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gchimi juic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Some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Juice

  • Kim, Dong-Hee;Chum, Yun-Kee;Kim, Woo-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46-52
    • /
    • 1996
  • Effectiv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Dongchimi juice was developed by addition of NaCi, sucrose and bydrolytic enzymes before fermentation and addition on Dongchimi juice during fermentation. The radish was ground and suspended in water(1:1, w/v) with addition of spices(garlic, green onion and ginger) followed by fermentation at $25^{\circ}C$. The addition of 2% NaCi and 0.5~2.0% sucrose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of solid content and it was also improved by the addition of polysaccharide hydrolyzing enzyme during fermentation. When the fermented juices of pH 5.4 of 4.4 were added by 15% of total weight before(pH 5.4 juice)and during (pH 4.4 juice) fermenta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solid content after 24hrs of fermentation was resulted. The combined method of addition of 2% NaCI, 1.0% sucrode, 0.1% Viscozyme and 10% of fermented juice of pH 5.4 and 4.$ before and during fermentation improved solid content, reducing sugar, color and showed little effect on viscosity.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were also improved by the combined method.

  • PDF

역삼투막 농축에 의한 동치미를 이용한 이온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Ion Beverage from Dongchimi Product by Reverse Osmosis Concentration)

  • 고은정;허상선;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73-578
    • /
    • 1994
  • 동치미를 이용한 알카리성 이온음료 제조의 타당성 및 개선방안을 고찰하고자 염도 2.0%, 2.4%, 무와 소금물의 비율 1 : 1.5로 담구어 $0^{\circ}C,\;5^{\circ}C,\;10^{\circ}C$에서 각각 숙성시킨 동치미의 성분을 분석하여 최적으로 숙성된 동치미액을 취해 이를 역삼투공정에 의해 농축하여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당함량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증가하였다가 숙성적기 이후에는 감소하는데 이는 숙성이 진행되면서 동치미내의 미생물작용으로 당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사료되어진다. 무기물 함량변화는 소금성분이 무 조직내로 침투하여 조직내의 $K^{+},\;Mg^{2+},\;Ca^{2+}$와 치환되어 동치미액 중의 $Na^{+}$농도는 감소하고 $K^{+},\;Mg^{2+},\;Ca^{2+}$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숙성온도가 높고 염도가 높은 동치미에서 보다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동치미액 중 각 실험조건에서 최적의 품질을 나타내는 동치미를 5l 취해 역삼투시스템을 이용하여 농축한 결과 압력이 높을수록 고농도의 동치미액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기존의 이온음료와 성분분석 비교 결과 당함량을 제외한 전해질 성분은 동치미 및 동치미 농축액이 기존의 이온음료보다 훨씬 많은 함량을 띠고 있어 향후 이온 음료로서의 개발 타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항균활성이 높은 젖산균에 의한 냉면용 동치미액의 속성제조 (Rapid Preparation of Dongchimi-Juice for Naengmyon by Lactic Acid Bacteria Having High Antibacterial Activity)

  • 박상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7-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rapid preparation method of Dongchimi-juice having favor-able flavor an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undesirable bacteria in Naengmyon-broth by using high antibacterial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homohiochii B21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 as Dongchimi starter. When the two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used as starter mixed culture was better than single culture in acid produc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When starter was not inoculated in Dongchimi fermentation the numbers of Gram negatives and colifor-ms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early phase and antibacterial activity could scarcely be detected. But when starter was inoculated the numbers of Gram negatives and coliforms were sharply decreased from early phase and antibacterial ctivity was high. When Dongchimi was made with heat sterilized mat-erials and starter there were no Gram negatives and coliforms and antibacterial activity was high.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tarter inoculated Dongchimi was maximum in 2 days of fermentation at 2$0^{\circ}C$ and was scarcely detected in six days. In consideration of coliform counts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flavor of Dongchimi the preparation method in which all materials were heat treated at 8$0^{\circ}C$ for 15 min-utes and inoculated with mixed starter of the two strains and fermented for 2 days at 2$0^{\circ}C$ was thoug-ht to be good.

  • PDF

숙성온도와 염농도에 따른 동치미 국물의 성분변화 및 관능적 특징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juice)

  • 김지향;손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8-34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동치미를 제조하여 그 국물의 식품학적인 특성과 관능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담금변수는 첨가되는 염농도와 숙성온도로, 염농도 2%, 2.5%, 3%의 동치미를 제조하여 담금 초기부터 4$^{\circ}C$의 저온과 12$^{\circ}C$의 비교적 고온, 그리고 12$^{\circ}C$에서 12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로 옮겨 각각 숙성시켰다. 색도와 총 비타민 C 함량, 유리당과 같은 이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고 총 12명에게 6가지 항목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치미 국물의 색도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탁하고, 적색과 갈색을 띄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는데 숙성중기 이후에 더 급격히 변하였다. 총비타민 C는 염농도보다는 숙성온도에 더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였는데 역시 12$^{\circ}C$에서 4$^{\circ}C$로 숙성온도를 옮긴 동치미 국물에서 가장 많은 비타민 C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최고치를 유지하는 기간도 길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가 분석되었는데 이들 유리당의 총 함량은 염농도에 따라서는 차이를 알 수 없었으나 숙성온도에 따라서는 숙성온도를 바꾸어 가며 숙성시킨 동치미 국물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발견되었다. 관능검사는 숙성도, 짠맛, 탄산미, 불쾌취, 투명도, 전체적인 수응도를 평가하였는데 탄산미는 각각의 변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9가지 시료중에서 가장 수응도가 좋은 동치미 국물은 12$^{\circ}C$에서 4$^{\circ}C$로 숙성온도를 바꾸어 숙성시킨 염농도 2.5%, 3% 동치미이고 이 중 2.5% 염농도의 동치미액은 불쾌취도 적게 나는 것으로 평가되어 관능적인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동결 및 해동 방법이 동치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Dongchimi)

  • 이도현;박석준;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96-1603
    • /
    • 1999
  • 동치미를 동결하면 미생물의 사멸, 및 성장과 효소의 작용이 정지되어 더 이상 발효가 진행되지 않아 산패 및 조직의 연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동결 저장은 동치미의 효과적인 저장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동결 방법과 해동 방법으로는 동결 및 해동 공정시 품질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액체질소를 이용한 급속 동결 및 915MHz microwave을 이용한 급속 해동 공정을 실시하였다. 동치미를 제조한 후 발효 적숙기인 pH 3.8에서 동결하였는데 동치미 무와 액을 함께 동결할 경우 동치미 무의 hardness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무와 액을 각각 분리하여 동결시켰다. 동치미 무의 size는 $2{\times}2{\times}6cm$이 품질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크기이었고, 동치미 액은 $5{\times}5{\times}10cm$로 설정하였다. 동치미 무의 경우 액체질소로 동결하고 915 MHz microwave로 해동하였을 때 조직의 hardness에 기여하는 pectinesterase activity가 가장 높았고, 조직의 연화에 작용하는 polygalacturonase activity가 가장 낮아서 hardness가 가장 좋았으며 색도의 변화도 가장 적었다. 동치미 액의 경우 $-70^{\circ}C$에서 동결하고 915 MHz microwave로 해동하였을 때 pH와 산도의 변화가 적었으며 미생물이 가장 많이 사멸되었다. 따라서 급속 동결 및 급속 해동을 이용한 저장방법은 동치미의 장기 저장 시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과채쥬스 제조를 위한 혼합조건의 선정 (Selection of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Mixed Vegetable Juice)

  • 이규희;고영수;최희숙;김우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3-118
    • /
    • 1995
  • A preferable mixing ratio of a six-vegetable juice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vegetables used for preparation of mixed vegetable juice were carrot(Ct), cabbage(Cg), pear(Pr), cucumber(Cr), celery (Cy) and dongchimi(Di). The characteristics of pH, titratible acidity, reducing sugar, turbidity, solids, color and acceptability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mixing ratio. The vegetables showed a wide ranHe of pH of 3.70-6.01, acidity of 28.92 uv~74.40 nd and reducing sugar of 1.20ft~ 12.69fo. Celery juice showed the higest suspension stability and "b" value and the lowest values in Hunter "L" and "a" values among the 6 vegetable juice. The preferable mixing ratio of two-vegetable juice selected were Ct-Di(1 : 4), Cg-Pr(1 : 3) and Cr-Cy(3 : 1). From the various ratio of the three of biary mixtures of Cg-Pr(1 : 3): Ct-Di(1 : 4): Cr-Sy(3 : 1), two ratio of 5.0 : 2.5 2.5(V-6A) and 6.0 : 2.0 : 2.0(V-6B) were suggested as the most prefered six-vegetable juice. Pear, dongchimi and cucumber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on the preference. The pH and titratible acidity of the two juices with different ratios were in the range of 4.92~4.98 and 36.g∼37.4 ml, respectively.

  • PDF

저염 동치미 쥬스의 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온도 및 소금농도 (Optimal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for Low Salt Dongchimi Juice Preparation)

  • 엄대현;장학길;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78-584
    • /
    • 1997
  • 저염 동치미 쥬스의 제조를 위하여 동치미의 발효 온도와 담금액의 소금농도가 동치미 쥬스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최적 발효온도와 소금농도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동치미 담금은 무를 담금액(0.3~3.0% NaCl)과의 비율이 1:1(w/v)되게 용기에 담그고 파, 마늘, 생강을 첨가한 다음 10, 20, 3$0^{\circ}C$에서 발효하였다. 동치미의 발효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빠르게 진행되었고 소금농도의 영향은 발효온도에 따라 달랐다. 10. 2$0^{\circ}C$에서는 3.0%의 소금농도로 담근 동치미가 가장 빨리 pH 3.8에 도달하였으며 0.5%가 그 다음이었다. 그러나 3$0^{\circ}C$에서는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발효속도가 느렸다. pH 3.9의 동치미 쥬스를 채점법으로 관능검사 한 결과 새콤한 내와 맛은 0.5%의 소금농도로 2$0^{\circ}C$에서 발효시킨 동치미 쥬스가 가장 높게 평가받았고 기호도 검사에서도 2$0^{\circ}C$에서 0.5% NaCl 담금액에 발효시킨 pH 3.8~4.0의 동치미 쥬스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2$0^{\circ}C$에서의 0.5% NaCl 보다 낮은 담금액에서는 발효가 빠르게 진행되었고 높은 탁도를 보여주었지만 0.5%의 소금농도로 담근 동치미 쥬스의 향미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경도 변화 및 세포벽 관찰 (The Changes of Hardness and Microstructure of Dongchimi according to different kinds of water)

  • 심영현;안기정;김지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6-94
    • /
    • 2004
  •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발효숙성 중 미세구조관찰을 조사하기 위해 담금액의 종류를 증류수, 정수, 광천수 처리구로 달리해 1$0^{\circ}C$에서 46일간 저장하면서 pH변화, 총산변화, 염도 변화, 탁도 변화, 조직감 변화 및 세포벽관찰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는 점차로 낮아지다 숙성 12일부터 완만하게 변화하고 총산도 변화는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다른 처리구와는 다르게 적숙 도달시점인 0.3-0.4범위$^{26)}$에 가장 늦게 도달 하여 적숙산도 범위가 숙성말기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동치미의 침지액의 소금농도는 담금 직후 3%에서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다 각 처리구별 숙성 12-25일에 평형상태에 도달했다. 동치미의 침지액의 탁도 변화는 숙성초기엔 미생물이 증식이 없기 때문에 숙성기간별 염도와 상관관계가 있어 숙성 12일까지는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나다 발효말기에 다시 증가하였다. 동치미 무의 조직감 변화는 각 처리구별 숙성 25일에 최대 절단력을 나타내다 점차 감소하였으며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담금 직후인 0일에 비해 최대 절단력이 2.7배 증가하여 세 처리구 중 가장 높았다. Ca변화에서 동치미 침지액의 Ca변화는 숙성초기에 광천수 처리구의 Ca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광천수 처리구의 물 자체의 Ca함량이 높았기 때문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여겨지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Ca함량이 증가하다 숙성25일에 최대치를 보였다. 정수 처리구의 침지액과 무의 Ca변화는 숙성초기에 광천수 처리구보다는 낮게, 증류수보다는 높게 나타나다 숙성 9-15일에는 증류수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Mg변화는 침지액에서 전 처리구에서 숙성초기부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광천수처리구가 숙성 4-25일에 증가하였는데 이는 광천수의 $Ca^{2+}$, $Mg^{2+}$ 와 같은 양이온이 존재하여 펙틴질에 영향을 주어무 조직을 단단하게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세포벽 관찰에서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엽(Middle lamella)과 세포막 붕괴현상이 현저해짐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경우 광천수 처리구에 있어 식물조직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조직에 있어 펙틴 물질들 사이에 $Ca^{2+}$를 통한 가교형성으로 조직감을 부여함을 알았다. 광천수 처리구는 물자체에 함유된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성분이 조직감 향상에 관여 될 뿐만 아니라 탄산을 함유한 물 자체의 특성이 발효기간 중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다.

저염 동치미 쥬스의 저온살균이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steuriz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alt Dongchimi Juice)

  • 엄대현;장학길;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30-736
    • /
    • 1997
  • 저염 동치미 쥬스의 향미특성을 유지하는 가열살균 조건을 찾고자 가열온도와 시간이 총균수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저염 동치미 쥬스의 제조는 무를 0.5%의 소금용액에 담그어 $20^{\circ}C$에서 발효시켰다. 적당히 발효된 pH 3.8의 동치미 쥬스를 $60{\sim}100^{\circ}C$의 범위에서 $5{\sim}30$분간 가열한 결과 pH와 총산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쥬스의 밝기(L값)는 감소하였으며 탁도와 a, b값들은 가열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약간씩 높아졌다. 총균수는 가열 후 현저히 감소하여 60, $70^{\circ}C$에서 30분씩 가열한 동치미 쥬스는 각각 18, 6 CFU/mL로 감소하였으며 90, $100^{\circ}C$에서 10분간 가열한 후에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가열한 동치미 쥬스의 관능적 특성은 $70^{\circ}C$에서 20분간 가열할때까지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그 이상의 조건에서는 익은맛 등의 이취미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가열살균한 동치미 쥬스를 $3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한 결과 pH, 총산도, 색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가열하지 않은 동치미는 현저히 변화하였다. 살균한 동치미 쥬스의 저장 중 총균수는 초기 총균수와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그리하여 동치미 쥬스의 가열살균 조건으로는 쥬스의 특성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고 저장성이 높았던 $60^{\circ}C$에서 30분 또는 $70^{\circ}C$에서 20분간이 적절하였다.

  • PDF

유산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무주스의 저장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Radish Juice by Mixed Culture with Lactic Acid Bacteria during Storage)

  • 김정희;김종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56-462
    • /
    • 1999
  •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brevis를 무주스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2일간 혼합 배양하여 $65^{\circ}C$와 8$0^{\circ}C$에서 각각 30분, 15분으로 열처리하여 25, 15, 5$^{\circ}C$에서 8주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한 무주스에서는 미생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 모두 사멸되었음을 알수 있었으며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열처리를 하지 않은 무주스의 경우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pH는 빠르게 감소하고 산소는 빠르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탁도는 열처리하지 않은 경우 5$^{\circ}C$에서는 발효가 지연되어 열처리한 무주스보다 탁도가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8$0^{\circ}C$에서 15분 처리한 무주스는 신선한 동치미향이 감소하고 익은맛이 증가하므로 가열살균조건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처리하지 않고 5$^{\circ}C$에서 저장한 무주스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열처리하지 않은 무주스는 5$^{\circ}C$에서 8주 이상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