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cument management

검색결과 1,266건 처리시간 0.037초

구조계산서의 표준화된 문서모델 구축 방법 (A Development Method for Standardized Document Model of Structural Calculation Document)

  • 김봉근;박상일;김효진;이상호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83-91
    • /
    • 2008
  • 최근 많은 건설정보가 전자문서로 기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무에서 작성되고 있는 설계문서는 재난관리를 위한 정보의 공유나 교환에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는 사회기반시설물의 구조계산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XML Schema 기반의 문서모델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조계산서에 기술된 다양한 양식의 서술방식을 표현하기 위한 5가지의 기본 자료형을 개발하였다. 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강교량 구조계산서의 시범 문서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시된 방법이 구조계산서의 문서모델을 구축하는데에 효과적으로 사용가능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nvestigation on Uncertainty in Construction Bid Documents

  • Shrestha, Rabin;Lee, JeeH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7-73
    • /
    • 2022
  • Construction bid documents contain various errors or discrepancies giving rise to uncertainties. The errors/discrepancies/ambiguities in the bid document, if not identified and clarified before the bid, may cause dispute and conflict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Given the fact that bid document is a major resource in estimating construction costs, inaccurate information in bid document can result in over/under estimating. Thus, any questions from bidders related to the errors in the bid document should be clarified by employers before bid submiss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bid queries, i.e., pre-bid request for information (RFI), from state DoTs of the United States to investigate error types most frequently encountered in bid documents. For the study, around 200 pre-bids RFI were collected from state DoTs and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error types (e.g., coordination error, errors in drawings).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errors in bill of quantities is the most frequent error in the bid documents followed by errors in drawing. The study findings addressed uncertainty types in construction bid documents that should be checked during a bid process, and, in a broader sense, it will contribute to advancing the construction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by clarifying and classifying bid risk factors at an early stage of construction projects.

  • PDF

철도안전시스템에 적용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관리 계획 작성사례 연구 (A Study on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for the Railway Safety System)

  • 최요철;박영원;조연옥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4-69
    • /
    • 2005
  •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SEMP) is the primary, top level technical management document for the integration of all engineering activities at the project plan phase. This document defined the activities to plan, control, and perform overall engineering integration. To develop the SEMP for Railway Safety System, several standards are reviewed and analyzed. And then a common requirement for SEMP preparation i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Also, the SEMP example available practically applies to Railway Safety System. In particular, The SEMP focused on controling technical program management has been organized so far, but in this study the detailed contents of SEMP put stress on project management is derived. And it is related to each other between project management and technical engineering management. At the end, to continuously manage the items and contents of the SEMP, a database management and an automatic document generation system is presented using Computer-Aided Systems Engineering (CASE) tool.

  • PDF

지식정보 공유를 위한 전자원문서비스의 주요 이슈와 사례 분석 (Analysis on Current Issues and Cases of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ervice for Sharing of Knowledge Information)

  • 유수현;최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1-96
    • /
    • 2006
  • 웹기반 학술정보 커뮤니케이션이 보편화되고 정보공급자 및 이용자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확산되는 등 원문서비스 환경의 변화는 원문서비스 기관에 적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웹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원문을 제공하는 전자원문서비스의 등장은 전자형태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복제 및 배포로 인하여 그 운영에 있어서 저작권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원문서비스 환경의 주요 변화와 동향을 검토하고, 해외 전자원문서비스 사례를 파악함으로써 국내 웹기반 원문서비스인 e-DDS가 국내 저작권법에서 이슈가 되는 부분 및 향후 해결해 나가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고문서 정리(整理)에 대한 기록학적 연구 - 새로운 고문서 정리 방법의 모색을 위하여 - (An Archival Study on the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Old Document(Diploma))

  • 조경구
    • 기록학연구
    • /
    • 제7호
    • /
    • pp.37-74
    • /
    • 2003
  • An Old document(Diploma) is a historical and unique record, so it must be collected, arranged, and preserved for research as soon as possible. Especially,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Old Document(Diploma), it is needed to arrange and describe the material systematically on the ground of modern archival theory. The Kyujanggak Archives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published 23 volumes of Old document(Diploma) material Old Document(Diploma). But they seem to cause the readers inconvenience, because the materials are classified and gathered only by genre, the titles or the orders of the materials are not standardized, and there is no description about the content of each Old document(Diploma). Jangseo-gak Library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also published the series of Old document(Diploma) material Old Document(Diploma) Collection. However the case is not different, since they are all mixed up with materials classified and gathered by genre, family, academy, or local school. And a great part of the materials have no titles and no description about the content of each Old document(Diploma), either. About the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the records, European and American archival science has established the theory of l)the principle of provenance, 2)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3)levels of control, 4)collective description. These theories are valuable for the effective use of Old document(Diploma). On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of provenanc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should not be classified by subject and genre, but by family and person. Then, th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after collected by the unit of family or person on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of provenance, should be arranged in their original order for more detailed arrangement and furthermore, for the work to find their relationship. This is so called 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The hierarchical management of th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for example, classifying by record group, sub-group, series, item and so on, is the concept of the levels of control, and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each hierarchical structure is the concept of the collective description. Let's apply these archival theories to 34 pieces of the Chung, Man-Seok's material in the series of Old document(Diploma) material Old Document(Diploma). First, collect th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into Chung, Man-Seok's collection(the principle of provenance), which were scattered in the series classified by genre. Secondly, rearrange them chronologically(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and then we can find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Chung, Man-Seok. For the hierarchical management of the Old document(Diploma) materials, we should establish a few concepts from the general, large group to specific, small item. The concepts can be organized as following; l)record group(Chung, Man-Seok record group) - 2)sub-group(personnel document, property document, family document, social activity document, political activity document, etc) - 3)series(gyoji-series, gyoseo-series, yuji-series etc. in the personnel document) - 4)folder(document with additions) - 5)item(one document). According to the the theory of the collective description, in the level of record group, there should be a collective description of Chung, Man-Seok's biography or a summary of record group. Similarly, there should be a collective description of a summary of sub-group in the level of sub-group and a summary of series in the level of series.

시설물 재해정보관리 전자화를 위한 XML스키마 구축 방법의 절차적 모형 구성 (Procedural Model of XML Schema Framework for Digitalizing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for Construction Facility)

  • 강인석;박서영;문현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56-64
    • /
    • 2006
  • 기존의 종이문서 형태로 관리되는 재해관리 문서체계는 책자 형태로 관리되고 있어 정보의 원활한 공유 및 관리가 곤란하고, 문서정보의 상이한 포맷으로 유사업무에 대한 정보 공유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단순한 텍스트 매뉴얼을 통한 정보의 열람으로 그 활용 범위에 한계성을 갖고 있다. 재해관리 업무의 특성상 방대한 업무지침서, 영상정보 등은 재해관리의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자문서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현재 전자문서 표준이 점차 DTD에서 XML 스키마로 대체될 것이므로 전자문서 구성시에는 XML체계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 취약시설물의 사전예방과 복구 대처방안 등의 관련 업무 매뉴얼과 각종 정보들을 전자적으로 제공하여 재해관리 업무의 정보화 및 간소화가 가능하도록 XML기반 재해 전자문서체계의 절차적 구성방법을 제시한다. 연구에서는 제시된 방법론에 근거하여 가상 운용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활용성을 검증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에서의 Enterprise Document Management Architecture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ng Approach of Enterprise Document Management Architecture in Semiconductor Business)

  • 장현성;이영중;송하석;한영준;안정삼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4
    • /
    • 2001
  • A systematic construction and re-use of technology related to the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has been the most important for the semiconductor industry dependent on process and equipment. Therefore, numerous outputs in the form of paper has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management ranging from the creation to recycling and disposal of technologies. In this research, the technology and documents necessary for the business management in the field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were classified in an effort to solve problems while the modeling of document management architecture at the enterprise level was performed by properly setting up the security system to prevent the unauthorized disclosure of the product development technology to the third parties. Especially, the product and process specification are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ensure a real-time response in interface with the production system in order to shorten the development lead-time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modeling approach, the strategy to construct the system and its results.

  • PDF

설계모델과 문서정보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BIM기반 데이터베이스 체계 구축방안 (Development of BIM-based Construction Document Information Database Structure through the Link to the BIM Model and Construction Document Information)

  • 이동건;차희성;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42-53
    • /
    • 2015
  • 건설산업은 다양한 참여자가 상호협동을 통하여 진행되며, 각 건설 단계별로 다양한 정보가 발생되고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의 대부분의 정보는 문서의 형대로 발생됨으로 인하여 현장의 문서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IT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대부분의 정보가 비구조화된 문서의 형태로 정보가 관리되고 정보관리 체계의 미비로 인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축적과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기술을 통하여 건설현장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의 분류체계 및 정보 연계를 위한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제안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정보 축적 및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서관리와 정보연계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건설현장의 정보를 구조화하기 위한 공간분류체계와 정보분류체계를 제안하였고 정보 축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시나리오를 통해 적용해 봄으로써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OOXML기반의 동적 그룹키를 이용한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E-Document Management System Using Dynamic Group Key based on OOXML)

  • 이영구;김현철;정택영;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2B호
    • /
    • pp.1407-141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접근제어 환경에서 하나의 문서에 대하여 세분화된 페이지 정보를 권한별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일방향의 특성을 가지는 해쉬 체인을 이용해 계층식별자를 생성함으로써 기존 시스템과 달리 모든 사용자의 키 정보를 소유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해쉬 체인 기반의 계층식별자와 랜덤하게 생성한 그룹식별자를 조합해 그룹키를 생성함으로써 페이지별 대칭키를 이용한 문서 암호화 기법에 키 생성 및 관리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그룹 구성원 이동에 따른 동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기존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과 비교, 분석한 결과 문서 암 복호화 속도, 페이지별 암 복호화 속도에서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보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 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3-425
    • /
    • 2012
  • 이 연구는 문헌정보와 아카이브적 측면에서 도서관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정보자원관리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디아스포라와 정보자원 관련 문헌적 고찰과 재외한인들의 이동루트와 정착 그리고 삶의 현장을 기반으로 한 실제적 조사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자발적 이동보다는 정치와 경제적 측면에서 타인에 의한 이주가 주를 이루었다. 이들은 이주 현장에서 온갖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양한 문헌정보를 생산했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도서관, 신문사, 출판사, 기록보존소 등지에서 정보자원관리와 아카이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정보자원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나타내고 진일보한 디아스포라 연구와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