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g meat eating histor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한국의 개고기 식용의 역사와 문화 (Dog Meat Eating History and Culture in Korea)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7-396
    • /
    • 1999
  • Dog meat was begun to be edible by the Chinese, Japanese, the French, Belginan, German Philippines Vietnamese, North-Americans African-Indians Canadian-aborigines Alaskan aborigines including Kor-eans. According to the record, Korea has a long history to have eaten dog meat from the era of Sam-kug(three kingdoms BC 57∼AC 668) and so there are numerous languages proverbs, and customs re-lated to the dog meat. Over the long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records and recipes about the edib-leness of dog meat. But at present time only the way of cooking such as Bosintang(a soup) Suyuk(a boiled meat) Duruchighi(boiled meat added spice and slightly roasted) Muchim(boiled meat added by spice and mixed) Gaesoju(an extract) Jeongol(boiled meat mixed with spices vegetables and water on the pot) remains. Koreans eat dog meat following the traditional customs n the Boknal(hottest day in summer). Also the areas of Buyo. Sochon, Boryong adn Chongyang of Chungnam province and the ad-jacent areas like Kongju, Iksan, and Nonsan have customs to kill the dog and offer dog meat to the gue-sts in time of small or big occasions such as funeral ceremony Hoigap(anniversary of one's 60th birth-day) and one's birthday. This range of customs is expanding larger and larger. These areas are the cen-ter of past Baekche(BC 57∼AC 660). In spite of this it is unreasonable, and excessive action for foreig-ner to fine fault with the dog meat or Korean food culture.

  • PDF

한국의 개고기 식용 정책의 개선방향 (The Direction of Reformation on the Edibility of Dogmeat in Korea)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2-83
    • /
    • 2003
  • 한국의 개고기 식용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나 정부는 외국인들이 비난한다고 하여 축산물가공처리법에서 개를 제외시켜서 개고기는 정부의 감시를 받지 않고 유통되고 있다. 국민들의 개고기 식용 합법화요구에 행정부는 동물보호단체의 항의를 이유로 합법화할 수 없다고 하고 있지만 국민의 80% 정도는 개고기 식용을 찬성하며, 합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입법부는 국회의원 20명이 개고기 식용 합법화 법안을 제출하였고, 사법부도 개고기를 식육이라고 판결하였다. 서구인들이 한국의 개고기 식용을 비난하는 내면에는 순수한 동물보호도 있지만 유색인종에 대한 인종차별, 한국에 대한 쇠고기 수출량 증가, 버린 개를 애완견 사료로 사용하기 위한 관심 돌리기, 동물보호 단체의 기금 모금 등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정부는 국내 동물보호 관련단체를 앞세워서 개고기 식용 반대 여론을 호도하고, 농림부는 동물보호법을 관할하여 개고기 식용을 반대하는 관련 단체의 편을 들고 있으나 이들 단체는 농민들이 아니다. 나아가 정부는 개고기 식용 문제를 해결할 의지를 보이지 않고,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여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 그래서 개고기 식용은 위생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고, 개도축 폐기물은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개고기 식용을 합법화시켜서 개고기를 위생적으로 유통시키고,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세수를 증대시키고, 국가의 자존심을 확립해야 한다. 나아가, 농림부는 동물보호법을 환경부 관할로 넘겨서 멸종위기의 동물만 다루고, 정부는 개고기 식용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조사와 통계를 바탕으로 신뢰성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의 개고기 음식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릴 전담 부서와, 연구소를 설립하고, 민간 기구도 지원하여 발족시켜야 한다. 개고기는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가장 세계적인 음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