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323-334
    • /
    • 2004
  • 본 연구는 가로 환경디자인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로, 일본, 도쿄의 유명 가로를 그 대상으로 한다. 가로환경의 구성 요소는 크게 물적 요소와 비 물적 요소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물적인 요소에는 도시의 형태, 건축물, 가로의 형태, 오픈스페이스의 입지, 가로수, 가로 장치물 등이 있고, 비 물적인 요소로는 시설의 프로그램, 상품의 물류, 문화, 역사와 같은 공간 프로그램, 다른 지역과 차별화를 통한 개성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것 등이다. 대상지로는 신주쿠, 시부야, 하라주쿠, 우에노, 이케부쿠로를 선정하였다. 조사결과, 대중교통수단과 거리 상으로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며 역사적인 맥락을 가지고있다. 물리적인 공간의 조작을 통하여 연속적인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비 일상적인 체험을 극대화한다. 이는 과정에서부터 기반시설을 확보하고 제도적으로 보장하고자 하기 때문에 가능하며, 한편으로는 지역의 차별화를 위한 브랜드화 전략과 마케팅 수법이 적절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로 환경 내에서 가로 장치물의 역할에 의하여 이러한 활성화 요인들이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