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gchimi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초

컬러동치미 제조를 위한 홍갓, 맨드라미, 비트에 함유된 안토사이안 색소의 최적 추출 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Extraction of Anthocyan from Celosia cristata L., Brassica juncea czerniak et coss, Beta vulgaris L. for manufacture of Color Dongchimi)

  • 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86-69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change the color of traditional Dongchimi using natural dyes to meet changing consumer demands. It was intended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ability for color Dongchimi, and the best optimum extraction solvent and method from the natural dyes were proven to be confirmed and valid. The extraction process was evaluated using different solvents including distilled water, 20% ethyl alcohol, and 1% citric acid, and the quantity of the extracted anthocyanin was then measured based on the absorbance. The greatest absorbance was observed when 1% citric acid was us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would be most efficient to allow the traditional Dongchimi to produce citric acid naturally instead of using artificial additives during its production. Celosia cristata L. was extracted in its largest quantity when reacted with 20% ethyl alcohol. Therefore, instead of applying Celosia cristata L. to Dongchimi as the sub-ingredient during the preparatory stage, it will be more efficient to use Celosia cristata L. as the fractional ingredient in order to first extraction.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경도 변화 및 세포벽 관찰 (The Changes of Hardness and Microstructure of Dongchimi according to different kinds of water)

  • 심영현;안기정;김지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6-94
    • /
    • 2004
  •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발효숙성 중 미세구조관찰을 조사하기 위해 담금액의 종류를 증류수, 정수, 광천수 처리구로 달리해 1$0^{\circ}C$에서 46일간 저장하면서 pH변화, 총산변화, 염도 변화, 탁도 변화, 조직감 변화 및 세포벽관찰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는 점차로 낮아지다 숙성 12일부터 완만하게 변화하고 총산도 변화는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다른 처리구와는 다르게 적숙 도달시점인 0.3-0.4범위$^{26)}$에 가장 늦게 도달 하여 적숙산도 범위가 숙성말기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동치미의 침지액의 소금농도는 담금 직후 3%에서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다 각 처리구별 숙성 12-25일에 평형상태에 도달했다. 동치미의 침지액의 탁도 변화는 숙성초기엔 미생물이 증식이 없기 때문에 숙성기간별 염도와 상관관계가 있어 숙성 12일까지는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나다 발효말기에 다시 증가하였다. 동치미 무의 조직감 변화는 각 처리구별 숙성 25일에 최대 절단력을 나타내다 점차 감소하였으며 광천수 처리구의 경우 담금 직후인 0일에 비해 최대 절단력이 2.7배 증가하여 세 처리구 중 가장 높았다. Ca변화에서 동치미 침지액의 Ca변화는 숙성초기에 광천수 처리구의 Ca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광천수 처리구의 물 자체의 Ca함량이 높았기 때문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여겨지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Ca함량이 증가하다 숙성25일에 최대치를 보였다. 정수 처리구의 침지액과 무의 Ca변화는 숙성초기에 광천수 처리구보다는 낮게, 증류수보다는 높게 나타나다 숙성 9-15일에는 증류수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Mg변화는 침지액에서 전 처리구에서 숙성초기부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광천수처리구가 숙성 4-25일에 증가하였는데 이는 광천수의 $Ca^{2+}$, $Mg^{2+}$ 와 같은 양이온이 존재하여 펙틴질에 영향을 주어무 조직을 단단하게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세포벽 관찰에서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엽(Middle lamella)과 세포막 붕괴현상이 현저해짐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물의 종류를 달리한 동치미의 경우 광천수 처리구에 있어 식물조직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조직에 있어 펙틴 물질들 사이에 $Ca^{2+}$를 통한 가교형성으로 조직감을 부여함을 알았다. 광천수 처리구는 물자체에 함유된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성분이 조직감 향상에 관여 될 뿐만 아니라 탄산을 함유한 물 자체의 특성이 발효기간 중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다.

동결 및 해동 방법이 동치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Dongchimi)

  • 이도현;박석준;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96-1603
    • /
    • 1999
  • 동치미를 동결하면 미생물의 사멸, 및 성장과 효소의 작용이 정지되어 더 이상 발효가 진행되지 않아 산패 및 조직의 연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동결 저장은 동치미의 효과적인 저장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동결 방법과 해동 방법으로는 동결 및 해동 공정시 품질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액체질소를 이용한 급속 동결 및 915MHz microwave을 이용한 급속 해동 공정을 실시하였다. 동치미를 제조한 후 발효 적숙기인 pH 3.8에서 동결하였는데 동치미 무와 액을 함께 동결할 경우 동치미 무의 hardness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무와 액을 각각 분리하여 동결시켰다. 동치미 무의 size는 $2{\times}2{\times}6cm$이 품질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크기이었고, 동치미 액은 $5{\times}5{\times}10cm$로 설정하였다. 동치미 무의 경우 액체질소로 동결하고 915 MHz microwave로 해동하였을 때 조직의 hardness에 기여하는 pectinesterase activity가 가장 높았고, 조직의 연화에 작용하는 polygalacturonase activity가 가장 낮아서 hardness가 가장 좋았으며 색도의 변화도 가장 적었다. 동치미 액의 경우 $-70^{\circ}C$에서 동결하고 915 MHz microwave로 해동하였을 때 pH와 산도의 변화가 적었으며 미생물이 가장 많이 사멸되었다. 따라서 급속 동결 및 급속 해동을 이용한 저장방법은 동치미의 장기 저장 시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PDF

포공영(민들레)의 동치미 발효에 의한 간세포 보호 및 면역증진 효과 (Effects of fermented Taraxacum mongolicum by Dongchimi on protection of liver cell and immune activity)

  • 최복수;김혜자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1
    • /
    • 2014
  • Objective : This study set out to combine the treatment efficacy of Taraxacum with Dongchimi fermentation and investigate Taraxacum's effects on protection of liver cell and controlling nitric oxide(NO) through experiments, thus checking whether it had values as a physiological active matter. The experimental materials include Taraxacum Dongchimi (TD) and Taraxacum fermented by Dongchimi (TDF). As for methodolog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D and TDF in components, protection effects for liver cells, anticancer effects on liver cells, and protection effects for brain cells in the aspects of liver function and immunity enhancement. Method : The experimental materials include Taraxacum Dongchimi (TD) and Taraxacum fermented by Dongchimi (TDF). As for methodolog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D and TDF in components, protection effects for liver cells, anti-cancer effects on liver cells, and protection effects for brain cells in the aspects of liver function and immunity enhancement. Results : As shown in the chromatogram results, each valid component content increased in Taraxacum fermented by Dongchimi (TDF) for each time section. Of them, the valid component content at 36.80 minutes was approximately 2.7 times higher in TDF at 21.8% than in Taraxacum Dongchimi (TD) at 8.28%. TDF generated more excellent protection effects against the toxicity that caused oxidative damage to the liver cell(HepG2) with t-BHP than TD. The survival rate was low in TD of $100{\mu}g/m{\ell}$ and $300{\mu}g/m{\ell}$ and increased to 23.3% in TDF of $100{\mu}g/m{\ell}$.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at $300{\mu}M$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f 68.1%(P<0.05). Both TD and TDF showed effects of controlling nitric oxide production according to concentration with TDF recording a higher rate of controlling nitric oxide production than T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the effects of controlling nitric oxide production at 200 ug/ml, 400 ug/ml in both groups. Especially the result TDF of $400{\mu}g/m{\ell}$ was thus similar to those of bute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ies is that Taraxacum fermented by Dongchimi (TDF) increased the valid component content compared with the simple mixture(TD). The findings clearly show that it is a material with the effects of improving immunity and liver cell protection. If fermentation methods are further developed to use it as a functional material, it will be subject to more opportunities of being used in other functional foods and make a contribution to integrated medicinal food development.

요양병원환자에게 적용한 김치유산균 함유 동치미즙의 구강간호효과: 클로르헥시딘 용액과의 비교 (The Effect of Dongchimi Juice Containing Kimchi Lactobacillus on the Oral Health of Patients at a Long-Term Care Hospital: Comparison with Chlorhexidine Solution)

  • 이승아;이동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40-55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Dongchimi juice containing kimchi Lactobacillus as an oral hygiene agent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chlorhexidine solution (0.12% dilution).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in which a single group of patients was exposed to two different treatments over a period of time. The study included 32 patients hospitalized at a longterm care hospital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2, 2016 and September 28, 2016. The patients first used chlorhexidine solution as an oral care agent for 1 week. After an interval of 2 weeks, they used Dongchimi juice for 1 week. Each agent was applied 2 times a day depending on the protocol. The or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measured using Beck's Oral Exam Guide (OEG) scores. The number of pathogens in the oral cavity was counted by culture, and the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for each oral agent was measur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T-test and Mann-Whitney test were perform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ongchimi juice and chlorhexidine solution by using PASW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The OEG scor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the use of chlorhexidine solution and Dongchimi juice. However, decreasing number of pathogens an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were higher with Dongchimi juice than with the chlorhexidine solu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use of Dongchimi juice containing kimchi Lactobacillus as an oral hygiene agent for Korean patients.

부재료가 동치미의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gredient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 이수한;김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2-166
    • /
    • 2009
  • 동치미의 관능특성에 있어 부재료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동치미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재료 4종(마늘, 파, 생강, 고추)을 조합하여 10종의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발효 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산생성 및 pH의 변화에 있어서는 부재료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관능적으로는 전체적인 기호도, 신냄새, 짠맛 및 매운맛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관능 특성을 Ward법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마늘을 포함하여 부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한 동치미 시료군, 소금만을 사용한 동치미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시료군 및 고추 이외의 한 종류의 부재료만을 사용한 동치미 시료군의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어 부재료 중 마늘이 동치미의 관능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다양한 부재료의 첨가는 상호작용에 의해 동치미의 매운 맛을 강하게 하고, 신냄새, 신맛, 군덕내 및 탄산미를 감소시켰다.

동치미의 발효중 $CO_2$ 발생특성 ($CO_2$ Production in Fermentation of Dongchimi (Pickled Radish Roots, Watery Radish Kimchi))

  • 이동선;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21-1027
    • /
    • 1997
  • $CO_2$production in fermentation of dongchimi was measured and interrelated with change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The effects of salt content and temperature on $CO_2$production rate were analysed. Fermentation of dongchimi showed drastic pH decrease in early stage and subsequent levelling off around 3.9, with linearly increased acidity up to 0.3~0.4% optimum quality. $CO_2$production of dongchimi could be analysed to consist of two consecutive stages of constant rate. The first stage $CO_2$production of higher rate moved to the second stage of lower rate when acidity rose beyond 0.3%. When compared to those of 1 and 2% salt content, dongchimi of 3% salt showed lower $CO_2$production rate in the 1st stage and slower acidity change through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However, it resulted in the product of highest $CO_2$accumulation at optimal ripeness because of consistent $CO_2$production of longer 1st stage period and relatively high $CO_2$production rate in 2nd stage. $CO_2$production depended on temperature less compared to acidity change(activation energy: 57.3 and 44.3kJ/mol for $CO_2$production of 1st and 2nd stages, respectively; 79.3kJ/mol for acidity change), which means higher ratio of $CO_2$production rate relative to acidity increase at lower temperature. Slower increase in acidity at low temperature also was shown to extend the period of 1st stage $CO_2$production. Therefore,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was effective in producing the high $CO_2$content dongchimi at adequate acidity, which is desirable organoleptically.

  • PDF

청각채가 동치미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e Plant(Codium Fragil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 박복희;조희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8-515
    • /
    • 2005
  • 동치미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청각채를 첨가하여 발효숙성 시켰을 때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군에서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대조군 보다 청각채 첨가군의 경우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청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게, 총산함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 환원 전위는 전체적으로 대조군에서 전위값의 변화가 적었으며, 김치 숙성의 최적기인 $25{\sim}40$일 사이에 Eh7값이 $-136.35{\sim}-185.12mV$로서 가장 혐기적인 상태를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청각채 첨가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총 비타민 C함량은 청각채 첨가군이 대 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며, 청각채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명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청각채 첨가군이 가장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가 30일 이후부터 다시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적색도와 비슷한 경향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경도는 발효숙성 20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탁도의 경우는 발효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청각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가용성 펙틴의 함량은 동치미 담금 직후에는 산가용성, 열수가용성, 염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그 함량이 많게 나타났는데, 발효 20일 이후부터는 이들 가용성 펙틴의 구성비가 산가용성, 염가용성, 열수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바뀌어 나타났다. 또한 발효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수 가용성 펙틴 함량은 감소하였고, 저 methoxyl기를 가진 염가용성 펙틴과 protopectin인 산가용성 펙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두부순물 첨가 동치미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Added with Soybean-Curd Whey)

  • 김미리;김민정;백종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68-1075
    • /
    • 2001
  • 첨가되는 부재료의 종류와 양이 적어 다른 종류의 김치에 비해 영양가가 낮은 동치미에 영양가는 높으나 폐기되고 있는 두부순물을 첨가하여 동치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두부순물을 동치미에 0, 2, 5 및 10%씩 첨가하여 1$0^{\circ}C$에서 16일간 저장하면서 숙성 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두부순물 첨가 동치미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첨가군에서 점차로 낮아졌는데, 두부순물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았다. 총산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두부순물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나 숙성 말기에는 대조군이 급속히 상승하여 비슷하였다. 탁도(OD at 558 nm)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두부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염도는 시료간에 유사하였다. 환원당 함량과 유산균 수는 두부순물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두부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많았다. 색차계에 의한 색도 L, a 및 b값은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며, texture analyser에 의한 경도는 두부순물 5%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관능검사(Scoring test : 선척도, 10점 만점) 결과, 숙성 전 기간동안 국물의 탁도, 신냄새, 탄산미 , 단맛, 감칠맛, 경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의 항목에서 두부순물 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두부순물 5% 첨가군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6.5점으로 가장 높았다(p<0.05).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Gatt (Brassica juncea)

  • Park, Jung-Eun;Moon, Sung-Won;Jang, Myung-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1-27
    • /
    • 2005
  • To improve Dongchimi (watery radish kimchi) quality and preservation, 0, 3, 5, 10, and 15% of gatt (Brassica juncea; leaf mustard) per radish was adde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for 45 days. Total acidity increased slowly by addition of gatt during initial fermentation period, and 15% treatment showed lowest total acidity. Total vitamin C content increased initially in all treatments depending on gatt content, and decreased thereafter. Period for reaching maximum value was delayed by addition of gatt. Highest total vitamin C was found in 15% treatments. In the case of reducing sugar, 5% treatment showed highest contents. Lactic, succinic, and tartaric acid contents consisten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while those of malic and citric decreased. Turbidity and total solid contents of Dongchimi liquid increased in all treatments as fermentation proceeded, although the extent was rather suppressed by addition of gatt. Colorimetric lightness values decreased, while the initial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in redness and yellowness. Addition of gatt at above 15% weight level per radish accelerated fermentation at the later fermentation stage thus it should be avoided. Most changes in typ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were similar depending on treatments. More acceptable Dongchimi could be prepared by fermenting at 5% gatt concentration under given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